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ssion 4
Sadarghat
이름/팀명: 벤 하미드 (Ben Hamid)
작품설명: 뤽 페라리(Luc Ferrari)와 같은 작곡가들에게서 영감을 받았다. 이 작품은 방글라데시 다카의 부리강가(Buriganga) 강을 따라 펼쳐지는 자연과 도시 환경의 관계를 탐구하며, 사다르가트(Sadarghat)에서의 삶을 ‘소리의 사진 슬라이드’처럼 담아낸다.
과거 ‘동양의 베네치아’라 불렸던 옛 다카의 수로는 단순히 무역, 상업, 교류의 기능을 넘어 물을 기반으로 한 도시 설계적 특징과 문화를 형성해 왔다. 강의 넓은 물줄기는 좁고 구불구불한 거리와 대비되며, 지평선을 확장하고 다카와 나라의 다른 지역들을 잇는 중요한 항로가 되어왔다. 그러나 도시의 팽창은 자연적·문화적 기능에 도전을 불러왔다. 댐과 제방은 강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방해하고, 산업 폐기물·하수·기름띠는 한때 위대했던 부리강가 강을 죽음 직전의 상태로 몰아넣었다.
이 작품에서는 다양한 삶과 활동이 목격된다. 신선한 농산물을 내리는 시장 상인들, 지방 도시로 향하는 승객들로 가득 찬 배, 지나가는 엔진 소리 사이로 드러나는 조선소의 리드미컬한 맥박—근육과 힘줄이 오랫동안 원 소유자에게 잊힌 선박을 복구하고 재활용하는 풍경. 나룻배에 부딪히는 잔잔한 물결과 머리 위를 선회하는 앵무새와 솔개들의 울음소리까지 포착된다.
소개: 벤 하미드(Ben Hamid)는 실험 전자 음악을 배경으로 한 사운드 아티스트이다. 그의 최근 작업은 아쿠스마틱과 제스처 중심적 경향을 포함하며, 베이스/디컨스트럭티드 클럽 음악에서 파생된 스펙트럼적·구조적 요소들을 탐구한다. 또한 그는 장소성과 소속감의 개념을, 모방적·청각적 담론을 탐구하는 과정을 통해 고찰하고 있다.
Name: Ben Hamid
Program note: Taking inspiration from composers such as Luc Ferrari, this piece offers a ‘sonic photographic slide’ of life at the Sadarghat,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al and urban environment along the Buriganga River in Dhaka, Bangladesh.
Once known as ‘the Venice of the East’ the waterways of old Dhaka function not only for trade, commerce and communication but also establish an urban design character and culture based upon water. The wide expanse of the river contrasts with the narrow, winding streets, expanding the horizon and providing a major navigation link between Dhaka and other parts of the country.
The growth of the city has introduced challenges to the natural and cultural functions, with dams and embankments interfering with normal river flows while industrial waste, sewage and oil slicks have caused the once mighty Buriganga to be on the verge of dying.
In this piece the variety of life and activity can be witnessed. From the market traders unloading fresh produce to the passenger filled launches setting out to provincial towns. Between the passing engines, the rhythmic pulse of the shipyards becomes apparent with muscle and sinew working to recommission and recycle vessels that have been long forgotten by the original purchasers. The gentle lap of the water on the ferryman's boat and the cry of parrots and kites wheeling overhead.
Bio: Ben Hamid is a sound artist with a background in experimental electronic music. Recent work incorporates Acousmatic and gesture-led tendencies, with spectral and structural elements derived from bass/deconstructed Club Music. Concepts of place and the sense of belonging are considered through the exploration of mimetic and aural discourse.
Pendlerdrøm
이름/팀명: 배리 트루액스 (Barry Truax)
작품설명: 〈Pendlerdrøm〉(덴마크어로 "통근자의 꿈")은 코펜하겐 중앙역에서 집으로 향하는 통근자의 여정을 재현한 사운드스케이프 작품이다. 작품 속 통근자는 두 번의 순간—하나는 역에서, 또 다른 하나는 기차 안에서—몽상에 잠긴다. 그때 역에서 반쯤만 들었던 소리들이 다시 돌아와, 그 소리들의 음악적 특성이 드러난다. 이 꿈의 결과로 통근자는 다음 날 역의 사운드스케이프를 이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그 안의 음악성을 새롭게 인식하게 되기를 바란다. 청자들 또한 이 작품을 두 번째 들을 때, 바로 그 동일한 측면들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소개: 배리 트루액스(Barry Truax)는 사이먼 프레이저 대학교(Simon Fraser University) 커뮤니케이션 학부 명예교수이다. 그는 월드 사운드스케이프 프로젝트(World Soundscape Project) 에 참여하여 Handbook for Acoustic Ecology 편집에 기여했으며, 저서 Acoustic Communication을 출간했다.
