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ssion 1
Sous l’écorce des pierres – promenade [Under the Bark of Stones – A Stroll]
이름/팀명: 질 고베일 (Gilles Gobeil)
작품설명: 포크마르 하인(Folkmar Hein)에게
이 작품에서 들리는 대부분의 소리는 작품을 위촉한 포크마르 하인이 직접 제공한 것이다. 그가 직접 녹음한 이 소리들은 특정한 의미를 지니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 소리들을, 하인이 베를린 주변에서 정기적으로 즐겨 하는 긴 숲속 산책을 환기하는 더 큰 프로젝트 안에 통합할 수 있을까? 그는 몇 시간 동안 산책을 하고 나면 시간에 대한 지각이 점차 달라진다고 한 번 말한 적이 있다. 저는 그 정신적 상태에 이르는 길이 마치 돌껍질 아래 숨겨진 몽상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상상하기 시작했다.
소개: 질 고베일의 작품은 흔히 “귀를 위한 시네마(cinema for the ear)”라고 불리며, 많은 작품들이 문학적 작품에서 영감을 받아 그것들을 소리라는 매체를 통해 ‘시각화’하려는 시도를 담고 있다.
Program note: To Folkmar Hein
Most of the sounds heard here were given to me by Folkmar Hein, who commissioned this work. These sounds, which he recorded himself, can be construed as having no specific meaning. Would it be possible to integrate them into a larger project aimed at evoking the very long forest walks Hein is regularly taking around Berlin? He once told me that, after a few hours of strolling, your perception of time gradually becomes altered. I started imagining that the path to that mental state could trigger a reverie hidden under the bark of stones.
Bio: Gilles Gobeil compositions approach what is known as “cinema for the ear”; many of them are inspired by literary works and seek to “visualize” them through the medium of sound.
Nearby the Blackbird
이름/팀명: 풀랴 우자녹 (Fulya Uçanok)
프로그램 노트: 이 작품은 흑새(Blackbird)와 함께 음향적으로 여행하고 동행하는 데서 비롯된 호기심과 관심으로부터 탄생했다. 2024년 오스트리아 그라츠에서 2주 동안 머무르며, 매일 새벽 4시에 일어나 흑새의 아침 노래를 듣고, 목격하고, 녹음한 일련의 새벽 필드 레코딩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작품 제목은 다큐멘터리 영화감독이자 페미니즘 이론가인 트린 민하(Trinh Minh-ha)의 개념인 “근처에서 말하기(speaking nearby)”에서 영감을 얻었다. 이 개념은 ‘타자에 대해 말하는(about)’ 방식이 아니라, ‘타자와 함께(with)’ 소리 내며 근접성 속에서 관계를 맺고 응답하는 방식의 관계성을 포용한다.
이 작품은 청자들을 성찰적 공간으로 초대하며, 다른 목소리(인간과 비인간) 곁에서 소리 낼 때 발생하는 복잡한 (불)가능성과 (오)해들을 탐구한다.
소개: 풀랴 우자녹은 이스탄불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전자음향 음악가이자 피아니스트다. 그녀의 작업은 작곡, 악보 기반 혹은 즉흥 연주, 그리고 예술적 연구의 형태를 취한다. 어쿠스틱 피아노에 다양한 오브제를 결합한 ‘피아노 내부 연주 기법(inside-piano technique)’, 일상 사물을 악기로 사용한 연주, 전자음향, 필드 레코딩 등을 다룬다. 최근 관심사는 인간, 비인간, 물질과 함께하는 ‘응답-가능(response-able)’한 소리적 실천, 물질적 행위자로서의 악기(인간-악기 협업)를 통한 실천, 그리고 전자음향 작곡과 공연 속 다층적이고 내재적인 공간에서의 ‘공동생산(sympoietic)’적 실천을 포함한다.
Name: Fulya Uçanok
Program note: This work grew out of a curiosity and interest in going visiting and travelling sonically alongside blackbirds. It was created with a series of early morning field recordings made during a two-week stay in Graz, Austria in 2024, where I rose at 4 a.m. each day to listen, witness, and record their morning songs. The title draws inspiration from the documentary filmmaker and feminist theorist, Trinh Minh-ha’s concept of “speaking nearby,” which embraces a mode of relationality that listens and responds, not by speaking "about" the other, but by sounding "with" them in sonic proximity.
