Session 6

 Mourn!ng : A fermented ritual for the mundane spirits from Shunyosthan
Kaur Chimuk in ritual with Amy Singh X Pramukho Rupan X RENU (2025)

이름/팀명: 카우르 치무크 (인도)
작품설명: 한 번에 도착하지 않고, 우리 일상의 가장 사소한 “순간들” 속에서 멈추며 발효되는 애도—즉, Mourn!ng을 상상해 보라. 이 느린 발효는 시간을 기억으로 증류하며, 우리를 망각이 일렁이기 시작하는 곡선의 공간 속으로 끌어들인다. 나는 이 상황을 순요스탄(Shunyosthan)의 영혼들로 발견했다. 순요스탄은 물리적 공간이 아니라 엔트로피의 상태, 태어나지 않은 상태—무작위성이 혼돈의 가장 높은 확률로 다가가도록 여는 틈새이다. 그것은 단순히 기억을 담는 것이 아니라, 기억을 가능케 한다. 그것은 기억의 장소가 아니라 반응하는 존재이다. 이 시도는 즉각적 시간선을 넘어서는 수행성(performativity)의 개념과 연결된, 동남아시아 전역의 대항 의례(counter-rituals)를 탐구하는 확장된 실천이다. 식민적 틀에 도전하면서, 우리는 사건들의 파편화된 결과를 흡수하지 않고도 그 흐름을 다시 살펴볼 수 있을까? 이 의례는 응집적 발효의 과정으로 구상되었으며, 분단의 기억이 남긴 상처와 재회의 갈망을 담아내고, 멈추고, 버티고, 협업을 통해 직조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이 시도는 특히 이미지의 죽음—단순한 인상뿐 아니라 그 너머에 있는 것—에 관심을 둔다. 여기서 신호는 흐려지고, 기억은 파편화되며, 기호들은 시공간을 붙잡기에 불충분하다. 특히 이 포스트-연속적 진실(post-continuous truth) 속에서 말이다. 남는 것은 일종의 소닉한 부재다. 우리는 이것을 읽을 수 있을까? 더 중요한 것은, 확장된 청취를 통해 이것을 다시 들을 수 있을까 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나는 동맹들과 함께 반(反)퍼포먼스적 태도로 포스트-연속 시제를 접근했다. 이 트랙은 단순히 흐름만이 아니라 스며듦(seepage)—형성에 대한 모순, 해체가 아닌 토착 발효 도구상자를 초대하는 움직임—을 통해 경험할 수 있다. 나는 이러한 파편들을 흡수하고, 이를 역전(지식)과 탈텍스트화(Detext, 서사 해체)라는 연구·개발(R&D) 방법론으로 재해석하려 했다. 그 과정에서 의례는 단순한 문화적 지표를 넘어, 식민적 규범을 탈피하는 급진적(곧: 돌봄의) 행위자로 떠오른다. 이 작업은 또한 “남아시아 퀴어 팸플릿(A South-Asian Queer Pamphlet)”이라는 더 큰 연구 선집에 대한 연대의 확장이다.

소개: 카우르 치무크(Kaur Chimuk, they/yellow)는 트랜스-바이너리 정체성을 가진 예술가로, 수행적 시간적 재현에 관한 응집적 협상을 위한 수단으로 전복적 예술 연구를 활용한다. 주로 남아시아(인도, 방글라데시)에서 활동하며, 스웨덴을 운영 거점으로 삼고 있다. 주요 협력 네트워크로는 Meteor International(스웨덴 아티스트 네트워크), intrans(멕시코-인도-영국의 트랜스글로컬 연대 네트워크), zmayat(방글라데시-인도 간의 오픈소스 협력체) 등이 있다. 현재는 전환과 관련된 용어집을 중심으로 한 장기 큐레이토리얼 리서치 프로젝트에서 출발해, 점차 몰입형·포스트시네마적·학제간 아카이브로 확장된 “남아시아 퀴어 팸플릿”에 참여하고 있다.