Name: Barry Truax
Program note: Pendlerdrøm (or "Commuterdream") is a soundscape composition that recreates a commuter's trip home from the Central Train Station in Copenhagen. At two points, one in the station and the other on the train, the commuter lapses into a daydream in which the sounds that were only half heard in the station return to reveal their musical qualities. It is hoped that the next day the commuter will hear the musicality of the station's soundscape in a different manner as a result of the dream; the rest of us may discover the very same aspects the second time we hear the work.
Bio: Barry Truax is a Professor Emeritus in the School of Communication at Simon Fraser University. He worked with the World Soundscape Project, editing its Handbook for Acoustic Ecology, and has published a book Acoustic Communication
Life within 500 meters
이름/팀명: 자오 샤오야 (Xiaoya Zhao)
작품설명: 이 사운드 기반 프로젝트는 바이노럴 리스닝을 활용해, 자신이 속한 가까운 환경을 지각하는 감정적·사회적 차원을 탐구한다. 런던 웨스트햄(West Ham)에 위치한 작가의 동네를 중심으로, 반경 약 500미터라는 상징적 공간 안에서 기차가 지나가는 소리, 시장의 잡음, 새소리, 멀리서 들려오는 대화 등 주변의 일상적 소리들을 채집했다. 이 소리 조각들은 기억과 현존을 매개하는 능동적 장치로 재구성된다.
작품은 사회인류학자 시앙 비아오(Xiang Biao)가 제시한 “근처의 소멸(disappearance of the nearby)” 개념에서 영감을 받았다. 이는 도시 생활이 근접성의 감정적·사회적 실체를 어떻게 침식시켰는지를 비판하는 관점이다. 본 작업은 우리가 흔히 간과하는 소리에 주목함으로써, 화려한 장관이 아닌 섬세한 주의의 행위를 통해 장소와의 관계를 다시 상상하도록 초대한다.
소개: 자오 샤오야(Xiaoya Zhao)는 다학제적 사운드 아티스트로, 실험 영화, 사운드 디자인, 랜드 아트, 설치, 사진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한다. 중국에서 태어나고 성장했으며, 영국 요크 대학교에서 음악 및 사운드 레코딩 학위를 취득한 뒤 현재 UCL에서 Design Audio Experience 석사 과정을 밟고 있다.
그녀의 작업은 기술적 엄밀성과 개념적 탐구를 결합하며, 일상의 소리와 사물에 주의를 기울이는 실천을 기반으로 전개된다. 그녀의 접근은 부과된 내러티브보다 미묘한 세부에 주목하며, 재료와 소리 요소들이 자율적으로 전개되도록 허용한다. 의미는 그 과정 속에서 유기적으로 떠오른다. 그녀가 말했듯, “자율적 상태에서 사물은 흐르게 된다”는 태도는 고정된 해석에 저항하는 작품 세계를 향한 그녀의 확고한 의지를 드러낸다.
Name: Xiaoya Zhao
Program note: This sound-based project uses binaural listening to explore the emotional and social dimensions of perceiving one’s immediate surroundings. Focusing on the artist’s neighbourhood in London’s West Ham, the work captures ambient sounds and informal voices from within a loosely defined 500-meter radius — a symbolic space of the "nearby". These everyday sonic fragments — passing trains, market chatter, birdsong, and distant conversations — are reframed as active carriers of memory and presence. The work is informed by social anthropologist Xiang Biao’s concept of the “disappearance of the nearby”, which critiques how urban life has eroded the emotional and social substance of proximity. By listening closely to the overlooked, the artist invites us to reimagine our relationship to place — not through spectacle, but through subtle acts of attention.
Program note: This sound-based project uses binaural listening to explore the emotional and social dimensions of perceiving one’s immediate surroundings. Focusing on the artist’s neighbourhood in London’s West Ham, the work captures ambient sounds and informal voices from within a loosely defined 500-meter radius — a symbolic space of the "nearby". These everyday sonic fragments — passing trains, market chatter, birdsong, and distant conversations — are reframed as active carriers of memory and presence. The work is informed by social anthropologist Xiang Biao’s concept of the “disappearance of the nearby”, which critiques how urban life has eroded the emotional and social substance of proximity. By listening closely to the overlooked, the artist invites us to reimagine our relationship to place — not through spectacle, but through subtle acts of attention.
