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ssion 5
Doorframes covered in masking tape
이름/팀명: 마티아 베네데티 (Mattia Benedetti)
작품설명: 〈doorframes covered in masking tape〉는 타악기, 연쇄 합성(concatenative synthesis), 그리고 목소리의 단편들을 활용하여 비어 있는 공간을 탐구하는 작품이다.
웨어하우징(warehousing)’—기업들이 건물의 전체 층(혹은 건물 전체)을 사들인 뒤 비워둔 채 가격을 올리는 행위이다. 도시 중심에서 이러한 행위는 공허한 진공을 만들어내며, 거의 보이지도 않고, 존재하는 듯 존재하지 않는 듯한 공간을 남긴다.
이 작품은 자연주의적 묘사가 아니라, 이와 같은 경계적 공간(liminal space)이 불러일으키는 주관적 감각을 어렴풋이 왜곡된 거울로 비추어낸다.
소개: 마티아 베네데티(Mattia Benedetti)는 아쿠스마틱 음악, 악기와 라이브 전자음을 위한 작품, 오디오비주얼(A/V) 작곡을 하고 있다. 그는 조용한 음악, 알고리즘적·우연적 기법, 소리와 단어의 관계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그의 작품들은 유럽, 남·북아메리카, 아시아에서 발표되었다.
Name: mattia benedetti
Program note: doorframes covered in masking tape is a piece that employs percussions, concatenative synthesis and voice fragments to explore an empty space.
Warehousing - corporations buying entire floors (entire buildings) just lo leave them empty and raise the prices. At the center of our cities, this creates a vacuum - a space barely seen, barely existing.
The piece is not a naturalistic description - it’s a vaguely distorted mirror of the subjective feelings this kind of liminal space evokes.
Bio: Mattia Benedetti creates acousmatic music, pieces for instrument and live electronics and A/V compositions. He’s interested in quiet music, algorithmic and aleatoric techniqu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und and words. His pieces have been presented in Europe, North and South America and Asia.
Hwapo III
이름/팀명: 윌 볼턴 (Wil Bolton)
작품설명: 〈Hwapo III〉는 4부작 전자음향 작품 중 세 번째 파트로, 한국의 작은 어항인 화포(Hwapo) 를 사운드로 그려낸 음향 초상이다. 이 작품은 스톡홀름의 EMS(Elektronmusikstudion)에서의 레지던시 기간 동안 제작되었으며, 현지에서 녹음한 현장 녹음(field recording) 을 기반으로 Buchla 200 모듈러 신시사이저, AKG BX20 스프링 리버브, GRM Tools DSP를 사용해 작업되었다.
소개: 윌 볼턴(Wil Bolton)은 영국 출신의 아티스트이자 작곡가이다. 그의 작업은 장소, 사이코지오그래피(psychogeography), 폐허와 쇠락, 그리고 일상의 디테일과 질감 속에서 발견되는 아름다움에서 영감을 얻는다. 그는 자연 및 인공 환경을 탐구하며, 사운드·비디오·사진·퍼포먼스·설치 등 다양한 매체를 넘나드는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볼턴의 오디오 작업은 현장 녹음, 발견된 사물, 모듈러 및 아날로그 신시사이저, 기타, 어쿠스틱 악기, 이펙트 등을 활용하여 따뜻하고 감성적인 멜로디를 만들어내며, 이는 드론 기반의 앰비언트 텍스처와 환경음 속에 분절되고 잠겨 있다.
그의 작품은 Home Normal, Quiet Details, Dronarivm, Laaps 등의 국제 레이블을 통해 발매되었으며, ICA (영국), 리버풀 비엔날레 (영국), Foundation Destellos (아르헨티나), KRiK Festival (크로아티아) 등에서 전시되었다. 또한 Cafe Oto, Iklectik, Focal Point Gallery, Tate Liverpool 등에서 공연했으며, Gapado AiR (한국), EMS (스웨덴), 라디오 베오그라드 전자 스튜디오 (세르비아), 인천 아트 플랫폼 (한국), 에스토니아 아티스트 협회 등 다양한 기관에서 레지던시를 수행했다.
