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ssion 3
Camp 17
이름/팀명: 아이작 배글리 (Isaac Baggaley)
작품설명: 〈Camp 17〉은 영국 최대의 포로수용소가 있었던 셰필드(Sheffield) 레드마이어스 플랜테이션(Redmires Plantation)에서 황혼 무렵 채집한 가공되지 않은 필드 레코딩을 콜라주한 작품이다. 현재 이 지역은 축구장과 어린 숲이 자리 잡고 있으며, 곳곳에 폐허가 흩어져 있다. 작품 속 음향적 요소 가운데, 특유의 울림은 축구 골대의 구멍 위로 바람이 불며 형성된 것이고, ‘딸깍’거리는 소리는 폐허가 된 물탱크 내부의 정체불명의 원천에서 발생한 것이다.
소개: 아이작 배글리(Isaac Baggaley)는 영국 셰필드 출신의 연구자이자 영화 및 콘서트 음악 작곡가이다. 그의 연구는 사진학적 개념인 흔적(trace)과 지표성(indexicality)을 전자음향 작곡에 적용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의 작품은 이러한 연구를 반영하며, 종종 불안감을 불러일으키는 실제 세계의 중요한 소리들 속에서 음악성을 드러내고자 한다.
Name: Isaac Baggaley
Program note: Camp 17 is a collage of unmanipulated field recordings taken at dusk from Redmires Plantation in Sheffield, England - the site of the largest prisoner of war camp in the United Kingdom. The area is now home to a football pitch and a young woodland dotted with ruins. The tonal sounds in this piece come from wind blowing over a hole in a goal post, the clicking sounds are from an unidentified source within a ruined water tank.
Bio: Isaac Baggaley is a researcher and composer of film and concert music from Sheffield, UK. His research focuses on the application of photographic concepts of trace and indexicality to electroacoustic composition. His works reflect this study and aims to reveal musicality from significant and often disquieting real world sources.
Quietcity
이름/팀명: 피트 스톨러리 (Pete Stollery)
작품설명: 〈Quiet City〉는 sonADA(Sonic Arts Days in Aberdeen)의 Under the Skin 프로젝트 위촉으로 작곡된 작품이다.
나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애버딘(Aberdeen)에서 2020년 COVID-19 확산을 늦추기 위해 시행된 제한 조치 이전과 이후에 소리가 어떻게 달라졌는지에 대한 제보를 모집했다. 이를 통해 다양한 흥미로운 장소의 제안뿐 아니라, 그 변화가 개인적으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에 대한 통찰력 있는 성찰도 수집할 수 있었다. 어떤 경우 변화는 긍정적이었지만, 동시에 새로운 어려움을 가져오기도 했다. 예를 들어, 유니언 스트리트(Union Street)의 일부가 보행자 전용 구역이 되면서 많은 이들에게는 머무르며 비교적 고요한 공간을 즐길 수 있는 환영받는 장소가 되었지만, 버스 접근이 차단되자 이동성이 제한된 사람들에게는 상점까지 가는 길이 더 멀고 불편해졌다. 또한 빠르게 움직이는 음식 배달 자전거로 인해 새로운 위험이 생기기도 했다.
〈Quiet City〉는 이러한 장소들에서 채집한 녹음을 기반으로 한 몰입적 콘서트 작품이다. 작품은 인지 가능한(또는 인지 불가능한) 사운드스케이프에서 출발해, 점차 현실 세계를 벗어난 변형된 사운드스케이프로 이동하며 변화한 도시와 우리가 그 도시와 맺는 관계를 성찰하게 한다.
(특별히 소리를 제공해 준 이들에게 감사드립니다: Heitor Alves, Ian Booth, Christine Cameron, Bea Dawkins, Sheila Gordon, Fraser Lovie, Kathleen McBride, Robert McColl Millar, Lorna Philip, Bruce Scharlau, Anne Shipley, Jenny Shirreffs.)
소개: 피트 스톨러리(Pete Stollery)는 버밍엄 대학교에서 존티 해리슨(Jonty Harrison)에게 사사하며 작곡을 공부했으며, 1980년대 초 BEAST (Birmingham ElectroAcoustic Sound Theatre)의 초기 멤버로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주로 아쿠스마틱 음악을 비롯해 콘서트 홀 공연을 위한 작품을 다수 발표했으며, 최근에는 사운드 설치와 인터넷 기반 프로젝트 등 콘서트 홀을 넘어선 영역으로 작업을 확장하고 있다. 또한 무용, 조각 등 다양한 장르의 예술가들과 협업했으며, 에든버러의 Dynamic Earth, 로더럼의 Magna, 북아일랜드 다운패트릭의 St Patrick’s World 등 영국 전역의 전시 및 체험 공간을 위한 음악과 사운드 디자인 또한 작업했다.