// 동맹들과 함께
아마르팔리 싱 / 에이미 싱(Amy Singh): 인도의 시인이자 퍼포머, 글쓰기 퍼실리테이터로, 분단, 페미니즘, 유산된 침묵을 시선으로 기억·저항·그리움·사랑을 탐구한다. 힌두스탄어, 펀자브어, 영어로 글을 쓰며, 시를 매개로 연결·기억·재건을 실천한다.
프라무코 루판(Pramukho Rupan): 전통적 음악 교육(rewaj)에서 출발해 ‘좋음’과 ‘나쁨’의 제도적 틀을 도전해 온 음악가, 프로듀서, 사상가, 소리 탐험가. 20년간의 정규 훈련 이후, 전통적 구조를 넘어 일상적 음악과 상호적 소리 기억 간의 조화를 탐구하고 있다.
레누 호세인 / 레누(RENU): 런던 출생의 방글라데시계 예술가로, 실험적·전자적·앙상블 작곡가이자 프로듀서, 타블라 연주자, 타악기 연주자, 큐레이터이다. 다학제적이고 국제적인 활동을 통해 독창적인 사운드 실천을 이어가고 있다.
Kaur Chimuk in ritual with Amy Singh X Pramukho Rupan X RENU (2025)

Name: Kaur Chimuk (India) 
Program note: Imagine a prolonged absence— perhaps mis/un/post-heard—where Mourn!ng does not arrive all at once, but ferments with pauses from within our most mundane “moments”. This slow fermentation distills time into memory, leaving us curved into a space where amnesia begins to stir. I found this situation as the spirits of Shunyosthan - Shunyosthan is not a space but a state of entropy, unborn—an opening that invites our randomness to move closer to the highest probability of chaos. It does not merely contain memory; it makes memory possible. It is not the site of remembrance, but responsive. This attempt is an extended practice of exploring counter- rituals across South-East Asia, connecting with the idea of performativity beyond its immediate timeline. Challenging colonial frameworks, can we reexamine the flow of events without absorbing their fractured eventuality? This ritual is conceptualized as a process of cohesive fermentation, where my limited understanding of the scars of partition memory—and its longing for reunion—has been given space to hold, pause, weather, and be fabric-gated through collaboration. This attempt is primarily interested in the death of the image (not just the impression, but what lies beyond it), where signals blur, memories fragment, and notations fall short of capturing space-time, especially in this post-continuous truth. What remains is a kind of sonic absence. Can we read this? More importantly, can we re-hear it through an extended form of listening?

During the process, I aligned with my allies to approach the post-continuous tense from an anti- performance stance. One can engage with this track not only through its flows but also through its seepage—its contradiction to formation and its invitation to a native fermentation toolkit, rather than a deconstruction. So far, I have tried to absorb these fragments and reinterpret them using an R&D methodology: Reverse (knowledge) and Detext (narrative). In this process, rituals become more than cultural markers; they emerge as radical (read:care) agents, capable of breaking free from colonial normative frameworks. This engagement is also an extended solidarity of a larger research anthology, known as “A South-Asian Queer Pamphlet.”

Bio: Kaur Chimuk (they/yellow), a trans-binary person engaging with subversive artistic research as a tool for cohesive negotiations around performative temporal representation. Based primarily in South Asia, they work extensively across India and Bangladesh while maintaining an operational base in Sweden. Major working collaboration with Meteor International (Swedish artist network), intrans aka intersectional network for transglocal solidarity (a co-op network between Mexico-India-UK) and zmayat (open-source co-op between Bangladesh and India). Currently kaur is engaging with A South-Asian Queer Pamphlet, which began as a durational curatorial research project focused on glossaries related to transition; over time, it evolved into an immersive, post-cinematic transdisciplinary archive. // with allies
Amarpali Singh / Amy Singh
A poet, performer, and writing facilitator from India, her work explores themes of memory, resistance, longing, and love—often through the lens of Partition, feminism, and inherited silences. She writes in Hindustani, Panjabi, and English, and uses poetry as a medium to connect, remember, and rebuild.
Pramukho Rupan 
Observing their journey from classical rewaj to challenging institutional frameworks around notions of ‘good’ and ‘bad’ within the musical fraternity. Pramukho Rupan is primarily engaged as a musician, producer, thinker, and sonic explorer—a practitioner whose formal training spans two decades. Now, they are curious to evolve beyond traditional structures, seeking harmony between everyday music and interpersonal sonic memory.
Renu Hossain/RENU 
RENU is a London-born, Bengali heritage, outernational interdisciplinary artist. She is an Experimental/Electronic/Ensemble Composer & Producer, tabla-player, percussionist and curator.