This work invites listeners into a reflective space, as it explores the complex (im)possibilities and (mis)understandings that emerge when sounding nearby another voice; human and not.
Bio: Fulya Uçanok is an electroacoustic musician, and pianist based in Istanbul. Her work takes forms of composition, score-based or improvised performance, and artistic research. She works with acoustic pianos coupled with a variety of objects (inside-piano technique), everyday objects as instruments, electroacoustics, and field recordings. Her current interests include response-able sonic practices with humans, more-than-humans, and materials; practices with musical instruments as material agents (human-instrument collaborations) and sympoietic practices in multivalent, immanent spaces within electroacoustic composition and performance.
Daylesford Naturalix
이름/팀명: 이우바르 프로젝트(iubar project)
작품설명: 〈Daylesford Naturalix〉는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 주 중부의 Dja Dja Wurrung 전통 땅, 데일스퍼드(Daylesford)에서 채집된 환경 필드 레코딩만을 사용해 만든 고정 매체(fixed media) 작품이다. 이 소리들은 2021년 코로나19 봉쇄 기간 동안 수집되었으며, 모바일 음악 기술과 생태적 청취(ecological listening)를 탐구하는 실천 기반 연구 프로젝트의 일환이었다. 작품은 2025년에 그래뉼라 합성(granular synthesis)과 디지털 사운드 조작을 통해 완성되었다.
작품은 오직 원래의 녹음들—새소리, 시냇물, 바람, 주변 환경의 질감—만을 기반으로 하여, 정교한 조작을 거쳐 재구성된 사운드스케이프로 변주된다. 이를 통해 특정 장소성이 유지되면서도 디지털 기술을 통한 새로운 표현 가능성이 확장된다. 환경을 피사체이자 공동 작곡가로 설정하며, 이 작품은 시간적·공간적 현존에 대해, 즉 멈추어 서서 듣고, 더-인간적 세계(more-than-human world)의 미묘한 리듬에 조율하는 행위에 대해 성찰한다. 나아가 예술적 실천, 생태적 인식, 기술적 매체 사이의 경계를 허물며 동시대 생태비평적 사운드 아트에 기여한다.
소개: 이우바르(iubar)는 호주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협업 프로젝트로, 폴란드 출신의 마틴 K. 코솔코(Martin K. Koszolko)가 이끌고 있다. 그는 전자음악 및 인디 팝 프로젝트 KOshowKO와 Philosophy of Sound에서 활동한 음악 프로듀서로, 원격 음악 협업 기술에 관한 박사 학위를 보유한 사운드 연구자이기도 하다. 이우바르 프로젝트의 시그니처 사운드는 아날로그와 디지털 악기를 결합하고, 필드 레코딩과 모바일 기술을 활용해 만든 ‘스토리 기반 앰비언트’이다. 이우바르의 기원은 2009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마틴의 폴란드 고등학교 친구 야렉 빈코프스키(Jarek Binkowski)가 다수의 일렉트릭 기타 드론과 리프를 녹음했는데, 이것이 첫 번째 작품들의 기반이 되었다. 이후 이우바르는 여러 음악가들과 협업을 이어왔다. 그중 모두스 옵(Modus Op)과의 협업으로 탄생한 곡 〈Untold〉는 가족 간의 사적인 대화와 2차 세계대전 당시 겪었던 고난을 담고 있다. 2019년에는 영국, 호주, 크로아티아 출신 뮤지션들이 대면 없이 온라인으로 협업한 싱글 〈Nowy〉를 발표했다. 이우바르 프로젝트의 라이브 공연은 모바일 음악 제작 기술과 장소 특정적 오디언스 샘플링 기법을 결합하는데, 이는 마틴이 폴란드와 호주에서의 공연을 통해 발전시킨 방법론이다. 이 프로젝트는 국제적인 인정을 받아, 2021년 단편 영화 〈Earth〉에 삽입된 음악으로 두 개의 최우수 음악상을 수상했으며, 2022년에는 Green Philosophy Film Festival에서 최우수 음악상을 받았다. 수상작들은 다른 작품들과 함께 2023년 3월 Vivarium Recordings에서 발매된 데뷔 앨범 《Survival Tactics》에 수록되었다.