그는 2022년까지 스코틀랜드 애버딘 대학교에서 작곡 및 전자음향 음악 교수로 재직하며, 학생, 청소년,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음악과 음악 교육에서 기술의 창의적 활용을 가르쳤다.
1996년에는 앨리스테어 맥도널드(Alistair MacDonald), 로버트 다우(Robert Dow), 사이먼 앳킨슨(Simon Atkinson)과 함께 invisiblEARts 그룹을 창립하여, 스코틀랜드 전역에서 아쿠스마틱 음악을 공연하고 이를 국내외 청중에게 널리 알리는 데 기여했다. 그는 또한 스코틀랜드의 연례 현대음악 축제인 sound festival의 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의 음악은 캐나다 레이블 empreintes DIGITALes에서 발매되고 있다.
Name: pete stollery
Program note: Quiet City was written in response to a commission from sonADA (Sonic Arts Days in Aberdeen) to create a piece for the Under the Skin project.
I crowdsourced, via social media, a number of locations in Aberdeen where the sound had changed since before the restrictions put in place in 2020 to slow the spread of COVID-19. I received a varied and interesting selection of suggestions, but also some quite perceptive reflections on what those changes meant to people on a personal level and how, sometimes, these presented challenges for others. A good example of this is the pedestrianisation of part of Union Street which, for many, brought a welcome place to dwell and enjoy the calm of a relatively quiet place; however, the lack of access to this part of Union Street by buses meant a longer and more inconvenient journey to the shops for those with mobility issues, as well as providing an environment for the new danger of fast-moving food delivery cycles.
Quiet City is an immersive concert piece, using recordings from these locations, which moves from recognisable (and some unrecognisable) soundscapes through non-real world transformed soundscapes reflecting on a sonically changed city and how we relate to it.
With grateful thanks to the following, for the use of their sounds: Heitor Alves, Ian Booth, Christine Cameron, Bea Dawkins, Sheila Gordon, Fraser Lovie, Kathleen McBride, Robert McColl Millar, Lorna Philip, Bruce Scharlau, Anne Shipley, Jenny Shirreffs.
Bio: Pete Stollery studied composition with Jonty Harrison at the University of Birmingham, where he was one of the first members of BEAST in the early ’80s. He composes music for concert hall performance, particularly acousmatic music and more recently has created work for outside the concert hall, including sound installations and internet projects. He has collaborated with practitioners from other artistic disciplines, particularly dance and sculpture and has produced music and sound design for a number of UK visitor attractions including Dynamic Earth in Edinburgh, UK, Magna in Rotherham, UK and St Patrick’s World in Downpatrick, Northern Ireland.
Until 2022, he was Professor of Composition and Electroacoustic Music at the University of Aberdeen, Scotland, delivering courses on the creative applications of technology in music and music education to students, schoolchildren and the general public.
In 1996, along with Alistair MacDonald, Robert Dow and Simon Atkinson, he established the group invisiblEARts whose aim is to perform acousmatic music throughout Scotland and to promote Scottish acousmatic music to a wider audience, both within Scotland and abroad. He is also Chair of the sound festival, Scotland’s annual new music festival.
His music is published by the Canadian label empreintes DIGITALes.
On The Transparency of Seeing Through
이름/팀명: 션 푸케(Sean Peuquet)
작품설명: R. 머레이 셰이퍼(R. Murray Schafer)는 1977년에 우리의 사운드스케이프가 점점 더 로우파이(lo-fi)가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 소리란 대개 교통 소음이다. 이 작품이 작곡된 애틀랜틱 센터 포 더 아츠(Atlantic Center for the Arts)에서는 비행기의 소리였다. 고요함을 찾기는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지만, 새로운 흥미로운 소리들도 생겨났다. 예컨대 그것은 스프레이 페인트 캔을 클릭하는 듯한 하드 디스크 고장 소리나 벨트 샌더의 전원이 켜질 때의 소리 같은 것들이다.