As Above, So Below
이름/팀명: 마이코다이크(MycoDyke, 인도) 
작품설명: 이 작품은 생태적 애도의 공간을 지키려는 시도다. 나의 실천—그리고 삶—은 곰팡이와 분해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이를 통해 나는 죽음을 전환으로 이해하게 되었다. 죽음은 영양을 주고, 형태를 바꾸며, 분배하고, 재생하는 과정이다.

그러나 2025년 여름, 델리는 이른 시기의 파국적 몬순을 겪었다. 수많은 나무가 죽어 남은 것은 그루터기, 수액이 흐르는 상처, 갈라진 줄기, 드러난 뿌리뿐이었다. 그들의 몸은 며칠 만에 잘려나가고 치워졌으며, 곰팡이가 고요히 ‘해체의 일’을 시작하기도 전에 사라졌다. 이는 갑작스럽고, 중단되며, 미완으로 끝난 과정이었다. 썩음도, 분해도, 변형도 없었다. 오직 침묵만이 남았다.

이 작품은 그 침묵과 함께 머무른다. 녹음에는 천둥과 폭풍 이후의 고요, 나무들과 속삭이듯 나눈 단편적 음성 메모, 공작의 장송곡 같은 울음소리, 지표 바로 아래 존재하는 보이지 않는 존재들을 감지하려는 시도가 담겨 있다. 이들은 함께 몸으로 느껴지는 추도사, 하나의 속삭임, 하나의 ‘머무름’을 형성한다.

종(種)의 경계를 넘어 공개적으로 애도하는 것은 나에게 정치적 청취 행위다—서둘러 지나가기를 거부하고, 잊기를 거부하는 것. 바로 이러한 상호의존성과 ‘공유된 세계-만들기(shared worlding)’의 실천이 제3의 청취(Third Listening)가 초대하는 바이며, 이 작품이 구현하고자 하는 바다.

소개: 마이코다이크(MycoDyke)는 말라비카 바티아(Malavika Bhatia)의 곰팡이적 분신으로, 독학으로 현장 균학(field mycology)을 연구해온 사운드·비주얼 아티스트이자 커뮤니티 퍼실리테이터다. 그는 곰팡이와의 교감을 통해 민족균학적 연구, 공동체 기반 실천, 이론적 틀을 엮어내며, 장소와 공동체, 그리고 더-인간-세계와의 관계를 새롭게 재구상한다. 

그의 살아있는 설치작품 〈Rot & Rapture: Decomposing Binaries〉(2024)는 곰팡이 배양체, 산문, 시를 결합하여 관객이 곰팡이의 몸과 친밀한 대화를 나누도록 이끌며, 해체를 존재의 유동적 상태로 나아가는 길로 탐구했다. 또한 〈Fungal Hermeneutics: (De)Compositions in the Academic Forest〉, 〈The 'Other' Underground: A Zine of Fungal Queeriosities〉 등의 아트북을 통해 학술적 개념을 감각적 서사로 변환하며, 생태학 속 퀴어니스를 재해석하는 대안을 제시한다. 

균사 네트워크를 은유이자 방법론으로 삼아, 그는 Science Gallery Bengaluru, 키란 나다르 미술관(Kiran Nadar Museum of Art), 세렌디피티 아트 페스티벌(Serendipity Arts Festival) 등에서 참여형 경험을 선보이며, 생태·공동체·소속감에 관한 기존의 서사를 흔들고 새로운 시각을 제시해왔다.
Name: MycoDyke (India)
Program note: This work is an attempt to hold space for ecological mourning. My practice – and my life – is rooted in fungi and decomposition, through which I’ve come to understand death as a transition: a process that nourishes, reshapes, redistributes, regenerates. But in the summer of 2025, Delhi experienced an early and catastrophic monsoon. Trees died in great numbers, leaving behind stumps, sap-dripping wounds, split trunks, and exposed roots. Their bodies were chopped up and cleared away within days – before fungi could begin their quiet work of unmaking. This was a process cut short: abrupt, arrested, incomplete. There was no rot, no decomposition, no transformation. Just silence. This work sits with that silence. In my recordings are the sounds of thunderstorms and post-storm stillness; quiet, fragmented voice notes and soft conversations with the trees; the funerary lament of peacocks; and a need to sense the unseen presences just below the surface. Together, they form an embodied eulogy. A murmur. A staying-with. To grieve publicly, across species lines, is to me an act of political listening – a refusal to rush on, a refusal to forget. It is this practice of interdependency and “shared worlding” that Third Listening invites, and that this work hopes to embody.