Name: iubar project
Program note: Daylesford Naturalix is a fixed media composition created entirely from environmental field recordings made in Daylesford, on Dja Dja Wurrung Country in central Victoria, Australia. Captured in 2021 during a COVID-19 lockdown, these recordings formed part of a broader practice-led research project into mobile music technologies and ecological listening. The work was completed in 2025 using granular synthesis and digital sound manipulation. Drawing solely on the original recordings—birdsong, creeks, wind, ambient textures—Daylesford Naturalix transforms these sounds through intricate manipulation. The result is a reimagined soundscape that retains the specificity of place while extending its expressive possibilities through digital techniques. Framing the environment as both subject and co-composer, the work reflects on temporal and spatial presence—on pausing, listening, and attuning to the subtle rhythms of the more-than-human world. It contributes to contemporary ecocritical sonic art by dissolving boundaries between artistic practice, ecological awareness, and technological media
Bio: iubar is an award-winning collaborative project hailing from Australia, led by Polish-born Martin K. Koszolko, a music producer known for his work with electronic and indie pop music acts KOshowKO and Philosophy of Sound. Martin holds a PhD in Remote Music Collaboration technologies and is an accomplished sound researcher. Iubar project’s signature sound is story-driven ambient, created using a blend of analogue and digital instrumentation and featuring field recordings and mobile technologies.
iubar’s origins can be traced back to 2009 when Martin’s high school friend from Poland, Jarek Binkowski, recorded multiple electric guitar drones and riffs, which became the foundation for the first compositions. Over the years, iubar has collaborated with other talented musicians, including Modus Op, resulting in the piece ‘Untold,’ which features private family conversations and describes the hardship experienced during World War II. In 2019, iubar released their collaborative single ‘Nowy,’ produced by musicians from England, Australia and Croatia who had never met face-to-face. iubar project’s live performances incorporate mobile music-making technologies, as well as site-specific audience sampling techniques that Martin developed through live performances in Poland and Australia. The project has received international recognition, earning two Best Music Awards in 2021 for iubar’s music featured in the short film ‘Earth’ as well as receiving the award for Best Music in the Green Philosophy Film Festival in 2022. The awarded compositions are featured alongside other material on iubar project’s debut album “Survival Tactics“, released in March 2023 on Vivarium Recordings.
Three Returns
이름/팀명: 김석준
작품설명: <세 개의 귀환>은 Pete Stollery, Ross Whyte, 그리고 김석준, 세 작곡가가 진행한 <세 개의 도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이들이 애버딘 (Aberdeen), 베르겐 (Bergen), 그리고 상트페테르부르크 (St. Petersburg) 세 도시를 여행하며 수집한 사운드들을 사용하여 만든 곡입니다..
<세 개의 귀환>은 작곡가가 직접 수집한 사운드들과 다른 사람들이 수집한 사운드들을 다시 들어보는 작업입니다. 작곡가는 이러한 재방문 (returns)을 통해 자신이 경험하고, 기억하고, 잊고, 상상했던 것에 더욱 민감해지고자 했습니다. 작곡가에게 <세 개의 귀환>은 우리 기억의 연약함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곳들에 대한 매혹, 즉 장소가 우리를 사로잡는 이유에 관한 연구입니다.
소개: 김석준은 한국의 작곡가이자 사운드 아티스트이며, 'Humming: The Study of Sound' (Bloomsbury)와 'Hasla' (Kehrer Verlag Heidelberg)의 저자입니다.