Name: Wil Bolton
Program note: Hwapo III is the third part of a 4 part electroacoustic composition. It is a sound portrait of Hwapo, a tiny fishing port in South Korea. The work consists of a field recording processed and mixed during an artist residency at EMS (Elektronmusikstudion) in Stockholm, using Buchla 200 modular synthesizer, AKG BX20 spring reverb and GRM Tools DSP.
Bio: Wil Bolton is a British artist and composer. His work is inspired by place, psychogeography and finding beauty in ruins, decay and the details and textures of everyday scenes.
He explores the natural and built environment through the use of media spanning sound, video, photography, performance and installation.
Wil’s audio work uses field recordings, found objects, modular and analogue synthesizers, guitars, acoustic instruments and effects to create warm and emotive melodies, fragmented and submerged among beds of droning ambient textures and environmental sounds.
He has been published internationally by record labels including Home Normal, Quiet Details, Dronarivm and Laaps and exhibited at venues including ICA (UK), Liverpool Biennial (UK), Foundation Destellos (Argentina) and KRiK Festival (Croatia).
He has performed at venues including Cafe Oto, Iklectik, Focal Point Gallery and Tate Liverpool and has undertaken artist residencies at Gapado AiR (South Korea), Elektronmusikstudion (Sweden), Electronic Studio Radio Belgrade (Serbia), Incheon Art Platform (South Korea) and the Estonian Artists’ Association.
Paysage
이름/팀명: 호르헤 라모스 (Jorge Ramos)
작품설명: 〈Paysage〉는 Festival RE:FLUX ‘16의 위촉으로 작곡되었으며, 2021년 포르투갈 Miso Music이 주최한 Música Viva Festival 국제 전자음향 작곡 콩쿠르에서 우수상(Honourable Mention)을 수상하였다.
데니스 스몰리(Dennis Smalley, b. 1946)는 ‘소스 결합(source bonding)’을 소리와 그 가상의 원인 혹은 출처를 자연스럽게 연결하려는 경향, 그리고 공통의 기원이나 연관성을 가진 듯 보이는 소리들을 서로 이어 붙이려는 지각적 활동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결합 놀이(bonding play)’는 본질적으로 지각에 내재된 행위라 할 수 있다. 이 개념은 내가 ‘소리’와 그 행위에 대해 어떻게 사고할 것인가를 다시 성찰하게 했고, 무엇보다도 ‘소리’를 다르게 듣는 방법을 모색하도록 이끌었다. 나의 신체적 청각 경험(somatic knowledge)에 대한 자기 성찰은 곧 작곡가이자 연구자로서 ‘소리’를 음악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더 넓은 관점을 열어주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탄생한 〈Paysage〉는 나를 둘러싼 환경의 소리를 가공해 만든 사운드스케이프 작품이다. 특히 팬데믹으로 인한 강제적 제한(격리) 상황은 작업 공간과 생활 공간을 동시에 공유하게 만들었고, 이를 통해 소리가 얼마나 끊임없이, 그리고 본질적으로 음악적인 방식으로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가를 더욱 강하게 체감하게 되었다.
〈Paysage〉는 2021년 런던 왕립음악원(Royal College of Music) 작곡 박사 과정 중 작업되었으며, The ACTOR Project(캐나다), Calouste Gulbenkian Foundation(포르투갈), 왕립음악원(영국)의 지원을 받았다.
소개: 호르헤 라모스(Jorge Ramos)는 런던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포르투갈 출신의 작곡가이자 사운드 아티스트이다. 그는 기술, 오케스트레이션, 그리고 사이코어쿠스틱스(psychoacoustics)를 융합하여 전자음향, 오케스트라, 합창, 멀티미디어 작품 등 다양한 형태의 몰입형 음악을 창작하고있다.
Name: Jorge Ramos
Program note: Commissioned by Festival RE:FLUX ‘16
Honourable Mention at the Música Viva Festival 2021 International Electroacoustic Composition Competition by Miso Music Portugal
Dennis Smalley (b. 1946) defines source bonding as the natural tendency to relate sounds to supposed sources and causes and to relate sounds to each other because they appear to have shared or associated origins. Thus, bonding play is an inherent perceptual activity.