그러나 우리는 점점 더 자연적 사운드스케이프로의 회귀, 나아가 자연 자체로의 회귀를 동경하게 된다. 하지만 일단 우리가 자연을 ‘다른 것(돌아가야 할 대상)’으로 규정하는 순간, 현실은 자기 자신의 외양으로 변해버리며, 건축·제약·소프트웨어 공학 속의 자연주의를 투명성이라는 외피 아래 감춰진다. 그렇다면 우리가 그토록 돌아가고 싶어하는 자연이란 사실은 우리 자신이 아닌가?
이 작품의 ‘깨진 듯한’ 사운드스케이프 속에서 우리는 아마도 자연 세계와의 관계 속에서 우리 자신을 들을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William Carlos Williams)의 말을 빌리자면, “닿되 붙잡히지 않고, 접촉으로 인해 더 자주 부서지는” 그런 존재로서이다.
소개: 션 푸케는 작곡가, 설치 예술가, 오디오 프로그래머, 기획자, 학자, 교육자이다. 그는 국제컴퓨터음악협회(ICMC, 리머릭·대구·상하이·위트레흐트·류블랴나·벨파스트), 사운드 앤드 뮤직 컴퓨팅 컨퍼런스(키프로스), 뉴욕시 전자음악 페스티벌, 토론토 전자음향 음악 심포지엄, 한국 전자음악협회(서울), Sines and Squares(영국 맨체스터), 미국 전자음악협회(SEAMUS), 작곡가협회( SCI ), Electronic Music Midwest, VU Symposium 등 국내외 현대음악·사운드아트 무대에서 꾸준히 작품을 발표해왔다.
2022년 그의 작품 〈Plane of Slight Elevation〉(2021) 은 국제컴퓨터음악협회(ICMA)로부터 Best Music: Americas 상을 수상했다. 또한 그는 수많은 콘서트 음악, 설치, 예술가 워크숍을 위한 위촉을 받아왔으며, 그 장소들에는 콜로라도의 Communikey(CMKY), Ellie Caulkins 오페라 하우스, 덴버 현대미술관(MCA) 등이 포함된다. 2020년에는 Meow Wolf으로부터 덴버 전시 공간 Convergence Station을 위한 몰입형·생성적 사운드 설치를 위촉받아, 2021년 일반에 공개되었다.
그는 플로리다 뉴 스머나의 애틀랜틱 센터 포 더 아츠에서 로베르 노르망도(Robert Normandeau)와 함께, 또한 콜로라도 포트 콜린스의 ART 352에서 레지던스로 활동했다. 현재 그는 덴버 록키 마운틴 예술·디자인 대학(Rocky Mountain College of Art + Design)에서 음악 프로덕션 학과 학과장 및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2015~2020년에는 볼더(Boulder)를 기반으로 한 Madelife Creative Accelerator 프로그램에서 음악 프로그램 디렉터이자 수석 강사로 활동했으며, 2012~2014년에는 플로리다 스텟슨 대학교(Stetson University)에서 디지털 아트 객원 교수로 재직하면서 플로리다 대학교(University of Florida)에서 음악 작곡 박사 학위(2013)를 마쳤다. 또한 그는 다트머스 대학(Dartmouth College)에서 전자음향 음악 석사(2007), 버지니아 대학교(University of Virginia)에서 음악·심리학·천문학 학사(2005)를 취득했다.
Name: Sean Peuquet
Program note: R. Murray Schafer pointed out in 1977 that our soundscape is increasingly lo-fi, often the sound of traffic or, especially at the Atlantic Center for the Arts where this piece was composed, planes. While quiet is harder to come by, there are wonderful new sounds too, like the spray-paint can clicking of a hard-disk failure or powering on a belt sander. And yet, we increasingly fetishize a return to not just natural soundscapes, but the natural. Once we frame nature as being different (as a thing to return to), reality becomes an appearance of itself— obfuscating the naturalism of architecture, pharmaceutics, and software engineering under a guise of transparency. Are we ourselves not the nature to which we desire to return? In the “broken” appearance of this composition’s soundscape, perhaps we can hear ourselves in relation to the natural world as, echoing William Carlos Williams, “touched but not held, more often broken by the contact.”