Bio: MycoDyke is the fungal alter of Malavika Bhatia, a self-taught field mycologist, artist, and community facilitator. Through their engagement with fungi, they weave together ethnomycological research, community-based practices, and theoretical frameworks to reimagine relationships to place, community, and the more-than-human world. Their living installation ‘Rot & Rapture: Decomposing Binaries’ at Gender Bender 2024 combined fungal cultures with prose and poetry, guiding audiences through intimate dialogues with fungal bodies to examine dissolution as a pathway to fluid states of being. Their art books, including “Fungal Hermeneutics: (De)Compositions in the Academic Forest” and “The 'Other' Underground: A Zine of Fungal Queeriosities,” transform academic concepts into affective narratives that propose alternative understandings of queerness in ecology. Drawing on mycelial networks as both metaphor and method, they have developed participatory experiences at Science Gallery Bengaluru, Kiran Nadar Museum of Art, Serendipity Arts Festival, and others, challenging conventional narratives about ecology, community, and belonging.


ZANGRNAMS
이름/팀명: 루하일 카이사르(Ruhail Qaisar, 라다크)
작품설명: 
“내 앞에 원시의 하늘, 공허, 허무 
검은 바람이 일어나 소용돌이치고, 불길이 치솟는다 
협곡의 사납고 붉은 영혼이 내 앞에 나타난다 
그의 이마 중앙에는 원초적 인식의 눈이 자리한다 
진홍의 망토를 걸친 그는 신성한 붉은 말 위에 서서 
내 심장을 찌른다 
피는 바다의 흐름처럼 흘러내린다”

이 작품의 발상은 티베트 동부 캄(Kham)에서 라다크로 건너와 사원과 신탁을 수호했다는 일곱 악마 형제(또는 찬 신, Tsan deities)의 신화에서 비롯되었다. 작품의 제목은 그중 막내 신인 장르남(Zangrnam)에서 따왔다. 그는 사납고 매년 세 차례 피의 제물을 요구하는 신이었으며, 전승에 따르면 한때 여덟 살 아이의 심장을 바치게 했다고 전해진다. 이후 희생은 흰 염소로 대체되었고, 오늘날에는 스쿠르부찬(Skurbuchan) 마을의 노송 숲 아래에서 고기의 한 조각을 바치는 상징적 제의로 이어지고 있다. 

이 작품은 그 의식에 내재된 공포와 잔혹성, 그리고 연극적 성격을 사운드로 해석한 것이다.

소개: 루하일 카이사르(Ruhail Qaisar)는 라다크의 레(Leh) 출신 아티스트다. 그의 작업은 지역적 기억, 신화, 시적 감각의 실타래를 사운드 아트, 작곡, 발견된 조각물(found sculpture)을 통해 탐구한다.

2015년 이후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프로젝트에 참여했으며, 초창기 인도의 노이즈 공연은 ‘청각적 팔레트 정화제’로 회고된다. 그의 개념 앨범 〈Fatima〉(2023)는 The Quietus로부터 “섬뜩하다(haunting)”는 평을 받았으며, Danse Noire 레이블을 통해 발매되었고, Dis Fig, Elvin Brandhi와의 협업 및 48쪽의 사진집을 동반했다.

그는 스위스 로잔 아르세닉에서 공연된 〈Three Hymns of Cruelty〉(2022)를 고트프리드 아만(Gottfrid Ahman), 미하엘 안클린(Michael Anklin)과 공동 작업했으며, 이는 라다키 행렬 음악의 역동성을 탐구했다. 또한 〈Cenacle 97-98〉(2022)이라는 발견 영상 기반 단편 VHS 영화는 취리히 쿤스트할레, 라 벡, 게스너알레 등에서 상영되었다. 최근에는 바젤 Salts 갤러리에서 〈Gods Erupt Like Tumors〉라는 발견 조각과 단일 음원 사운드 설치를 선보였고, 오스트리아 ORF와 슈타이어마르크 가을 축제(Steirischer Herbst ’24)를 위해 36채널 3차 앰비소닉스 작품 〈Namkhay Rtsima / The Spine of the Sky〉를 작곡하며, 그라츠에서의 레지던시를 마쳤다.

