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unge4
Neural Net Nocturne
이름/팀명: 린 난다르 툰 (Lynn Nandar Htoo, 미얀마/캄보디아)
작품설명: <Neural Net Nocturne>는 ‘집(home)’이라는 개념을 물리적 경계를 넘어 기억, 문화적 지표, 깊이 새겨진 정서적 연결의 복합성으로 확장한다. 익숙한 향신료의 향기, 모국어의 리듬, 세대를 이어 묶어주는 의례 등 무형의 요소들은 정체성의 초석이 되어, 지리적 거리로 분리되어도 뿌리에 단단히 닻을 내리게 한다. 그러나 강제적이든 자발적이든 ‘이주’의 경험은 깊은 불협화를 만들어낸다. 집의 위안은 잃어버린 팔처럼 사라지고, 과거의 메아리만 남는다. 그 자리를 대신하는 것은 새로운 현실이며, 이는 적응과 회복력을 요구한다. 익숙한 것과 낯선 것 사이의 경계 공간을 항해하는 과정은 도전적이면서도 변혁적인 경험이다. 이는 새로운 공동체의 형성, 새로운 연결의 구축, 예상치 못한 힘의 발견을 가능하게 한다. 궁극적으로 ‘집’의 의미는 진화하며 물리적 위치를 초월해, 마음과 정신 속에서 유동하는 개념으로 거듭난다.
소개: 린 난다르 툰(아티스트명 LnHD)은 미얀마 출신으로 현재 프놈펜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사운드 디자이너, 음악 프로듀서, DJ다. 2024년 괴테 탤런트(Goethe’s Talent)로 선정되었으며, 미니멀하면서도 타악적 색채가 강한 동남아시아 실험적 클럽 사운드를 베를린 팝-쿨투어(Pop-Kultur) 페스티벌을 비롯한 국제 무대에서 선보였다. 양곤, 사이공, 발리, 자카르타, 쿠알라룸푸르, 하노이, 방콕, 프놈펜 등 동남아시아 주요 도시의 클럽과 페스티벌에서 활발히 공연해왔다. 그녀의 작업은 정체성, 문화, 사운드의 교차점을 탐구하며, 인도네시아의 명망 있는 레이블 Yes No Wave에서 발매한 「Jamadevi」와, 동남아시아의 여성 및 퀴어 목소리를 기념하는 플랫폼 ALIGN.ONLINE에서 발매한 「SLAVE INSTINCTS」 등을 통해 주목을 받았다. 라디오 랩(Radio Lab) 수상자로서 활동을 이어가는 한편, 세계적인 실험 음악 페스티벌 CTM에도 초청되어 동남아시아 전자음악 씬의 경계를 재정의하며 국제적 명성을 확립하고 있다.
Name: Lynn Nandar Htoo (Myanmar/Cambodia)
Program note: The concept of “home” extends far beyond physical boundaries, encompassing the complexity of memories, cultural touchstones, and deeply ingrained emotional connections. It's the scent of familiar spices wafting through the air, the rhythmic cadence of a native tongue, the shared rituals that bind generations. These intangible elements form the bedrock of identity, anchoring individuals to their roots even when geographical distance separates them. Yet, the experience of displacement, whether forced or voluntary, can create a profound sense of dissonance. The comforting familiarity of home becomes a phantom limb, an echo of what once was. In its place, a new reality emerges, one that requires adaptation and resilience. The process of navigating this liminal space, between the known and the unknown, can be both challenging and transformative. It necessitates the construction of new communities, the forging of new connections, and the discovery of unexpected strengths. Ultimately, the meaning of home evolves, becoming a fluid concept that transcends physical location, residing instead in the heart and the mind.