Consequently, I began to rethink how and what to think about ‘sound’ and its behaviour, and most importantly, to hear ‘sound’ differently. This self-reflection on my sonic somatic knowledge led to a broader perspective on what I, as a composer and researcher, should consider sound as music. Hence, I wrote Paysage, a soundscape piece based on the processing of the sounds that surrounded me during the writing process. This effect was enhanced by the imposed limitations during confinement, which meant that I had to share the same house to work and to live in, which made me realize how musical sound is constantly all around us.
Written in 2021 as part of my Doctor in Music — Composition at the Royal College of Music, London (EN). With the support of The ACTOR Project (CAN); Calouste Gulbenkian Foundation (PT) & Royal College of Music (EN).
Bio: Jorge Ramos is a Portuguese composer and sound artist based in London, blending technology, orchestration, and psychoacoustics to create immersive music spanning electroacoustic, orchestral, choral, and multimedia works.
Samothraki
이름/팀명: 조지 에드먼드슨 (George Edmondson)
작품설명: 〈Samothraki〉는 그리스 사모트라키(Samothraki) 섬 주민들과 함께한 장기간의 청취, 산책, 대화를 통해 발전한 스테레오 사운드스케이프 작품이다. 이 작업은 부분적으로 소리 민족지(sonic ethnography)이자, 부분적으로 청각적 일기(auditory diary)로서, 체화된 존재감과 관계적 청취에 대해 성찰한다.
작품은 장소와 이주의 긴장, 환경의 정적과 사회적 움직임의 마찰을 담아낸다. 수개월간 채집한 현장 녹음만을 사용하여, 염소 방울 소리, 파도, 시장의 대화, 산길의 발걸음 등 다양한 소리를 통해 사람과 환경이 어떻게 함께 울리고 공명하는지를 층위적으로 드러낸다.
소개: 조지 에드먼드슨(George Edmondson)은 사운드 아티스트이자 연구자, 교육자이다. 그는 다양한 사운드적 방법론을 활용해 사회적 주제를 협업적으로 탐구하는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과정과 결과 모두를 중시하며, 사운드 아트를 사회적 성찰과 민주적 담론을 위한 유연한 매개체로 발전시키는 적응적 방법론을 꾸준히 연구한다. 그의 연구, 작곡, 프로젝트는 지역적·국가적·국제적 차원에서 다양한 매체를 통해 발표되고 논의되어 왔다.
Name: George Edmondson
Program note: The work, titled “Samothraki” is a stereo soundscape composition developed through an extended period of listening, walking, and conversation with residents of the Greek island of Samothraki. Part sonic ethnography, part auditory diary, the piece reflects on embodied presence and relational listening. It captures the friction between place and displacement, between environmental stillness and social movement. Using only field recordings gathered over several months, from goat bells and waves to market chatter and mountain paths, the work offers a layered reflection on how people and environments sound together.
Bio: George Edmondson is a sonic artist, researcher and educator. His work often investigates societal themes collaboratively, using a variety of sonic methods. Valuing both process and output, George continually seeks to develop adaptive methods which promote sound art as an agile vehicle for social reflection and democratised commentary. His research, compositions and projects have been conducted, disseminated, and discussed regionally,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across a number of mediums.
An Interrupted Memory
이름/팀명: 마이크 맥페론 (Mike McFerron)
작품설명: 〈An Interrupted Memory〉는 루이스 대학교(Lewis University)의 “Art of Memory” 시리즈를 위해 2009–2010년에 작곡된 작품이다. 이 작품의 모든 소리 재료는 2009년 가을, 루이스 대학교 캠퍼스의 다섯 개 서로 다른 장소에서 동시에 녹음된 각각 2분 길이의 다섯 개 오디오 클립으로부터 가져왔다. 〈An Interrupted Memory〉는 바로 그날, 그 시간, 그 장소에서의 루이스 대학교의 사운드스케이프를 포착하고, 그 ‘2분의 순간’을 지속시키려는 시도이다.