여러 국제 작곡상을 수상하고 위촉을 받은 김석준의 음악은 전 세계에서 연주되었으며, ICMC, IMEB, SEAMUS 레이블, Vox Regis, M&R에서 들을 수 있습니다. 그의 연구는 음향적 추론, 상상적 청취, 전자음향 음악의 미학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몰입형 및 3D 사운드, 공간과 장소, 장소 기억과 소리, 허밍, 다공성 (porosity)과 청취 자아 (listening selves), 그리고 청취의 미래 (Futures of Listening)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김석준은 연세대학교에서 신학을 전공하고,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음악공학 석사 학위를, 미국 플로리다 대학교에서 작곡 박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2009년, 김 교수는 DAAD의 1년제 베를린 예술가 프로그램(Artists-in-Berlin programme)에 초청받았습니다. 현재 그는 영국 스코틀랜드 애버딘 대학교에서 전자음악 및 사운드 아트 교수로 재직 중이며, 2013년부터 강의와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3년에는 한국의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과 협력하여 대규모 사운드 연구 및 사운드 아트 프로젝트인 'Futures of Listening'을 시작했으며, 2023년 5월부터 12월까지 ACC의 사운드 랩팀 수석 연구원으로 활동했습니다. 2024년부터 2026년까지는 영국 아카데미의 지원을 받는 ISPF ODA- 챌린지 지향 연구 프로젝트인 'Futures of Listening: Water Knowledge from Two Cities'의 책임 연구원으로 활동합니다. 웹사이트: www.reddoorsound.com
Name: Suk-Jun Kim
Program Note: Three Returns is a part of the Three Cities Project by three composers–Pete Stollery, Ross Whyte and Suk-Jun Kim–and uses the sound recordings collected by the team while they were making journeys to three cities, Aberdeen, Bergen, and St. Petersburg.
Three Returns is the composer’s revisit to the sound materials, some of which he himself collected and some of which others did. Through the revisit, the composer wanted to become sensitive to what he has experienced, remembered, forgotten, and imagined. To the composer, Three Returns is evidence of both the fragility of our memory and fascination of place–the very reason for which place haunts us.
Bio: Suk-Jun Kim is a South Korean composer, sound artist, and the author of 'Humming: the Study of Sound' (Bloomsbury) and 'Hasla' (Kehrer Verlag Heidelberg). Having won several international composition awards and attracted commissions, Kim’s music has been performed worldwide and can be heard on ICMC, IMEB, and SEAMUS labels, Vox Regis, and M&R. His research focuses on acousmatic reasoning, imaginal listening, phenomenological approaches to the aesthetics of electroacoustic music, immersive and 3D sound, space and place, place memory and sound, humming, porosity and listening selves, and futures of listening.
Kim studied theology at Yonsei University, South Korea, earned a master’s degree in Music Technology at Northwestern University and a Ph.D. in composition at the University of Florida in the US. In 2009, Kim was invited to Berlin by DAAD for its one-year Artists-in-Berlin programme. He is a professor of electronic music and sound art at the University of Aberdeen, Scotland, UK, where he has been teaching and researching since 2013. In 2023, he initiated a large-scale sound studies and sound art project Futures of Listening by collaborating with the National Asian Culture Center (ACC) in South Korea and has led its Sound Lab Team as senior researcher between May and December 2023. Between 2024-26, Kim is the Principal Investigator for Futures of Listening: Water Knowledge from Two Cities, an ISPF ODA challenge-oriented research project funded by the British Academy.
Website: www.reddoorsound.com
Sounds from my window
이름/팀명: 프라부드하 무코파드야이 (Prabuddha Mukhopadhyay)
작품설명: 이 작품은 내가 일상 속에서 거의 매일 접했던 소리들을 다룬다. 이 모든 요소들은 하루의 특정 시간을 나타낸다. 아침의 아잔(Aazan) 소리부터 저녁의 아이들까지, 각각의 소리는 나에게 개인적인 기억을 불러일으킨다. 그러나 이 녹음들은 약 3~5년 전의 것이다. 그 사이 사운드스케이프는 변했다. 한때 있던 초록 들판은 이제 건물을 짓기 위해 파괴되었고, 아이들의 목소리도 사라졌다. 이 작품은 내가 한때 ‘사치’처럼 여겼던, 아무 일 없이 창가에 앉아 녹음하고 들으며 시간을 보낼 수 있었던 순간을 담고 있다.
소개: 프라부드하 무코파드야이는 현재 인도 콜카타의 사티야지트 레이 영화·텔레비전 연구소(Satyajit Ray Film and Television Institute)에서 사운드 녹음 및 디자인(Sound Recording and Design) 프로그램을 공부하고 있다. 영화 사운드 외에도, 사운드 아트와 필드 레코딩, 그리고 그것들을 뉴미디어의 맥락 속에서 어떻게 형성할 수 있을지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또한 공간 음향, 바이노럴 녹음, 비전통적 마이크를 통한 확장된 청취, 앰비소닉스(Ambisonics) 등이 저의 주요 연구 영역이다. 일부 사운드 작업과 녹음은 Radiophrenia Glasgow, 옥스퍼드의 Cities and Memories, ResonanceFM 등 다양한 사운드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소개된 바 있다.