Name: Ruhail Qaisar (Ladakh)
Program note: 
“In front of me the primeval sky, void, emptiness 
A black wind rises and swirls, fire blazes 
The fierce red spirit of the gorge appears before me 
In the centre of his forehead the eye of primordial awareness 
Donning a scarlet cloak, he stands atop a red a godly horse 
He stabs my heart 
And blood spills forth like the currents of an ocean”

The idea behind this composition stems from the myth of Seven Demon brothers or Tsan deities, who came from Kham (Eastern Tibet) and settled in Ladakh as protectors of monasteries and oracles. The composition is named after the youngest of them Zangrnam, a fierce God, demanding blood offerings three times a year– legend stretches out to say that this deity ordered the heart of an eight year old child, and the sacrifice was replaced later by a white goat. Nowadays a piece of meat is used as a substitute, at the end of the Skurbuchan village under a juniper grove. This composition is a sonic interpretation of this ritual act, the horrors, and the dramaturgy of this certain cruelty.

Bio:Ruhail Qaisar is an artist from Leh, Ladakh. His current practice revolves around examining threads of local memory, mythos, and poetics through sound art, compositions, and found sculptures. Involved within various cross-genre projects since 2015, his early noise shows all over India are recalled as sonic palate-cleansers. He debuted with his concept album Fatima (2023) dubbed by The Quietus as "haunting", released on Danse Noire featuring Dis Fig and Elvin Brandhi, with a 48-page photo book publication. The commissioned hymnal piece for Les Urbaines written in collaboration with Gottfrid Ahman and Michael Anklin, Three Hymns of Cruelty (2022), which delved into the dynamics of Ladakhi procession music, was performed at Arsenic in Lausanne. His found footage VHS short film Cenacle 97-98 (2022) was screened at the Zurich Kunsthalle, La Becque, and Gessnerallee Zurich for Parasite O Sinensis. His latest work “Gods Erupt Like Tumors” is a series of found sculptures and a monophonic sound installation on view at the Salts Gallery in Birsfelden, Basel CH. He recently finished his residency in Graz, Styria, preparing a 36 channel third order ambisonic composition, Namkhay Rtsima / The Spine of the Sky, for the Musikprotokoll Festival for ORF (Österreichischer Rundfunk) and the Steirischer Herbst ’24 at the Dom im Berg.


Puna (Del quechua, del māori)
이름/팀명: Irazema H. Vera (페루) 
작품설명: Puna는 샘물이자 안데스 고지대를 의미한다. 시작, 흘러나오는 근원, 하늘에 가까이 있는 가벼움이다. 이 작품에서 나는 기억과 연결의 소리를 탐구한다. 우리의 기원과의 연결,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과의 연결, 우리의 상처와 관련된 연결, 그리고 우리의 영혼을 다시 불러내어 계속 나아가게 하는 연결이다.

에두아르도 갈레아노가 『날들의 아이들』에서 8월 11일, 제 생일에 대해 토착 지혜 속 가족/whānau/ayllu의 의미를 해석하며 언급했듯이:
“… 
당신의 가족은 불의 탁탁거림 속에서, 
흐르는 물소리의 속삭임에서, 
숲의 숨결에서, 
바람의 목소리에서, 
천둥의 분노에서, 
당신을 입맞추는 비 속에서, 
그리고 당신의 발걸음을 맞이하는 새소리에서 
당신에게 말을 건다.”
(에두아르도 갈레아노, 『날들의 아이들』)
아오테아로아에서 whenua는 땅과 태반을 동시에 의미한다. 따라서 Puna, 나의 딸은 우주-자궁-hapu에서 나와 whenua를 떠나 또 다른 whenua에 안기며 근원을, la puna를 발견하게 되었다.

이 작품은 아오테아로아 뉴질랜드의 테 아왕가, 와이카레모아나 호수, 오클랜드(타마키 마카우라우)와, 페루의 푸노, 카리타마야(아이마라 족), 추아 추아(케로 족), 리마에서 2019년 11월부터 2025년 2월 사이에 녹음된 자료를 사용했다.