Bio: Xiaoya Zhao is a multidisciplinary sound artist whose practice spans experimental film, sound design, land art, installation, and photography. Born and raised in China, Xiaoya holds a degree in Music and Sound Recording from the University of York and is currently completing a Master’s in Design Audio Experience at UCL, where she combines technical rigor with conceptual inquiry. Her work is rooted in attentive listening to everyday sounds and objects, privileging subtle details over imposed narratives. Embracing an approach that lets materials and sonic elements unfold autonomously, she invites meaning to emerge organically. As she reflects, “In an autonomous state, things will flow,” embodying her commitment to artworks that resist fixed interpretations.
Varech
이름/팀명: 레오 마니앵 (leo magnien)
작품설명: 〈Varech〉은 좌초의 상태를 다루는 작품이다. 이는 고립된 장소에서 비롯되며, 그곳에서는 외부가 흘러가는 모습을 지켜볼 수 있다. 텅 빈 박물관, 조류에 갇힌 섬, 얼어붙은 숲속의 집—그 지점들에는 불안과 집중의 층위가 꿰매어져 있다. 겉으로는 정지한 듯 보이지만, 그 내부에서는 더 큰 힘에 다가서는 과정들이 얽히며 전개된다. 그리하여 해안선의 기억과 내면 깊은 움직임이 소리의 형상으로 드러나고, 다가올 변화를 향해 선회하는 망루가 세워진다.
소개: 레오 마니앵(Leo Magnien, 1985)은 고정된 소리와 살아있는 소리 모두를 다루며 작업한다. 라디오 방송국에서 야간 근무를 하던 중, 그는 아쿠스마틱 사운드와 전송의 시적 본질을 발견했다. 그 이후 그의 모든 작업은 포노그래피(phonography)를 기반으로 한 청취적 실천으로 발전해왔다. 그는 소리를 우리를 세계와 엮어주는 촉각적 매개로 바라보며, 미묘한 변주와 희미한 지각에 집중하고, 그것을 청자에게 어떻게 제시할 것인가에 주목한다. 현재 그는 프랑스 북부의 자연 보호 구역에서 거주하며 작업하고 있다.
Name: leo magnien
Program note: «varech» is about being stranded. It comes from places in isolation, from which the outside can be seen flowing around. An empty museum, an island locked in the tidal currents, a home in the forest frozen; points where layers of angst and focus are sewn. Inside the apparent stasis, processes unfolding and approaching larger forces immingle. Hence appear the sounding shapes of coastline memories and innermost motions, a watchtower turned towards forthcoming change.
Bio: leo magnien (1985) works with sounds, fixed and living as well. During night shifts in a radio station, he discovered the poetic nature of acousmatic sound and transmission. He has since developed a practice of listening that results in the use of phonography as a basis of all his works. He considers sound as a tactile media that weaves us in the world. His focus is on the subtle variations, the tenuous perceptions, and how to present these to the listener. He currently lives in a natural zone in northern france.
Fluxus, pas trop haut dans le ciel
이름/팀명: 하이메 헤이스 (Jaime Reis)
작품설명:이 작품은 〈Fluxus〉 연작에 속하며, 물리학의 여러 요소에서 영감을 받아 유체역학과 관련된 물리적 현상을 음악적 요소로 발전시키는 작업이다. 이 연작에는 〈Fluxus, Dimensionless Sound for Flute and Electronics〉(2012, 파리 Festival for the Liberation of Sound and Image 위촉), 〈Fluxus, Transitional Flow〉(2013, 포르투갈 Festival Primavera 위촉), 〈Fluxus, Lift〉(2013, Festival Monaco Électroacoustique 초연) 등이 포함된다.
이번 작품은 특히, 작곡가 본인이 “공중적(aerial) 사운드스케이프”라 명명한 개념과 관련된 아이디어에 집중한다. 형식적 전개는 버니 크라우스(Bernie Krause)의 개념인 지오포니(geophony), 바이오포니(biophony), 앤스로포포니(anthropophony) 세 축 위에 세워졌다. 각 부분은 특정한 공간적 움직임을 통해 연결되며, 음원과 사건의 인식이 드러나거나 숨겨지는 방식으로 서로 다른 청각적 명료성을 창출한다.
