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ssion 2

Le Chant du bollard(The song of the bollard)
이름/팀명: 크리스티앙 엘루아 (Christian Eloy)
작품설명: 이 작품은 하나의 완전한 필드 레코딩 세션으로, 마치 사운드 필름처럼 론강(Rhône, 프랑스)의 갑문을 통과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물은 하나의 생명 전체를 지탱할 수 있으며, 육상인들에게는 낯설게 들릴 강렬한 인간 활동의 소리들로 가득 차 있다. 강 위를 항해하면 소리 환경은 온전히 유동적이며, 물이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크고 작은 충돌과 충격들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 작품은 거대한 론강 갑문을 보트로 지나며 들려오는 물의 소리를 담은 것으로, 모든 것이 증폭되어 장엄한 충만함을 드러낸다.

볼라르(bollard)는 보트가 갑문 안에서 묶이는 수직 슬라이딩 장치로, 물이 갑문 안으로 떨어지는 동안 내내 불연속적이고 무작위적인 소리를 낸다. 이 거대한 소리의 대성당 속에는 이런 방식으로 ‘노래하는’ 볼라르가 대략 열두 개 정도 존재한다.

소개: 크리스티앙 엘루아는 1945년 프랑스 아미앵에서 태어나 국립 지역 음악원에서 플루트와 작곡을 공부한 후, 파리 고등 음악원(Conservatoire Supérieur de Paris)으로 진학했다. 더블린에서 민족음악학을 접했다. 프랑스 파리에서는 GRM과 IRCAM에서 이보 말렉(Ivo Malec), 기 레이벨(Guy Reibel), 프랑수아 바이유(François Bayle)와 함께 전자음향 음악을 연구했다. 
그는 보르도 음악원에서 24년간 전자음향 작곡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파리 GRM(Groupe de Recherches musicales) 워크숍에서도 17년간 교육 활동을 이어갔다. 또한 보르도 대학의 창작 및 연구 스튜디오 SCRIME의 공동 창립자이자 12년간 예술 감독을 맡았으며, 2014년에는 국제 전자음향 음악 경연대회 Concours de composition acousmatique petites formes를 공동 설립했다.

그는 50여 곡 이상의 기악곡, 성악곡, 전자음향 음악, 교육용 작품, 전자음향 동화, 아동 오페라 등을 작곡했으며, 이 중 다수는 프랑스 국립 기관, GRM, 라디오 프랑스의 위촉으로 제작되었다.
Name: Christian Eloy
Program note: It’s a complete field recording session, kind of sound film of a passage  through a lock on the River Rhône (France). The water can sustain an entire life and intense human activity full of strange sounds for “terrestrials”; navigating in rivers where the sound environment is all fluidity can also create shocks, more or less violent, since the water is in movement. This, therefore, is water heard from a boat passing through one of the immense locks on the Rhône, where everything is amplified and takes on a grandiose fullness.

A bollard is a vertical sliding system to which boats tie up in locks; it emits discontinuous random sounds during the whole time the water is falling in the lock, and there are about a dozen that “sing” in this way in this gigantic sonorous cathedral.

Bio: Born in 1945 in Amiens (France) where he studied flute and composition at Conservatoire National of Region, then he goes to Conservatoire Superior of Paris.
He met ethnomusicology in Dublin and electroacoustic music in Paris with Ivo Malec, Guy Reibel, François Bayle at GRM and IRCAM. Teacher for 24 years of the electroacoustic composition department at Conservatory in Bordeaux. Teacher for 17 years at the GRM (Groupe de Recherches musicales) workshops in Paris. Co-founder and artistic director of SCRIME for 12 years (creation studio and research lab) at Bordeaux University. Co-founder of International Competition Concours de composition acousmatique petites formes in 2014.