Name: Prabuddha Mukhopadhyay
Program note: This work deals with the sounds that I have encountered in my life almost every day. All of these elements represent a time of day. Every element has its own story, from the Aazan in the morning to the kids in the evening, everything has a personal memory associated with it. However, these recordings are around 3-5 years old. The soundscape has changed; the green field that was there is now being massacred for a building to rise. The children are thus absent. This work represents a time when I also had the ‘luxury’ to sit idle and record and listen to what was happening from my window.
Bio: I am currently a student in the Sound Recording and Design program at the Satyajit Ray Film and Television Institute in Kolkata, India. Apart from film sound, my interest also lies in sound art and field recording, as well as how to shape them in the context of new media. Spatial audio, Binaural recordings, extended listening through unconventional microphones, Ambisonics, all these are my other areas of sound interests. Some of my sound-works and recordings have also been part of different sound-streamings like Radiophernia Glasgow, Oxford's Cities and Memories, ResonanceFM, etc.
Makuta
이름/팀명: 펠리페 오톤도 (Felipe Otondo)
작품설명: 〈Makuta〉는 아프로-쿠바와 콩고의 리듬을 현대적 합성과 칠레와 영국에서 채집한 도시 필드 레코딩과 결합한 작품이다. 이 곡은 전통과 혁신이 만나는 소리의 여정으로 청자를 초대하며, 복잡한 리듬 패턴과 진화하는 사운드스케이프를 융합해 시간의 유동성에 대해 성찰한다. 퍼커션의 층위, 전자적 질감, 환경음이 연속적이고 유기적인 대화 속에서 상호작용한다. 〈Makuta〉는 리듬, 장소, 기억을 역동적이고 몰입적인 방식으로 탐구하며, 과거와 현재가 매혹적인 사운드 형태 속에서 교차하는 장을 만들어낸다.
소개: 펠리페 오톤도(1972)는 칠레에서 음향학과 작곡을 공부하며 실험극을 위한 다양한 작곡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2005년에는 영국 요크 대학교에서 앰브로즈 필드(Ambrose Field)와 로저 마시(Roger Marsh)와 함께 전자음향 작곡과 음악극을 집중적으로 연구했다. 그의 음악은 아시아, 유럽, 남·북미의 다양한 페스티벌에서 연주되었으며, 연구 성과는 Computer Music Journal, Organised Sound, Leonardo Music Journal과 같은 주요 학술지에 게재되었다. 현재 그는 칠레 아우스트랄 대학교(Universidad Austral) 음향학 연구소의 선임 강사로 재직 중이다.
Name: Felipe Otondo
Program note: Makuta is a composition that blends Afro-Cuban and Congolese rhythms with modern synthesis and urban field recordings from Chile and England. It invites listeners on a sonic journey where tradition meets innovation, merging intricate rhythmic patterns with evolving soundscapes to reflect on the fluidity of time. Layers of percussion, electronic textures, and environmental sounds interact in a continuous, organic dialogue. Makuta is a dynamic and immersive exploration of rhythm, place and memory, where past and present converge in compelling sonic form.
Bio: Felipe Otondo(1972) studied acoustics and composition in Chile where he developed various composition projects for experimental theatre. In 2005 he pursued his composition studies at the University of York in England with Ambrose Field and Roger Marsh focusing in electroacoustic composition and music theatre. His music has been played in festivals iacross Asia, Europe, North and South America. His research output has been published by important journals such as Computer Music Journal, Organised Sound and Leonardo Music Journal. Felipe is currently a Senior Lecturer at the Institute of Acoustics at Universidad Austral in Chile.