소개: 이라제마 H. 베라는 1983년 푸노 출생의 페루 예술가, 음악가이자 음악학자다. 그녀의 작업은 기억, 음악, 그리고 영토를 중심으로 하며, 음향공학, 음악 프로덕션, 다큐멘터리 및 내러티브 팟캐스트, 사운드 아트, 연구를 아우른다. 그녀는 현장 녹음과 사운드스케이프를 작업의 출발점으로 삼아, 인간의 목소리 증언, 음악, 그리고 취약하고 침해받은 영토의 소리를 통해 기억을 표현한다. 그녀의 작품에는 퀘추아와 아이마라 문화의 음악적 전통과 풍경이 반영되며, SONODOC 라틴아메리카, 팔레스타인의 Radio AlHara, 네덜란드 RRFM, 페루 Común Radio, 영국 Cities and Memory, 페루-멕시코 레이블 MATRACA와 페루-베를린 레이블 Eck Echo의 컴필레이션 등에 소개된 바 있다.
Sound Artist: Irazema H. Vera (Peru) 
Program note: Es manantial y también la región de las alturas andinas. El inicio, la fuente que fluye, la ligereza de estar cerca del cielo. / It is a spring, and also the region of the Andean heights. The beginning, the flowing fountain, the lightness of being close to heaven.
In this piece, I explore the sounds of memory and connection: the ones with our origins, the ones with the world we live in, the ones related to our traumas, and the ones that call our spirit back to continue. Like in Children of the days, Eduardo Galeano mentions, for August 11th, my birthday, in his interpretation of the sense of family/whānau/ayllu in indigenous wisdom:
“… 
Your family also speaks to you in the crackling of the fire, 
in the murmur of running water, 
in the breathing of the forest, 
in the voices of the wind, 
in the fury of thunder, 
in the rain that kisses you, 
and in the birdsong that greets your footsteps.” 
(Eduardo Galeano, Children of the days)
In Aotearoa, whenua is used to refer to both the land and the placenta. Thus, Puna, my daughter, coming out of the universe-belly-hapu leaving the whenua and being embraced by another whenua, finding the source, finding la puna.
Recordings made in Te Awanga, Lake Waikaremoana and Auckland (Tāmaki Makaurau) in Aotearoa New Zealand; and in Puno, Caritamaya (Nación Aymara), Chua Chua (Nación Q’ero) and Lima in Peru; between november 2019 and February 2025.

Bio:Irazema H. Vera (Puno, 1983) is a Peruvian artist, musician and musicologist. Her work revolves around memory, music and territory; and spans sound engineering, music production, documentary & narrative podcasts, sound art and research. She uses field recordings and soundscapes as starting points in the different paths of her artistic practice in which memory is expressed through the testimony of the human voice, music and the sounds of vulnerable and transgressed territories. Her compositions include musical traditions and landscapes of the Quechua and Aymara cultures of the Puno highlands where her cultural heritage is from, and has been featured on SONODOC Latin America, Radio AlHara in Palestine, RRFM in Holland, Común Radio in Peru, Cities and Memory in the UK, and compilations from label MATRACA (Peru-Mexico) and Eck Echo (Peru-Berlin).


Black Ghost Trail
이름/팀명: 임수이퐁(YIM Sui Fong, 홍콩) 
작품설명: 소리 혹은 소리 놀이가 어떻게 기억을 불러내거나 장소의 감각을 다시 물질화할 수 있을까. 이 작품은 1960~70년대 홍콩 촌룽(Chuen Lung)이라는 현지 객가(客家) 마을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한 주민의 경험에서 영감을 받았다. 작품은 타이모산(Tai Mo Mountain)의 시냇물, 바람과 소나무로 가득한 언덕길, 묘지 주변과 같은 자연적·인공적 요소 속에서의 그의 삶을 탐구한다.

도시 거주자에게 다양한 종과 상호작용하고 놀며 감각하는 능력은 잃어버린 듯하다. 균질화된 도시 생활에 대한 저항으로서 우리는 이 개방성을 되찾을 수 있을까. 나는 소리를 매개로 과거와 현재를 엮고 마을의 기억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촌룽 마을을 기록하고 재구성한다. 여기에는 단서 찾기, 놀이 만들기, 유랑과 같은 행위가 포함되며, 이를 통해 새로운 반응을 이끌어낸다. 편집 과정은 반복되는 소리 놀이처럼 작동하며, 유령 같은 어린 시절의 기억을 불러낸다.