Program note: R. Murray Schafer pointed out in 1977 that our soundscape is increasingly lo-fi, often the sound of traffic or, especially at the Atlantic Center for the Arts where this piece was composed, planes. While quiet is harder to come by, there are wonderful new sounds too, like the spray-paint can clicking of a hard-disk failure or powering on a belt sander. And yet, we increasingly fetishize a return to not just natural soundscapes, but the natural. Once we frame nature as being different (as a thing to return to), reality becomes an appearance of itself— obfuscating the naturalism of architecture, pharmaceutics, and software engineering under a guise of transparency. Are we ourselves not the nature to which we desire to return? In the “broken” appearance of this composition’s soundscape, perhaps we can hear ourselves in relation to the natural world as, echoing William Carlos Williams, “touched but not held, more often broken by the contact.”
Bio: Sean is a composer, installation artist, audio programmer, curator, scholar, and educator. He presents his work regularly at national and international venues for contemporary art and music such as the International Computer Music Conference (Limerick, Daegu, Shanghai, Utrecht, Ljubljana, Belfast), Sound and Music Computing Conference (Cyprus), New York City Electronic Music Festival, Toronto Electroacoustic Music Symposium, Korean Electro-Acoustic Music Society (Seoul), Sines and Squares (Manchester, UK), Society for Electro-Acoustic Music in the United States, Society of Composers, Inc., Electronic Music Midwest, VU Symposium, and more. In 2022, Sean’s piece “Plane of Slight Elevation” (2021) was awarded Best Music: Americas by the International Computer Music Association. He has received numerous commissions for concert music, installations, and artist workshops at venues including Communikey (CMKY), The Ellie Caulkins Opera House, and Museum of Contemporary Art (MCA) Denver. In 2020, Meow Wolf commissioned Sean to compose an immersive and generative music and sound installation as part of their permanent Denver exhibition space, Convergence Station, which opened to the public in 2021. Sean has been artist-in-residence at the Atlantic Center for the Arts in New Smyrna, FL (working with Robert Normandeau), and ART 352 in Fort Collins, CO. Sean is Associate Professor and Chair of the Music Production Department at Rocky Mountain College of Art + Design in Denver, CO. Between 2015 to 2020, Sean served as Program Director and Lead Music Instructor for the Madelife Creative Accelerator program, based in Boulder, CO. From 2012 to 2014, he served as Visiting Professor of Digital Arts at Stetson University while completing his PhD in Music Composition at the University of Florida (‘13). He received his MA in Electro-Acoustic Music from Dartmouth College (‘07) and holds a BA in Music, Psychology, and Astronomy from the University of Virginia (‘05).
Sonic Pilgrimage
이름/팀명: 찬드라 방운 세티아완 (Candra Bangun Setyawan)
작품설명: 이 작품은 싱가포르 머라이언(Merlion) 지역에서의 다국적 방문객들의 대화 조각과, 부기스(Bugis) 지역에서의 이슬람 사원의 설교와 아잔(기도 호출)을 교차시켜 구성한 사운드스케이프 작품이다. 머라이언은 세계가 만나는 장소로, 웃음소리, 다양한 언어의 대화, 발걸음, 도시 공간의 울림이 뒤섞여 국경을 넘어선 삶의 모자이크를 형성한다. 반면, 부기스에서는 장엄한 사원의 소리가 울려 퍼지며 도시의 맥박 속에 내재된 영적 차원을 불러낸다.
이 두 사운드스케이프를 함께 엮음으로써, 작품은 세계시민적 공적 영역과 성찰적 성스러운 공간의 만남을 드러낸다. 그 상호작용은 다층적 청취 경험을 형성하며, 싱가포르를 단순한 지리적 장소가 아닌 의미의 교차점으로 드러난다—상업과 기도, 관광과 전통, 소란과 고요 사이에서. 이 작품은 청자에게 단순히 “듣는 것”을 넘어 “진정으로 경청하는 것”을 요청한다. 즉, 이러한 소리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교차하며, 때로는 충돌하는지를 인식하게 함으로써, 현대 도시의 심장부에서 정체성, 다양성, 공존에 대한 성찰의 공간을 열어줄 것이다.
소개: 찬드라 방운 세티아완은 아쿠스마틱 작곡가이자 사운드 연구자이며, 창작 실천과 음향 생태학을 통합하는 융합적 접근(interdisciplinary approach)을 중점적으로 연구한다. 그의 작품은 도시 사운드스케이프 속에서 인간-자연 결합 시스템(CHANS, Coupled Human and Natural Systems)을 탐구하며, 사운드 자료를 기반으로 한 청각 훈련을 발전시킬 잠재력을 지닌 에코-아쿠스마틱 리스닝을 개발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그는 사운드 스터디스 영역에서 특히 사운드스케이프 연구, 공적·사적 공간에서의 소음의 역동성, 그리고 스피커가 동부 자바(인도네시아)의 일상적 삶 속 사회·문화 구조를 어떻게 형성하는가에 깊은 관심을 두고 있다.