소개: 마이크 맥페론(Mike McFerron) 은 시카고 지역 루이스 대학교의 음악 교수이자 상주 작곡가로, 현재 음악학과 학과장을 맡고 있으며 작곡과 이론을 가르치고 음악 제작 및 녹음 프로그램을 지도하고 있다. 또한 Electronic Music Midwest 페스티벌의 공동 창립자이자 공동 디렉터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미주리-캔자스시티 대학교 음악원에서 작곡 박사학위(DMA)를 취득했으며, 제임스 모버리(James Mobberley), 천이(Chen Yi), 제럴드 켐너(Gerald Kemner), 레이 E. 루크(Ray E. Luke)에게 사사했다. 과거 홍콩침례대학교, 미주리-캔자스시티 대학교 음악원, 캔자스시티 커뮤니티 칼리지 등에서 교편을 잡았으며, Chamber Music Conference of the East/Composers’ Forum의 상주 작곡가로도 활동했다. 또한 메트로폴리탄 유스 심포니 오케스트라 이사회 위원과 미국 작곡가 협회(Society of Composers, Inc.) 집행위원회 의장을 역임했다.
맥페론의 작품은 오페라 〈Loving Is〉와 피아노 독주곡 〈Apprehension of the Eternal Will〉의 카네기홀 초연을 비롯해 미국과 유럽 전역에서 연주되었으며, 루이빌 오케스트라 작곡 콩쿠르 1위,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 “First Hearing” 프로그램, Masterprize 국제 콩쿠르, ASCAP Rudolf Nissim Prize 등 다수의 수상 및 입상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
그의 음악은 전자음악, 오케스트라, 합창, 실내악, 오디오비주얼 등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며, ICMC, SEAMUS, NYCEMF 등 국제적인 페스티벌과 학술회의에서 연주 및 방송되었다. 또한 MacDowell Colony, Ucross, June in Buffalo 등 저명한 레지던시에 참가했으며, 세계 각지의 연주자 및 단체와 협업하며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Name: Mike McFerron
Program note: An Interrupted Memory was written in 2009-2010 for Lewis University “Art of Memory” Series. All of the sound sources for this work were taken from five recordings, each two-minutes in length. These audio clips were recorded simultaneously at five different locations on the campus of Lewis University in the fall of 2009. An Interrupted Memory attempts to capture and sustain two minutes of the soundscape of Lewis University on that day at that time.
Bio: Mike McFerron is a professor of music and composer-in-residence at Lewis University in the Chicago area. The chair of the Department of Music at Lewis University, McFerron teaches music composition, theory, and directs the music production and recording program. He is founder and co-director of the Electronic Music Midwest festival. He received a DMA in composition from the Conservatory of Music—University of Missouri at Kansas City where his primary teachers were James Mobberley, Chen Yi, and Gerald Kemner. A native of Oklahoma, McFerron also studied composition with Ray E. Luke. He has been on the faculty of Hong Kong Baptist University, the University of Missouri-Kansas City Conservatory of Music, and Kansas City Kansas Community College. McFerron has served as resident composer at the Chamber Music Conference of the East/Composers’ Forum in Bennington, Vt. McFerron serves on the board of the directors for the Metropolitan Youth Symphony Orchestra and is a past Chair of the Executive Committee for the Society of Composers, Inc.