Bio: Lynn Nandar Htoo a.k.a LnHD is a sound designer, music producer, and DJ originally from Myanmar and now based in Phnom Penh. Named Goethe’s Talent 2024, she has brought her minimalistic and percussive Southeast Asian experimental club sound to international stages, including Berlin’s Pop-Kultur Festival. She has performed in clubs & festivals across Southeast Asia in cities like Yangon, Saigon, Bali, Jakarta, Kuala Lumpur, Hanoi, Bangkok, and Phnom Penh. Her work explores the intersections of identity, culture, and sound, with releases like Jamadevi on the acclaimed Indonesian label Yes No Wave and SLAVE INSTINCTS on ALIGN.ONLINE, a platform celebrating femme and queer voices in Southeast Asia. As the winner of Radio Lab, LnHD continues to redefine boundaries in Southeast Asia’s electronic music scene and she has performed at the renowned CTM Festival, further establishing her reputation as a rising force in the global experimental music scene.
Perceptions
이름/팀명: 라고스 사운드 아티스트 콜렉티브 (Lagos Sound Artists Collective, 나이지리아)
작품설명: <Perceptions>는 세계 일부 지역에서 수천 명의 아동이 불법적인 채굴 현장에서 착취당하는 현실을 다룬다. 코발트, 금, 기타 귀중한 광물들은 전자기기와 전기차 배터리를 포함한 글로벌 산업에 필수적인 자원이나, 이들의 채굴은 위험하고 규제되지 않은 환경 속에서, 특히 아동 노동에 의존한 채 이루어지고 있다. 어떤 이들은 이를 글로벌 공급망의 ‘불가피한 현실’이라 부르며, 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특정한 악(惡)은 지속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우리는 묻지 않을 수 없다. 일부 공동체는 계속해서 고통받고 빈곤에 빠져야만 다른 공동체가 권력을 독점할 수 있다는 것인가?
이 작품은 이러한 질문과 긴장 속에서 태어났다. 참여 아티스트는 이부쿤 선데이, 마이클 아키네일레, 바바툰데 굿럭, 에스더 에시엔, 올라툰데 오바제운, 토신 오예비시다.
소개: 라고스 사운드 아티스트 콜렉티브(LSAC)는 혁신적인 사운드 탐구를 통해 청각적 경험의 지형을 재구성하는 비전통적 움직임이다. LSAC는 라고스를 중심으로 다양한 사운드 아티스트들이 모여 활발히 교류할 수 있는 공동체를 조성하고, 예술 퍼포먼스의 경계를 확장하는 데 힘쓰고 있다. 참여형 워크숍, 몰입형 설치 작업, 즉흥적인 사운드 해프닝을 통해 관객이 다감각적 사운드 탐험에 참여하도록 이끈다.
최근 주요 활동으로는 라고스의 아트 트웬티 원(Art Twenty One) 갤러리와 협업하여 열린 실험적 사운드 행사 Sonic Flux (2023), 다양한 공연과 실험 작업을 위한 다이내믹 스튜디오 Ideas Lab (2024, Afropolis Lagos 공동 기획), 그리고 J 랜들 센터와 협력하여 사운드와 웰빙의 접점을 탐구한 몰입형 경험 Echoes and Balance (2025) 등이 있다.
Name: LSAC (Lagos Sound Artists Collective) (Nigeria)
Program note: In some parts of the world, thousands of children are exploited in illegal operations, particularly in the extraction of cobalt, gold, and other valuable minerals that are crucial for global industries, including electronics and electric vehicle batteries. However, much of this mining occurs under dangerous and unregulated conditions and mostly involving child labor. Some call it Essential or Unavoidable reality of the global supply chain because they believe that Certain evils should be maintained because eliminating them would challenge the status quo. Are we saying that some communities should keep suffering and impoverished for some other communities to usurp power?
Contributing Artists: Ibukun Sunday, Michael Akinyele, Babatunde Goodluck, Esther Essien, Olatunde Obajeun and Tosin Oyebisi.
Bio: Lagos Sound Artists Collective (LSAC), is an unconventional movement dedicated to reshaping the landscape of auditory experiences through innovative sound exploration. LSAC is committed to fostering a vibrant community of sound artists from Lagos and beyond, while pushing the boundaries of art performance. Through participatory workshops, immersive installations, and spontaneous sonic happenings, LSAC aims to engage audiences in a multi- sensory exploration of sound. Some of our recent works and gatherings are: Sonic Flux: an afternoon of experimental sound in collaboration with Art Twenty One gallery Lagos 2023. Ideas Lab: a dynamic studio designed for diverse performances and experimental works. Co-curated for Afropolis Lagos 2024. Echoes and Balance: An immersive experience where sound meets personal well-being in collaboration with J Randle Centre Lagos 2025.