Name: Candra Bangun Setyawan
Program note: This work is a soundscape composition that captures fragments of conversations from visitors of various nationalities in the Merlion area of Singapore, interwoven with recordings of mosque sermons and the call to prayer from the Bugis district. Merlion becomes a meeting point of the world: laughter, conversations in multiple languages, footsteps, and the resonance of urban space merge into a mosaic of life that transcends borders. Meanwhile, in Bugis, the solemn sounds of the mosque call forth a spiritual dimension embedded in the city's pulse. By bringing together these two soundscapes, the work seeks to present an encounter between the cosmopolitan public sphere and the contemplative sacred space. Their interplay forms layers of listening experiences that reveal Singapore not merely as a geographical location, but as a crossroads of meaning—between commerce and prayer, tourism and tradition, bustle and stillness. This piece invites the audience not only to “hear” but to truly “listen”: to become aware of how these sounds interact, intersect, or even conflict—opening a space for reflection on identity, diversity, and coexistence in the heart of a modern city.
Bio: Candra Bangun Setyawan is an acousmatic composer and researcher in the field of sound studies, focusing on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hat integrates creative practice with acoustic ecology. His works explore Coupled Human and Natural Systems (CHANS) within the context of the urban soundscape, aiming to develop eco-acousmatic listening that has the potential to advance aural training based on sound materials. Within the field of sound studies, he is particularly concerned with soundscape studies, the dynamics of noise in both public and private spaces, and how loudspeakers shape the social and cultural structures of everyday life in East Java, Indonesia.
Phloème
이름/팀명: 줄리 몽도르 (Julie Mondor)
작품설명: 신성한 우주적 비밀의 나무, 생명의 나무는 하나의 신전이다. 우리는 이제 나무가 환경과 정보를 교환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광합성의 결과로 수액의 연금술이 내부에서 이루어지고, 이는 뿌리로 흘러 내려가 나무의 성장, 보호, 진동에 필요한 정보를 전달한다. 체관(phloem) 은 살아있는 조직으로, 수액의 전달을 담당한다. 나는 우리가 그 안에 몰입해 그 풍요로움을 맛보기를 제안한다.
소개: 줄리 몽도르는 작곡가이며 교육자다. 첼로를 전공했으며, 루크 페라리(Luc Ferrari), 장-루크 에르베(Jean-Luc Hervé), 티에리 블롱도(Thierry Blondeau), 피에르 알랭 자프르누(Pierre Alain Jaffrenou), 제임스 지로동(James Giraudon), 코랄리 파욜레스(Coralie Fayolles) 등의 작품 초연에 참여하며 현대 창작에 깊은 관심을 가져왔다.
그녀는 2016년 크리스틴 그루, 마르코 마리니, 조너선 프라제르의 지도를 받아 팡탱 CRD에서 전자음향 작곡 디플롬을 취득했으며, 현재도 필리프 미옹(Philippe Mion)과 함께 연수를 이어가고 있다.
2014년에는 전 세계 작곡가들을 초청하는 OMI 아트 센터(미국 뉴욕) 레지던시에 선발되었고, 그녀의 아쿠스마틱 작품들은 프랑스 및 해외의 여러 페스티벌(푸투라, Résonnances Électriques, Ljudbio, ICMC, 그리니치 대학교, Syntax, Supersonique, Apnée 등)에서 연주되었다. 그녀의 작품 〈Oracle suspendu〉 는 Prix Russolo 2016-2017 CD에 수록되었으며, 2016년에는 〈Astre de la gorge〉 가 En Chair et en Son 페스티벌에 선정되어 부토(Buto)와 아쿠스마틱 음악의 만남을 선보였다.
2022–23년에는 프랑스 문화부/일드프랑스 DRAC의 지원을 받아 전자음향과 타악기를 위한 작품을 작곡했으며, 뤼엘-말메종 CRR과 이브 파이외르(Eve Payeur) 클래스와 협력해 교육적 성격의 작품을 선보였다. 2023–24년에는 Pour Que l’Esprit Vive 협회와 함께 9개월간 장기 레지던시로 작곡 활동을 이어갔다.