Birds
이름/팀명: 안드레스 르윈-리히터 (Andres Lewin-Richter)
작품설명: 엘로이사 마테우는 방대한 자연 음향 아카이브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중 특히 가치 있는 것은 조류 음원 컬렉션이다. 현재 그녀는 바르셀로나 자연사 박물관의 조류학 부서에서 활동하고 있다. 전자음악 전문가들이 필드 레코딩을 활용하는 것은 꽤 복잡한 과제가 되는데, 배경음이 많아 특별한 방식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는 오히려 매우 강력한 클리닝 시스템을 사용해, 작곡에 활용할 수 있는 매우 선명한 샘플들을 얻는 방식을 택했다. 기본적으로 이 작품은 공간적으로 조직된 아주 짧은 소리들을 중심으로 구조화되어 있으며, 몇몇 긴 시퀀스와 더불어 작품 전체에 걸쳐 4개의 짧은 새 합창을 배치하였다. 우리 스튜디오에서는 이 작품을 14개의 스피커로 분산 재생한다. 그러나 침묵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스테레오 버전으로도 충분히 감상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소개: 안드레스 르윈-리히터(스페인, 1937)는 뉴욕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블라디미르 우사체프스키(Vladimir Ussachevsky), 마리오 다비도프스키(Mario Davidovsky), 에드가 바레즈(Edgar Varèse)에게 음악을 사사했다. 그는 1974년 바르셀로나의 포노스(Phonos) 전자음악 스튜디오의 창립 멤버이며, 포노스 재단 설립 이후 사무총장 및 부회장을 맡아왔다. 2003~2006년에는 바르셀로나 카탈루냐 고등음악원(Escola Superior de Música de Catalunya)에서 전자음향 음악사의 교수를 역임했으며, 2005년 ICMC, 2010년 SMC의 디렉터를 맡았다. 그의 작품들은 뉴욕 컬럼비아 대학교, 바르셀로나 포노스, 마드리드 알레아(Alea), 마드리드 CDMC, 스페인 쿠엥카, 스웨덴 스톡홀름 EMS, 스위스 바젤 등 여러 전자음악 스튜디오에서 작곡되었다.
Sound Artist: Andres Lewin-Richter
Program note: Eloisa Matheu has a vast collection of recordings of nature, and particularly valuable is the bird collection, she is at present in the ornithology department of the Natural History Museum of Barcelona. The use of field recordings for experts in electroacoustic music create a rather complex task, there is a lot of background sound, which may or may not be used in exceptional ways, but I rather decided to use extremely strong cleaning systems in order to get to a very clear set of samples to be used in a composition. So basically the piece is structured in a lot of very short sounds spatially organized, some longer sequences and a set of 4 short birds chorus distributed along the piece. In our studio the piece is distributed in 14 loudspeakers. In this case I think a stereo version is also enjoyable, due to the silences.
Bio: (Spain,1937).Musical studies with Vladimir Ussachevsky, Mario Davidovsky and Edgar Varese at Columbia University, New York, USA. Founding member of the Phonos Electronic Music Studio in Barcelona 1974 and its secretary/vice president since the establishment of Phonos Foundation. Professor for History of Electroacoustic Music at Escola Superior de Música de Catalunya, Barcelona.(2003-6), director of ICMC 2005 and SMC 2010.Composed works in the electronic music studios at Columbia University/New York, Phonos/Barcelona, Alea/Madrid, CDMC/Madrid, Cuenca/Spain, EMS Stockholm/Sweden and Basel/Switzerland
Exploring Silence
이름/팀명: 바이 보이(Boyi Bai)
작품설명: 이 사운드스케이프 작품은 Cities and Memory와 Exodus Adventure Travels가 공동 기획한 위촉 프로젝트 〈The Sound of Adventure〉에서 시작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여행사 Exodus Adventure Travels의 50주년을 기념하여, 현장 녹음가들에게 어떤 장소를 처음 마주할 때 경험하는 “모험의 감각”을 포착하도록 요청했다. 나는 극적이거나 이국적인 소리 사건으로 모험을 정의하기보다는, 침묵 자체를 하나의 모험으로 탐구하기로 했다.