소개: 임수이퐁(YIM Sui Fong)은 홍콩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예술가이자 홍콩중문대학교 조교수이다. 그녀의 작업은 사회적 참여 예술, 집단적 학습, 사운드를 잇는 다리를 놓으며, 참여적 청취 환경과 사운드 기반 설치 작업을 통해 기억과 공유된 행위를 활성화한다. 구술사, 소수 아카이브, 장소 특정적 사운드스케이프를 탐구하며, 소리를 저항의 매체이자 협력적 지식 생산의 방법으로 다룬다.

루프탑 인스티튜트(Rooftop Institute)의 공동 설립자로서 예술 학습을 사회적 참여의 방식으로 옹호하고 있으며, 예술가 주도의 사회적 포용 방식을 촉진하는 HASS Lab의 이사회에서 활동한다. 또한 실천 기반 창작과 시민 참여를 잇는 학제 간 플랫폼인 Ecologies of Participation의 공동 발기인 중 한 명이다. 그녀는 홍콩 예술 발전상 ‘젊은 예술가상(시각예술)’과 WMA 마스터스 상을 수상했으며, 사회적 참여적 사운드 아트가 교류를 촉진하고 들리지 않던 목소리를 증폭시키며 새로운 집단적 기억의 형식을 모색하는 과정을 작품 속에 구현하고 있다.

Sound Artist: YIM Sui Fong (Hong Kong) 
Program note: How can sound or sound play conjure memories or re-materialize feelings of a place? Inspired by the childhood experiences of a resident from the local Hakka village of Chuen Lung in Hong Kong during the 60s and 70s, this work explores his young life among natural and man-made elements, such as a stream from Tai Mo Mountain, a hill road full of wind and pine, and the surroundings of a graveyard.
For city dwellers, the ability to interact, play, and sense various species seems lost. Can we reclaim this openness as a resistance to homogenized urban life? By taking sound as a carrier to weave together the past and present, and as a way to participate in the village memory, I use field recordings to document and reassemble Chuen Lung village. This includes searching for hints, creating games, playing, and wandering to elicit new reactions. The editing process acts like a recurring sound play, evoking ghostly childhood memories.

Bio:YIM Sui Fong is a Hong Kong-based artist and assistant professor at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whose practice bridges socially engaged art, collective learning, and sound. Through participatory listening environments and sound-based installations, she activates memory and shared agency—drawing on oral histories, minor archives, and site-specific soundscapes. Her work frames sound as both a medium of resistance and a method of collaborative knowledge production. A co-founder of Rooftop Institute, she advocates for art learning as a mode of social engagement. She also serves on the board of HASS Lab, promoting artist-led approaches to social inclusion, and is one of the initiators of Ecologies of Participation, a transdisciplinary platform bridging practice-based creation with civic engagement. Recipient of the Hong Kong Arts Development Award for Young Artist (Visual Arts) and the WMA Masters Award, Yim’s practice exemplifies how socially engaged sound art can catalyze exchange, amplify the underheard, and rehearse new forms of collective memory.


Habitar, Cohabitar, Rehabitar para el Reencantamiento
이름/팀명: 엘레나 루카 (Elena Lucca, 아르헨티나) 
작품설명: 노래, 말, 바람, 밤, 움직임, 목소리의 소리, 침묵, 고요, 다른 목소리들의 대화. 모든 것이 음악적 순간 안에서 일어나는 공간, 장-프랑수아 오고야르(Jean-François Augoyard, 1990)가 말한 “환경적 중지(l’environnement suspendu ou l’épochè)”를 떠올리게 하는 장소. 이는 지각 습관, 대상 범주화, 선입견을 유보함으로써 함께 사는 공간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을 듣고, 그곳을 시적·감각적 인식의 과정으로 다시 거주하게 하는 것이다.

남아메리카 그란차코 지역의 도시 레시스텐시아에서 2025년 3월, 25일 동안 기온은 40~43도를 유지한다. 식물과 동물, 인간은 점차 생명력을 늦추며 일종의 혼수 상태에 빠져들고, 침묵 속에서 기다린다. 가을이 시작되며 부드러운 비가 내리고 기온이 내려가고 습도가 높아지면서 우리 모두는 이 상태에서 깨어난다. 움직임과 소리가 서서히 돌아오고, 이 전환 속에서 모든 것은 유동적이 된다. 사라지는 형태들이 다시 정의되며, 수용적 정체성은 다른 정체성에 투과되고 기쁨과 축제의 감각, 대화를 갈망하는 열림이 일어난다.