Composer of over fifty pieces of instrumental music, vocal, electroacoustic music, teaching pieces, electroacoustic tales, operas for children among which were commissioned by state, GRM and Radio France.
CityScape III 
이름/팀명: Taxiarchis Diamantopoulos 
작품설명: CityScape III(2024)는 2010년대 말에 시작된 도시 풍경 연작에 속한다. 이 작품은 포스트-콘크리트 접근 방식을 따르며, 주로 가전제품, 조명 장치, 그리고 산업 기계에서 나온 소리들을 가공하거나 원음 그대로 사용하여 상상의 풍경, 새로운 도시적 음향 공간을 구성한다.

소개: Taxiarchis Diamantopoulos는 그리스 전자음악 작곡가 협회의 회원이다. 그는 아테네 미술학교에서 사운드 작곡을 가르치고 있다.
Name: Taxiarchis Diamantopoulos
Program note: CityScape III (2024) belongs to a cycle of urban-scape works commencing at the end of the 2010s. Following a post-concrete approach, sources derived mostly from domestic appliances, light equipment as well as industrial machinery -either processed or on their own-, compose imaginary landscapes, emerging urban sound spaces.

Bio: Taxiarchis Diamantopoulos is a member of the Hellenic Electroacoustic Music Composers Association. He holds a teaching position in Sound Composition at the Athens School of Fine Arts.
Par une belle fin d'apres-midi
이름/팀명: 니코스 스타브로풀로스 (Nikos Stavropoulos)
작품설명: 이 작품은 친밀하고 폐쇄적인 청각적 장소와 광활한 공간을 대비시키며, 그 상호작용을 통해 전개된다. 제목은 르네 마그리트(René Magritte)의 그림에서 차용한 것으로, 산악 풍경 속에 두 개의 관이 나란히 놓여 있는 장면을 묘사하고 있다. 작품의 원천 재료는 구형 배열의 18채널 마이크로 녹음되었으며, 고차 앰비소닉스(Higher Order Ambisonics)로 인코딩되었다. 본 작품은 2024년 여름, Musiques & Recherches의 지원을 받아 Métamorphose d’Orphée 스튜디오에서 완성되었다.

소개: 니코스 스타브로풀로스(그리스 아테네, 1975)는 주로 아쿠스마틱 및 혼합 음악을 작곡하는 작곡가다. 그는 영국 웨일스 대학교(University of Wales, Bangor)에서 음악을 전공하며 앤드류 루이스(Andrew Lewis)에게 작곡을 사사했고, 이후 영국 셰필드 대학교(University of Sheffield)에서 에이드리언 무어(Adrian Moore)의 지도를 받아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의 음악은 전 세계에서 정기적으로 연주되고 방송되며, 여러 차례 국제적으로 수상하기도 했다. 그의 작업은 아쿠스마틱 경험 속에서 촉각성과 몰입성의 개념, 그리고 음향 공간의 조직화에 중점을 두며, “청각적으로 있을 법한 불가능성(probable aural impossibilities)”을 추구한다. 2006년부터 그는 영국 리즈 베케트 대학교(Leeds Beckett University) 음악·사운드·퍼포먼스 그룹의 일원으로 활동하며, 현재 작곡 교수로 재직하며 전자음향 음악을 가르치고 있다. 또한 Echochroma New Music Research Group의 공동 창립자이며, 영국 전자음향 네트워크(BEAN)와 그리스 전자음악 작곡가 협회(HELMCA)의 회원이다.
Name: Stavropoulos, Nikos
Program note: The work is contrasting aural places of intimacy and enclosure with expansive spaces and propagates through their interaction. The title is borrowed from a painting by René Magritte, depicting two coffins seated in a mountainous landscape. The source materials for the work have been recorded with an 18 channel microphones arrange in a globe shape, encoded in Higher Order Ambisonics. The work was completed with the support of Musiques & Recherches at the Métamorhose d'Orphée studio during in the summer of 2024.