이 작품에서 사운드의 공간화(spatialization) 는 중심적인 음악적 매개변수로 작동한다. 스피커 내 소리의 분포는 단순한 움직임이나 공간적 ‘형태’에 그치지 않고, 스펙트럼의 변화나 속도의 차이와 결합하여 어떤 경로는 뚜렷하게, 또 어떤 경로는 전혀 인식할 수 없게 만든다. 이러한 공간적 ‘형태’와 ‘경로’는 내가 명명한 “타원 회전(elliptical rotations)”, “나선(spirals)”, “회전(rotations)”, “스펙트럼 폭발(spectral explosions)”로 표현되며, 이는 다시 “소리의 흡입(sound suctions)”, “소리의 벽(walls of sound)”, “점(points)”, “기하학적 형태”, “리사주 곡선(Lissajous curves)”, “사운드 떼(sound swarms)” 등의 다양한 청각적 현상으로 확장된다. 이러한 형태와 경로들은 단순히 움직임의 나열로 들리기 위한 것이 아니라, 작품의 거시적 구조와 에너지 흐름을 구성하는 핵심적 형식 요소로 작동한다.
소개: 이메 헤이스(Jaime Reis)는 포르투갈 출신의 작곡가이다. 그는 칼하인츠 슈톡하우젠(Karlheinz Stockhausen)과 에마뉘엘 누네스(Emmanuel Nunes)에게 사사했으며, 그 이전에는 J.P. 올리베이라(J.P. Oliveira)와 함께 작곡과 전자음악을 공부했다. 2003년부터 Projecto DME의 창립자이자 예술감독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2017년부터는 Lisboa Incomum의 예술감독을 맡고 있다. 그의 작품은 기악과 전자음악을 아우르며 전 세계 20여 개국에서 연주되었고, ZKM, IRCAM, Musikfabrik, Vienna Acousmatic Project, Aleph Guitar Quartet, Musiques & Recherches 등 다양한 기관 및 앙상블과 협력해왔다. 현재 그는 리스본 국립음악원(ESML)에서 작곡 및 전자음악 교수로 재직 중이다.
Name: Jaime Reis
Program note: This piece belongs to the cycle Fluxus, whose pieces are inspired by elements of physics and in which musical elements that relate to certain physical phenomena related to fluid mechanics are developed. Other pieces of this cycle are Fluxus, Dimensionless sound for flute and electronics (commissioned by Festival for the Liberation of Sound and Image, Paris, 2012), Fluxus, Transitional Flow (commissioned by Festival Primavera, Portugal, 2013), Fluxus, Lift (premiered at the Festival Monaco Électroacoustique 2013), among other compositions in progress. This particular piece is centered in ideas related to what I have called "aerial" soundscapes. The formal development is based on 3 pillars that were inspired Bernie Krause's concepts geophony, biophony, and anthropophony (géophonie, biophonie, anthropophonie). The sections are interconnected through specific spatial movements that show our hide their own paths, recognition of sound sources and other events in order to create moments that are more or less clear in the perception of themselves. The sound spatialization acts as a central musical parameter, where the distribution of sound within the loudspeakers is related not only to different kinds of movements and spatial "shapes", but related and associated to spectral changes, different speeds and other parameters that make the spatial movements (paths) to be more, less and even unrecognizable. Some spatial "shapes" or "paths" relate different parameters in order to create movements that I have called "elliptical rotations", "spirals", "rotations", "spectral explosions" related to upwards or downward movements of sound or into "sound suctions", "walls of sound", "points", "geometrical shapes", "lissajous curves", "sound swarms", and others. Such "shapes" / "paths" aren't intended to be listened as a catalogue os movements, but they are relate formal aspects of the macro structure, but also from the "energy flow" that is present in each of the used sound worlds.
Bio: Jaime Reis is a Portuguese composer who studied with Karlheinz Stockhausen and with Emmanuel Nunes, after studying Composition and Electronic Music with J.P.Oliveira. He is the founder and artistic director of Projecto DME (since 2003) and of Lisboa Incomum (since 2017). His music, both instrumental and electroacoustic, has been performed in over 20 countries. He has worked with institutions/ensembles such as ZKM, IRCAM, Musik Fabrik, The Vienna Acousmatic Project, Aleph Guitar Quartet, Musiques & Recherches. He is a Professor of composition and electronic music at the Lisbon College of Music (ESML), where he coordinates the Composition Department.
Arioso
이름/팀명: 존 영 (John Young)
작품설명: 〈Arioso〉는 미국 오하이오주 오벌린(Oberlin)의 타판 스퀘어(Tappan Square)에서 경험한 한 습한 9월 밤의 사운드스케이프에서 출발하였다. 귀뚜라미들의 합창과 보행자 신호기의 전자음은 끊임없이 울리며 주기적으로 맞물려, 음정과 맥동하는 입자적 노이즈의 질감을 형성하였다. 인공적 맥동음의 순수함과 곤충들의 공간적으로 풍부한 울음이 어우러진 이 이질적 이중주의 필드 레코딩은 작품의 구조적 토대가 되었다.