McFerron’s music has received critical acclaim and recognition. Kristín Jónína Taylor’s recording of his Piano Sonata #2 was a finalist in the 2025 American Prize Ernst Bacon Memorial Award and received two silver medals by Global Music Awards. Loving Is, a chamber opera by McFerron, premiered at Carnegie Hall by the Remarkable Theater Brigade, and his solo piano work, Apprehension of the Eternal Will was premiered at Carnegie Hall by Matthew McCright in 2019. Perspectives for orchestra was awarded first prize in the Louisville Orchestra Composition Competition, was a recipient of the Chicago Symphony Orchestra’s “First Hearing” program, was awarded an honorable distinction in the Masterprize International Composition Competition, and was an honorable mention in the ASCAP Rudolf Nissim Prize. His Torrid Mix: Featuring DJ Jazzy King and Master L.T. was awarded the first prize in the 2006 Forecast Music Composition Competition and has subsequently been performed in concert over 150 times. McFerron was chosen the winner of the Cantus Commissioning/Residency Program, and he was a recipient of the 2021 LYNX Project commissioning project and the 2005 CCF Abelson Art Song Commission. His music was a finalist in the 1st International Electroacoustic Music Contest – CEMJKO, the 2004 Confluencias Electronic Miniatures II International Competition, the 2005 Truman State/MACRO Composition Competition, The 2005 American Modern Ensemble Composition Competition, the 2002 Swan Composition Competition, the 1999 Salvatore Martirano Composition Contest, and the 1997 South Bay Master Chorale Choral Composition Contest. McFerron has been a composers fellow at the MacDowell Colony, Ucross, June in Buffalo, and the Chamber Music Conference of the East/Composers’ Forum in Bennington, Vt. His music has been featured on numerous SCI National Conferences, SEAMUS National Conferences, the International Computer Music Conference (ICMC), Brooklyn College Conservatory’s Electroacoustic Music Festival, the MANTIS (UK) festival, ÉuCue “Plugged Festival” (Montreal), University of Richmond’s 3rd Practice Festival, New York City Electroacoustic Music Festival, Denison University TUTTI Festival, Manchester New Music Festival, Ball State University New Music Festival, Florida State University New Music Festival, Spark Conference, Florida International Electroacoustic Music Festival, Spring in Havanna, the MAVerick Festival, several SCI regional conferences, and concerts and radio broadcasts across the U.S. and throughout Europe. He has written music for many highly acclaimed performers including Kristín Jónína Taylor (piano), Matthew McCright (piano), Linda Chatterton (flute and piano), Adrianne Honnold (saxophone and electronics), LYNX Project (voice and piano), Vox Novus (electronics), Cantus (male chorus), SUNY-Oswego (orchestra and choir), Kristín Taylor (piano), GéNIA (piano and electronics), Andrew Spencer (percussion), Julia Bentley (voice and piano), the Chamber Music Conference of the East/Composers’ Forum (chamber music), Nelson-Atkins Museum of Art in Kansas City (piano and electronics), Lewis University (choir), Sumner Academy of Arts and Science (chamber music), and five times by the Metropolitan Youth Symphony Orchestra among others.
Tettix -A
이름/팀명: 타노스 폴리메네아스 (Thanos Polymeneas)
작품설명: 지중해 지역에서 여름을 보낸 이들이라면 누구나 특정한 시간과 장소에 고유한 몰입적 청각 경험을 접했을 것이다. 바로 매미의 노랫소리다. 매미의 끊임없는 울음은 황혼에서 새벽까지 대지를 가득 채우며, 누구도 그 소리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Tettix -A〉는 의도된 작업이라기보다는 일련의 창조적 “우연”에서 비롯된 전자음향 작품이다.
2022년 한여름, 남부 펠로폰네소스에서 현장 녹음을 하던 중, 모든 녹음이 매미 울음에 의해 “망가진 듯” 들렸다. 매미 소리가 너무 집요하게 녹음에 스며들어 결국 그 소리를 배제하기보다, 오히려 매미 자체를 주제로 한 작곡을 해야 한다는 생각에 이르게 되었다. 〈Tettix -A〉는 작곡가가 매미 소리를 다룬 첫 번째 작품으로, 앞으로도 이 특별한 곤충의 울음을 음악적으로 확장해 탐구할 계획을 품게 해 주었다. 이 작품은 단 몇 초간 지속되는 하나의 매미 솔로 샘플에서 출발한다. 이 원재료는 작품의 시작 부분에서 그대로 제시되며, 이후 그 변형과 처리 과정을 통해 방대한 오디오 데이터가 만들어졌다. 이 데이터는 스펙트럼 정보와 같은 특성 분석을 바탕으로 여러 범주로 나뉘었고, 이러한 거대한 자료의 탐색 과정을 통해 최종적인 작품의 구조가 형성되었다.