Bio: Nikos Stavropoulos (Athens, Greece, 1975) is a composer of predominantly acousmatic and mixed music. He read music at the University of Wales (Bangor, Wales, UK), where he studied composition with Andrew Lewis and completed a doctorate at the University of Sheffield (England, UK) under the supervision of Adrian Moore. His music is performed and broadcast regularly around the world and has been awarded internationally on several occasions. His practice is concerned with notions of tangibility and immersivity in acousmatic experiences and the articulation of acoustic space, in the pursuit of probable aural impossibilities. Since 2006, he has been a member of the Music, Sound & Performance Group at Leeds Beckett University (Leeds, England, UK), where he is a Professor  in Composition and lectures on Electroacoustic Music. He is a founding member of the Echochroma New Music Research Group, a member of the British ElectroAcoustic Network (BEAN) and the Hellenic Electroacoustic Music Composers Association (HELMCA).
Water Experience in Kalibata Pulo
이름/팀명: 반 루베르 파렌센 (Van Luber Parensen)
작품설명: 이 작품은 도시 마을 칼리바타 풀로(Kalibata Pulo)의 밀집된 환경 속을 걷는 경험에서 출발한다. 그 속에서 드러나는 우연적이면서도 조직적인 강렬함은 고요와 움직임, 정지와 변화 가능성, 현재와 과거의 경계를 흐리게 만든다. 특히 막힌 파이프에서 흘러나오는 물소리와 빗방울이 흩뿌려지는 소리 등, 물이 지닌 음향적 질감과 음악적 측면을 탐구한다. 작품은 실제와 상상의 공간적 코드, 환경음, 인간의 활동, 그리고 물에 얽힌 기억과 성찰의 순간들을 교차적으로 삽입하며 전개된다.

소개: 반 루베르 파렌센은 자카르타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아티스트이자 영화감독이다. 자카르타의 예술 단체 Forum Lenteng의 일원으로, 그의 영화는 다수의 국내외 영화제와 포럼에서 상영되었다. 음악 작곡, 사운드스케이프, 회화, 스케치, 콜라주 등 다양한 매체를 넘나들며 작업하며, 2023년부터는 자카르타 기반의 사운드 콜렉티브 SIGISORA와 함께 작곡 실천과 연구를 중심으로 한 사운드 기반 예술에 집중하고 있다.
Name: Van Luber Parensen
Program note: Departing from a series of experiences walking in the dense environment of Kalibata Pulo as an urban village, with their random yet organized intensity, are experiences which blur the boundaries between what is calm and moving; what is still and what might change in the future; between the present and the past. The exploration of musical aspects and textures of the sound of water, in particular, in clogged pipes and sprinkle of rain, followed by spatial codes, both real and imaginary; environmental sounds, human activity, as well as inserts of reflective moments and their memory of water.

Bio: Van Luber Parensen is an artist filmmaker based in Jakarta. He is part of Forum Lenteng, a cultural organisation in Jakarta. His films have been screened at several national and international festivals and forums. As an artist, he works in various mediums, such as musical composition, soundscapes, painting, sketching, and collage. 

Since 2023, with SIGISORA, a sound collective based in Jakarta, he has been focusing on sound-based art, both in the realm of composition practice and study.
Acousma
이름/팀명: 도아 위냐일라르 (Doğa Ünyaylar)
작품설명: 〈Acousma〉는 나의 사운드 워크(sound walk) 실천을 바탕으로 한 전자음향 작품이다. 이스탄불의 여러 장소에서 채집한 환경 필드 레코딩을 변형·조작하여 구성되었으며, 작품은 공간적 분위기를 드러내며 공허함과 무한함의 감각을 불러일으킨다. 동시에 즉흥적인 목소리와 멀리서 들려오는 동방적 선율은 다시금 지상으로의 귀환을 환기시킨다.

소개: 도아 위냐일라르(Doğa Ünyaylar)는 이스탄불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사운드 및 현대 예술가이다.
Name: Doğa Ünyaylar
Program note: Acousma is an electroacoustic sound composition based on my sound walk practice. It is created through the manipulation of environmental field recordings taken from various locations in Istanbul. The piece constructs a spatial atmosphere evoking a sense of emptiness and infinity, while the use of improvised voice and distant Eastern tones evokes a return to the earthly.