이 결정은 R. 머레이 셰이퍼(R. Murray Schafer)의 하이파이(hi-fi)와 로우파이(lo-fi) 사운드스케이프 개념에서 영감을 받았다. 나는 로우파이 도시 사운드스케이프 속에서, 소음의 층을 뚫고 드러나는 섬세하고 의미 있는 하이파이적 순간들을 찾아내고자 했으며, 나는 이 여정을 “침묵의 투쟁(the struggle of silence)”이라 명명했다. 일본에서의 녹음 과정에서는 특정 장소를 미리 계획하지 않고, 호기심 많은 방랑자의 귀로 그 나라를 경험하려 했다. 목표는 즉흥적인 소리의 만남을 발견하고 기록하는 것이었으며, 특히 번화한 거리, 붐비는 관광지, 활기찬 식당처럼 보통은 소리에 지배당하는 공간에서 ‘침묵’이 스스로 존재감을 드러내는 순간들을 포착하는 것이었다. 여행 중 채집된 필드 레코딩은 이후 사운드스케이프 작품으로 변형되었고, 이는 앰비언트 음악과 장소 특유의 음향 재료를 혼합해 구성되었다. 이 덧없고 섬세한 소리들은 주목을 요구하지 않지만, 주변의 무게 속에서도 고요히 공간을 차지하는 고유한 모험 정신을 지닌다. 〈Exploring Silence – Japan〉은 청자들에게 일상의 청각 경험 속에서 간과되기 쉬운 층위들을 탐구하도록 초대한다. 이는 소란스러운 세계 속에서 드러나는 침묵의 연약함, 현존, 그리고 조용한 회복력을 성찰하는 소리 명상이다.
소개: 바이 보이는 사운드스케이프 작곡, 필드 레코딩, VR 몰입형 오디오의 교차 지점을 탐구하는 작곡가이자 사운드 아티스트다. 그의 작품은 오하이오 Click Fest Festival (2025), 뉴캐슬 Sound + Environment Symposium (2025), 로마 MA/IN Festival (2025), BBC Radio 6, 글래스고 Radiophrenia (2025), 칠레 Radio Suyai TV (2025), 메이누스 Sonic Arts Forum (2025), 셰필드 Sound Junction (2024), 노팅엄 Sonic Sculptures 3 (2024), 샌프란시스코 테이프 뮤직 페스티벌 (2024), 런던 왕립학회 극장(The Royal Institution’s Theatre, 2024) 등 국제적인 페스티벌과 무대에서 소개되었다.
그는 환경음과 전자음향적 기법을 융합해 몰입적인 청취 경험을 창조하며, 공간, 기억, 청각적 스토리텔링에 대한 인식을 확장하고 도전하는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Name: Boyi Bai
Program note: This soundscape composition originated from The Sound of Adventure, a commissioned project curated by Cities and Memory in collaboration with Exodus Adventure Travels in celebration of the latter’s 50th anniversary. The project invited field recordists to capture the “sense of adventure” experienced when encountering a place for the first time. Rather than approaching adventure through dramatic or exotic sonic events, I chose to explore silence as an adventure. This decision was inspired by R. Murray Schafer’s concept of hi-fi and lo-fi soundscapes. I sought to uncover, within lo-fi urban soundscapes, those rare sonic moments that R. Murray Schafer would recognise as hi-fi—delicate, meaningful sounds that manage to surface through layers of noise. I defined this journey as “the struggle of silence.” In Japan, I deliberately avoided planning specific recording sites beforehand, allowing myself to experience the country with the ears of a curious wanderer. My goal was to discover and document spontaneous sonic encounters, especially those where “silence” asserts itself in environments typically dominated by sound: bustling streets, crowded tourist sites, and vibrant restaurants. The field recordings captured during my trip were later transformed into a soundscape composition, blending ambient music with location-specific sound materials. These fleeting, delicate sounds embody an adventurous spirit of their own: they do not demand attention but quietly hold space against the weight of their surroundings. Exploring Silence – Japan invites listeners to engage with the overlooked layers of everyday acoustic experience. It is a sonic meditation on fragility, presence, and the quiet resilience of silence in a noisy world.
Bio: Boyi Bai is a composer and sound artist whose works explore the intersections of soundscape composition, field recording, and VR immersive audio. His pieces have been showcased at various international festivals and events, including Click Fest Festival (Ohio, 2025), Sound + Environment Symposium (Newcastle, 2025), MA/IN Festival (Rome, 2025), BBC Radio 6, Radiophrenia (Glasgow, 2025), Radio Suyai TV (Chile, 2025), Sonic Arts Forum (Maynooth, 2025), Sound Junction (Sheffield, 2024), Sonic Sculptures 3 (Nottingham, 2024), San Francisco Tape Music Festival (2024), and The Royal Institution's Theatre (London, 2024). Through a blend of environmental sound and electroacoustic techniques, Boyi’s work aims to create immersive listening experiences that challenge perceptions of space, memory, and auditory storytel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