소개: 타노스 폴리메네아스-리온티리스(Thanos Polymeneas-Liontiris)는 작곡가이자 사운드 아티스트이며, 그리스 아테네 국립 카포디스트리아스 대학교에서 음악 & 인터랙티브 미디어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의 작업은 컴퓨터 기반 작곡, 인터랙티브 오디오비주얼 설치, 몰입형 오디오 워크, 생성 예술, 무용·연극·인터미디어 공연을 위한 인터랙티브 음악 등을 아우른다.
그는 로테르담 음악원에서 더블베이스와 전자음악 작곡 학사를 취득했으며, 헤이그 왕립음악원의 소노로지 연구소(Institute of Sonology)와 IRCAM에서 수학했다. 이후 발렌시아 공과대학교에서 예술과 기술 석사, 팔머스 대학교에서 창의교육 석사 학위를 모두 최우수 성적으로 마쳤다. 2019년에는 영국 서식스 대학교에서 전액 장학금(CHASE-AHRC)을 지원받아 박사 학위를 마쳤다.
2011년부터 고등교육 기관에서 강의해 왔으며, 팔머스 대학교, 서식스 대학교, 브라이턴 대학교, 이오니아 대학교, 아테네 국립 대학교 등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그의 작품은 Tectonics Festival, Modern Body Festival, 아테네 & 에피다우로스 페스티벌, Holland Festival, Todays Arts, 칼라마타 국제 무용 페스티벌, 아테네 콘서트홀, 오나시스 재단, 지중해 청년 비엔날레 등 다양한 무대에서 발표되었다. 또한 그의 연구는 교육학, 기술, 미학을 주제로 한 다수의 출판물로 이어지고 있다.
Sound Artist: Thanos Polymeneas
Program note: Whoever has spent their summer in any part of the Mediterranean basin, must have witnessed one of the most immersive aural experiences specific to that place and time, the cicadas’ song. Their pervasive sound runs continuously from dusk to dawn in any part of the land, making no one immune to it. The electroacoustic composition Tettix-‘A was the result of a series of creative “accidents” more than an aimed-for work. It all started in the hot haze of the summer 2022, while doing some field recordings in the south Peloponnese. All the recordings seemed to be “spoiled” (in one way or another) by the obsessive sound of the cicadas. The pervasiveness of the cicada’s sound in the recordings, caused the final submission to the idea of making a composition about cicadas, rather than trying to fight their sound. Tettix-‘A, is the first work of the composer on the sound of cicadas, and it fosters the idea to further explore musically the song of this extraordinary insect in future works. The entire piece is based exclusively on a single sample of one cicada solo, lasting only a few seconds, this material is exposed at the beginning of the work. Out of this small sample and its processed variations, a large corpus of audio content was made. The corpus was split into categories based on an analysis of its characteristics (e.g., spectral information). The navigation through this large corpus of data gave shape to the overall piece into its final form.
Bio: Thanos Polymeneas-Liontiris is a composer, sound artist and Assistant Professor (Music & Interactive Media), at National & Kapodistrian University of Athens, Greece. His practice comprises computer-aided compositions, interactive audiovisual installations, immersive audiowalks, generative art, interactive music for dance, theatre and intermedia performances.
He has obtained a BA in Double Bass, and a BA in Electronic Music Composition from Rotterdam Conservatoire, while following courses at the Institute of Sonology (Royal Conservatoire of The Hague) and at IRCAM. He completed two MA degrees, both with distinction: in Art and Technology (Polytechnic University of Valencia) and in Creative Education (Falmouth University). In 2019 he concluded his PhD research aided by a fully funded CHASE-AHRC scholarship at University of Sussex.
He has taught in Higher Education since 2011 (Falmouth University, University of Sussex, University of Brighton, Ionian University and National & Kapodistrian University of Athens).
His works have been presented, among others, at Tectonics Festival, Modern Body Festival, Athens and Epidaurus Festival, Holland Festival, Todays Arts, Attenborough Centre, Kalamata International Dance Festival, The Athens Concert Hall, Onassis Foundation, Biennale of Young Artists from Europe and the Mediterranean. His publications encompass subjects related to Pedagogy, Technology and Aesthetics.