장소를 다시 거주하는 과정에서 무수히 미묘한 교환과 관계망의 복잡성에 대한 인식 속에서 서스펜스와 재탄생이 나타난다. 각각의 사건은 자연스러운 흐름을 따르며 전체를 감싼다. 끊임없는 변형, 생명의 순환, 도(道). 이렇게 삶의 세계의 시학은 다시 마법적 매혹(Re-enchantment)으로 거듭난다.

소개: 엘레나 루카는 아티스트이자 환경 교육자다. 프랑스 아비뇽 대학교에서 시공간과 권력, 문화 실천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아르헨티나와 이탈리아의 여러 대학교에서 환경 교육자로 활동했으며, 1990년부터 프랑스 CAIRH – 로이 하트 국제 예술 센터에서 객원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1960년대부터 루카는 다양한 나라에서 소개된 비디오 아트를 통해 실험적 시적 형식을 탐구해왔다. 1969년 차코 국립동북대학교(UNNE)에서 국제 시학 학술대회(JOPOE)를 기획했고, 1971년에는 에드가르도 A. 비고와 함께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예술·커뮤니케이션 센터(CAYC)에서 국제 실현 제안 전시회를 공동 기획했다.

숲 공동체와 협력한 경험을 바탕으로 루카는 우리가 거주하는 공간의 지시학적 시학(Geopoetry of the Spaces We Inhabit)이라는 환경 실험적 시적 노선을 발전시켰다. 그녀의 작업은 《재마법화》(2016), 《무시간적 공간들: 우리가 거주하는 장소의 생태정치적 시학》(2019), 《우리가 거주하는 공간: 대지》(2021), 《우리가 거주하는 공간: 공기》(2021) 등의 전시에 소개되었다.

Name: Elena Lucca (Argentina) 
Program note: The song, the word, the wind, the night, the movement, the sound of the voice, the silence, the calm, other voices dialoguing, a space where everything happens in a musical moment, which recalls “l’ environnement suspended ou l'épochè” by Jean-François Augoyard (1990), the elision, the suspension of perceptual customs, object categorizations and preconceived ideas to listen to what happens in the cohabited space and reinhabit the place as a poetic process of sensitive knowledge. In Resistencia, a city in the Gran Chaco region of South America, during the month of March 2025, the temperature remains constant between 40 and 43 degrees Celsius for 25 days. Plant and animal species, as well as humans, gradually slow their vitality over the course of the days, falling into a kind of lethargy, waiting, in silence, from which we all emerge at the beginning of autumn, with the appearance of gentle rains, a decrease in temperature, and an increase in humidity. Movement and sounds slowly return. In this transition, everything is fluid; evanescent forms begin to define themselves again; receptive identities become permeable to other identities, joyful, celebratory, and eager to dialogue. In the process of re-inhabiting the place, suspense and rebirth emerge in the perception of the countless subtle exchanges and the complexity of the web of relationships within the place. Each event follows its natural course, forming an enveloping whole. A continuous metamorphosis, the cycle of the living, the Tao. The poetics of the world of life thus becomes a Re-enchantment.

Bio:Elena Lucca is an artist and environmental educator. She holds a Ph.D. from the University of Avignon, France, in Space, Time, and Power, Cultural Practices. She has worked as an environmental educator at both Argentine and Italian universities. Since 1990, she has served as a guest lecturer at the CAIRH – Roy Hart International Artistic Center in France. Since the 1960s, Lucca has explored experimental poetic forms, notably through video art presented in various countries. She also organized the Jornadas Internacionales de Poesía (JOPOE) for the National University of the Northeast (UNNE) in Chaco in 1969, and in 1971 co-curated the International Exhibition of Proposals to Be Realized with Edgardo A. Vigo for the CAYC – Center for Art and Communication in Buenos Aires. Drawing on her experiences working in and with forest communities, Lucca has developed an environmental experimental poetic line known as Geopoetry of the Spaces We Inhabit. This work has been featured in exhibitions including: The Re-enchantment (2016), Timeless Spaces: An Ecopolitical Poetics of the Places We Inhabit (2019), The Space We Inhabit: Earth (2021), The Space We Inhabit: Air (2021).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