Bio: Doğa Ünyaylar is a sound and contemporary artist based in Istanbul.
Entanglement
이름/팀명: 임태규
작품설명: 독일 Wiesbaden에서 직접 녹음한 도시의 사운드스케이프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진행되지만, 녹음 당시 함께 기록된 작가의 심박수 변화에 맞춰 재생 속도가 끊임없이 변동한다. 이로 인해 재생 속도의 변화와 함께 음고 또한 변하며, 원본 재생 시간은 약 15분에 달한다. 이를 통해 청중은 작가의 상태에 따른 시간의 상대성과 그로 인한 비선형성을 체험하게 된다. 이는 마치 무언가에 몰입할 때 시간이 빠르게 흐르고, 반대로 집중하지 못할 때는 시간이 느리게 흐르는 것과 같은 감각을 불러일으킨다. 또한, 약 100년에 걸쳐 도시와 함께한 나무의 나이테 데이터를 활용해 생성된 소리를 역재생한 리듬은 정방향으로 재생되는 사운드스케이프와 동시에 재생된다. 나무의 내부·외부 요인에 의해 비선형적으로 기록된 나이테는 불규칙한 파형을 형성하며 독특한 리듬을 만들어낸다. 이 리듬은 현재의 15분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반복되면서 과거와 현재를 교차시키고, 시간의 흐름을 선형이 아닌 다층적이고 비선형적인 형태로 표현한다. 
이 작품을 통해 관객은 소리를 통해 전달되는 비선형적인 시간 지각을 경험할 수 있다.

약력: 
EP [Pale] 발매 (2020) 
Johannes Gutenberg University Mainz (Hochschule für Musik) / Germany Master of Music (Klangkunst), 2024~ 재학중 

전시 및 공연 
Atem Project, 2024 (Mainz, Germany) 
Jack in the BlackBox, 2024 (Mainz, Germany) 
To hear a Sound is to see a Space, 2025 (Trier, Germany) 
SoundArt for Digital Metamorphosis, 2025 (Dijon, France) 
To See a Space is to Imagine Sounds, 2025 (Koblenz, Germany) 

그 외 사운드 아트, 미디어 아트 작업 다수
Name: Taegyu Lim
Program note: This work is a sound art piece based on the urban soundscape and tree ring data, presenting a nonlinear perception of time.

The urban soundscape, recorded live in Wiesbaden, Germany, unfolds along the flow of time. However, the playback speed continuously fluctuates according to the artist’s recorded heart rate during the recording session. These variations in playback speed are accompanied by corresponding changes in pitch. The original recording lasts approximately 15 minutes. 
Through this, the audience experiences the relativity of time as influenced by the artist’s physiological state, evoking a nonlinear perception of time. It mirrors the sensation where time seems to speed up when deeply focused and slow down when doing nothing. 

Additionally, rhythms created by reversing sound generated from approximately 100 years of tree ring data—collected from a tree that has coexisted with the city—are played simultaneously with the forward-moving soundscape. 
The tree rings, recorded nonlinearly due 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form irregular waveforms that generate unique rhythms. These rhythms progress faster than the 15-minute urban soundscape, repeating and intertwining past and present, thereby expressing the flow of time as a multi-layered, nonlinear phenomenon rather than a linear sequence. 

Through this work, the audience can experience a nonlinear perception of time conveyed through sound.

CV: 
EP [Pale] (2020) 
Johannes Gutenberg University Mainz (Hochschule für Musik) / Germany Master of Music (Klangkunst), 2024~ 

Exhibition & Performance 
Atem Project, 2024 (Mainz, Germany) 
Jack in the BlackBox, 2024 (Mainz, Germany) 
To hear a Sound is to see a Space, 2025 (Trier, Germany) 
SoundArt for Digital Metamorphosis, 2025 (Dijon, France) 
To See a Space is to Imagine Sounds, 2025 (Koblenz, Germany) 
Numerous other sound art and media art works.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