Untitled #1
이름/팀명: 디미트리스 바카스 (Dimitris Bakas)
작품설명: 〈Untitled #1〉 은 프란시스코 로페스(Francisco López)와 제임스 웹(James Webb)이 주관한 남아프리카 Sonic Mmabolela 워크숍/레지던시에서 작곡된 사운드스케이프 작품이다. 이 작품은 청취자로 하여금 맥락적 연상에서 벗어나 지적인 부정을 요구하는 ‘부정신학적 태도(apophatic attitude)’ 속에서 소리를 경험하도록 초대한다.
작품은 필드 레코딩(field recording) 과 펜스(fence) 녹음(콘택트 마이크 사용) 두 가지 음향 재료를 사용한다. 특히 펜스의 소리를 증폭하고 변형하여 필드 레코딩과 결합하는 방식은 일상적으로는 불가능한 상호작용을 만들어내며, 이를 통해 현실과 상상의 경계에서 새로운 하이브리드 사운드스케이프를 구축한다.
소개: 디미트리스 바카스 (Dimitris Bakas, 1975·카테리니 출생)는 테오도르 안토니우(Theodore Antoniou)에게 작곡을 사사한 후, 런던 골드스미스 대학교에서 로저 레드게이트(Roger Redgate)의 지도 아래 석사(MMus)와 박사(PhD) 학위를 취득하였다. 또한 전자음악 작곡 석사 과정을 수료했으며, 2010–2011년에는 트리스탄 뮤라이(Tristan Murail)와 함께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방문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그의 음악은 영국, 그리스, 미국에서 연주되었으며, ICMC, SMC, Sonic Mmabolela 등 세계 각지의 콩쿠르, 레지던시, 학술 컨퍼런스에서 소개되었다. 또한 그리스 국립 오페라 등 주요 기관으로부터 작품을 위촉받았다.
사운드 아티스트로서 바카스는 박물관과의 협업을 통해 테살로니키 고고학 박물관, 스페인 레이나 소피아 국립 미술관(Museo Nacional Centro de Arte Reina Sofia) 등에서 설치 작품을 선보였다. 2022년에는 룩셈부르크 아트 프라이즈(Luxembourg Art Prize)에서 예술적 성취 증명서(Certificate of Artistic Achievement) 를 수상하였다. 또한 다큐멘터리를 비롯한 영화와 멀티미디어 프로젝트의 음악을 작곡했으며, 알자지라(Al Jazeera) 방영작과 여러 시각예술가들과의 협업 작업을 남겼다. 그는 현재 그리스 작곡가 연맹, HELMCA, KSYME, HSAE, temp’Ora Project의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Name: Dimitris Bakas
Program note: Untitled#1 is a Soundscape Composition composed during the Sonic Mmabolela Workshop/Residency in South Africa, organised by Francisco Lopez and James Webb. It focuses on the listening experience requiring an apophatic attitude from the listener, a type of intellectual negativity that is, which stands away from contextual associations of any sorts. The work uses two types of material, field recording and fence recordings (using contact microphones). By enhancing the recordings of the fence, it creates interplay between the two, something that is not possible otherwise, and by that a hybrid soundscape.
Bio: Born in Katerini in 1975, Bakas studied Composition with Theodore Antoniou before earning an MMus and PhD at Goldsmiths, University of London, under Roger Redgate. He also completed a Master in Electroacoustic Composition and was a visiting scholar at Columbia University (2010-2011) under Tristan Murail.
His music has been performed in the UK, Greece, and the USA, featured in competitions, residencies, and conferences worldwide, including ICMC, SMC, and Sonic Mmabolela. He has received commissions from institutions such as the National Greek Opera.
As a sound artist, he collaborates with museums, creating installations for institutions like the Archaeological Museum of Thessaloniki and the Museo Nacional Centro de Arte Reina Sofia. His work was recognized with a Certificate of Artistic Achievement from the Luxembourg Art Prize (2022).
Bakas has also composed for film and multimedia projects, including documentaries aired on Al Jazeera and collaborative works with visual artists. He is a member of the Greek Composers Union, HELMCA, KSYME, HSAE, and the temp’Ora Pro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