Name: Julie Mondor
Program note: The sacred cosmic arcane tree and tree of life is a temple. We now know that trees exchange information with their environment. It is inside that the alchemy of sap is developed, resulting from photosynthesis. It circulates to the roots and transports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tree's growth, protection, and vibration. The phloem is a living tissue. It plays a role in conducting sap. I suggest that we immerse ourselves in it in order to taste its richness.
Bio: Julie Mondor is a composer, musician and teacher. She studied cello. She took a keen interest in contemporary creation, premiering works by Luc Ferrari, Jean-Luc Hervé, Thierry Blondeau, Pierre Alain Jaffrenou, James Giraudon and Coralie Fayolles.
She obtained her diploma in electro-acoustic composition at the CRD de Pantin in 2016 under the direction of Christine Groult, Marco Marini and Jonathan Prager. She continues her training with Philippe Mion.
In 2014, she was selected for a residency at the OMI Art Center (New York. USA), which brings composers from around the world. Her acousmatic compositions are programmed in several Festivals in France and abroad: Futura, Résonnances Électriques; Ljudbio; ICMC, University of Greenwich, Syntax, Supersonique, Apnée. She appears on the Prix Russolo 2016-2017 CD with her composition Oracle suspendu. She is selected in October 2016 with her composition Astre de la gorge for the En Chair et en Son festival, Butô and acousmatic music. In 2022-23, she received a grant from the Drac Ile de France/Ministère de la Culture for a creation for electroacoustics and percussion. Educational composition, with the Rueil-Malmaison CRR and percussion Eve Payeur's class.
In 2023-24 she was in residency long-term (9-month) composition with the Pour Que l'Esprit Vive association.
Calls for Cages
이름/팀명: 클로비스 맥에보이 (Clovis McEvoy)
작품설명: 홍콩의 동·식물원에서, 새벽이 오기 전 어둠 속에 앉아 시아망(Siamang), 버프치크 긴팔원숭이(Buff Cheeked Gibbons), 그리고 여러 영장류의 아침 노래를 녹음했다. 눈을 감고 그 가슴 저미는 듯한 아름다운 글리산도를 들으며, 나는 도시의 소란에서 멀리 벗어나 동남아시아의 수목림 속으로 옮겨간 듯한 경험을 했다. 그러나 녹음을 다시 들어보았을 때, 내가 내면적으로 상상했던 풍경과는 전혀 다른 현실이 드러났다. 넓고 고양되는 듯한 소리가 아니라, 교통 소음과 비행기 소리, 차갑게 울리는 철창의 금속음으로 가득 찬 제한된 공간이었기 때문이다.
〈Calls for Cages〉는 인간의 즐거움을 위해 동물을 우리에 가두는 행위를 비판적으로 성찰한다. 작품은 영장류의 울음과 노래를 상상된 자연 풍경 속에 배치한 뒤, 그것을 환경적 맥락에서 떼어내어, 인간이 강제한 새로운 현실에 맞추어 잔혹하게 재구성한다. 마지막 부분에서 우리는 마침내 편집되지 않은 원음—도시가 깨어나는 소리와 점차 사라져가는 동물들의 울음—에 직면하게 된다.
소개: 클로비스 맥에보이(Clovis McEvoy)는 수상 경력이 있는 작곡가이자 사운드 아티스트, 작가이다. 현재 그는 그리니치 대학교 SHIFT Lab의 협력 연구원으로, XR 환경에서의 음악을 연구하고 있다.
Name: Clovis McEvoy
Program note: At the zoological and botanical gardens in Hong Kong, sitting in the darkness before the break of dawn I recorded the morning songs of Siamang, Buff Cheeked Gibbons, and many other primates. As I closed my eyes, listening to the achingly beautiful glissandos, I was transported far from the hustle and bustle and to the arboreal forests of Southeast Asia. When I listened back to the recording I was struck by how different the reality was from my own internal imagination. Instead of the expansive, inspiring sound that I thought I’d heard, the recorded audio was constrained, full of background traffic noise, passing airplanes, and the cold metallic clank of cages. Calls for Cages critically examines the practice of displaying animals in cages for human pleasure. It places the calls and songs of primates within an imagined natural landscape, before stripping that sound of its environmental context and brutally reshaping it to fit with a new, human imposed reality. In the closing section, we are finally presented with the original, unedited audio of the city waking up, and the animal calls slowly diminishing to silence.
Bio: Clovis McEvoy is an award winning composer, sonic artist, and writer. He is currently an Affiliate Researcher at the University of Greenwich’s SHIFT Lab where he researches music in XR environ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