새벽 직후, 집 근처 하늘을 선회하는 잭도우(jackdaw) 무리의 비행 소리는 자연의 또 다른 창을 열어주며, 작품의 강렬한 리듬적 형태를 지탱하였다. 작품의 형식은 전통적인 서창풍 ‘아리오조(arioso)’를 느슨하게 반영한다고 할 수도 있지만, 동시에 제목 Arioso (= ‘공기 같은’)는 2021년 오벌린의 밤에 공기가 활기차게 진동하며 자아낸 감각적이고 신비로운 분위기를 담아내고자 한 것이다.〈Arioso〉는 2021년 영국 레스터의 드 몽포르 대학교(De Montfort University) 음악·기술·혁신 연구소에서 제작되었으며, 같은 해 6월 13일 오스트리아 빈 루프레히츠 교회에서 열린 Neue Musik in St Ruprecht – Simplicity 콘서트에서 토마스 고르바흐(Thomas Gorbach)에 의해 초연되었다. 또한 2022년 아르헨티나 마르델플라타에서 열린 제14회 Destellos 전자음향 작곡 콩쿠르에서 2등상(공동 수상)과 청중상 1위(공동 수상)을 수상하였다.
소개: 존 영(John Young)은 드 몽포르 대학교(De Montfort University, DMU) 작곡과 교수이다. DMU에 합류하기 전에는 뉴질랜드 웰링턴 빅토리아 대학교 전자음악 스튜디오 소장을 역임하였다. 그는 전자음향 음악을 전문으로 하며, 대규모 스피커 배열을 위한 몰입형 아쿠스마틱 음악, 기록 자료와 구술사를 활용한 다큐멘터리적 작품, 전자 자원을 결합한 기악 작품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작업하고 있다. 지금까지 9개의 국제 작곡상을 수상했으며, 라디오 프랑스로부터 두 차례 위촉을 받았다. 또한 영국, 유럽, 오세아니아, 남·북아메리카 전역에서 솔로 공연을 가졌고, 스웨덴, 프랑스, 캐나다, 미국, 뉴질랜드 등지에서 창작 레지던시를 수행하였다. 그의 음악은 몬트리올의 Empreintes DIGITALes에서 출판되었으며, 〈La limite du bruit〉, 〈Histoires de soldats〉, 〈Espaces lointains〉, 〈Lieu-temps: Of Place and Time〉 등 네 장의 솔로 음반이 발매되었다.
Name: John Young
Program note: The composition of Arioso grew from a soundscape experience on a humid September night in Tappan Square in Oberlin (Ohio, USA), where a chorus of crickets and the constant electronic beep of pedestrian crossing signals formed a texture of cyclically interlocking pitch and throbbing granular noise. My field recording of this unlikely duet between the purity of an artificial pulsing tone and the spatially rich stridulation of insects underpins the structure of the piece. A flock of jackdaws circling in flight near my home just after dawn provides another window on the world of natural sound, supporting the work’s emphatic rhythmic shapes. While the form might be loosely thought of as reflecting the traditional recitative-like ‘arioso,’ the title (Arioso = ‘airy’) is also intended to be more deeply indicative of the atmosphere of sensual mystery I found with the air set in vibrant motion that night in Oberlin.
Arioso was realized in 2021 in the Music, Technology and Innovation Research Laboratory at De Montfort University (Leicester, UK), and was premiered on June 13, 2021 by Thomas Gorbach during the concert Neue Musik in St Ruprecht – Simplicity at Ruprechtskirche in Vienna (Austria). Arioso was awarded both the 2nd Prize ex æquo and the 1st Audience Prize ex æquo in the 14th Destellos Electroacoustic Composition Competition (Mar del Plata, Argentina, 2022).
Bio: John Young is Professor of Composition at DMU. Prior to joining DMU he was Director of The Electroacoustic Music Studios of the Victoria University of Wellington, New Zealand. John specialises in electroacoustic music—including immersive acousmatic music for large arrays of loudspeakers, documentary-styled works using archival and original oral histories as well as instrumental music with electronic resources. Winner of nine international awards for composition, he has been commissioned twice by Radio France and given solo performances across the UK, Europe, Australasia, North and South America and held creative residencies in Sweden, France, Canada, USA and New Zealand. His music is published by Empreintes DIGITALes, Montréal, with four solo discs: La limite du bruit, Histoires de soldats, Espaces lointains and Lieu-temps: Of Place and Time, the latter the product of an AHRC Research Leave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