Anatomy Of A Breathing Exercise
이름/팀명: 루자네 바카르 파간왈라 (Lujáne Vaqar Pagganwala, 파키스탄/영국)
작품설명: <Anatomy Of A Breathing Exercise>는 자아의 친밀한 공간과 그 소속감을 물질화하려는 시도를 소리로 표현한 작품이다. 이 작업은 작가의 Humming Project에서 비롯되었으며, 하모니카를 입에 문 채 일련의 호흡 훈련을 수행하면서 생성된 하모니카의 소리가 중심이 된다. 작가는 공간적 범주화를 내적 심리와 인지를 이해하기 위한 은유로 활용한다. 본 작품은 Home Series의 사운드 확장판으로, 폴린 올리베로스의 「Deep Listening」에서 영감을 받았다. 런던과 카라치의 옥상에서 채집한 소리, 하모니카의 음, 그리고 멀리서 들려오는 자장가가 다층적으로 겹쳐진다.
파간왈라에게 옥상은 심리의 가장 깊은 부분, 즉 무의식에 비견되는 공간이다. 이는 우리가 존재로서 이동하는 비가시적 공간들의 은유이자, 불확실성과 잠재성이 머무는 영역이다. 감상자는 이 사운드 배스를 들으며 여러 층위를 가로지르고, 각 소리와 공간을 오가며 끊임없이 진동한다. 각 소리는 하나의 공간을 형성하고, 각 공간은 우리 자신의 존재를 담는다. 더 나아가, 이 작품은 감상자의 호흡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도록 구성되어 있어 퍼포머티브한 성격 또한 지닌다.
소개: 루자네 바카르 파간왈라는 타워, 구조물, 사다리와 같은 형상에 깊은 애정을 가진 다학제적 예술가다. 그녀는 공간을 사유이자 물리적 실체로 탐구하며, 다층적 시공간적 평면 위에서의 추상적 존재와 그 안에서 우리가 경험하는 끊임없는 전이를 탐색한다. 어린 시절의 공간과 도시 지형에서 영감을 받아, 그녀는 유희적이고 다층적이며 대면적인 하이브리드 현실을 창조한다. 이러한 작업은 끊임없이 호기심과 생성의 순환으로 이어지는 상호작용적 특성을 지니며, 그녀는 이를 Flash Space라 부른다.
파간왈라는 런던 로열 칼리지 오브 아트에서 현대미술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영국과 파키스탄을 오가며 활동한다. 테이트 모던, 코플랜드 갤러리, 캔버스 갤러리, 코엘 갤러리 등 국내외 주요 기관에서 작품을 선보였으며, 지리적 이동 속에서 그녀의 작업은 끊임없이 변형되고 확장된다. 그녀의 예술은 영구히 이동 중이며, 영구히 호기심을 품고 있다.
Name: Lujáne Vaqar Pagganwala (Pakistan/United Kingdom)
Program note: Anatomy Of A Breathing Exercise acts as a sonic representation of an attempt to materialize intimate spaces of the Self and its belonging. Stemming from the artist’s Humming Project, the sounds from the harmonica in the work were the results of a series of breathing exercises she performed while placing the harmonica in her mouth. The artist uses methods of spatial categorization as metaphors for comprehending our internal psyche and cognition. Anatomy Of A Breathing Exercise was made as a sonic extension of the Home Series. Inspired by Pauline Oliveros’s “Deep Listening”, the piece is multi-layered with sounds from the artist’s roof in London/Karachi, notes of a harmonica, and a distant lullaby. For Pagganwala, her roof acts as a parallel to the deepest part of the psyche; the unconscious. This characterization is a metaphor for the intangible spaces of existences that we move through as beings. These are spaces of uncertainty and latency. While listening to this sound-bath, we exist across all these layers. We travel to each sound and back, constantly oscillating between these planes. Each sound forms a space. Each space holds an existence of our-self. More so, the piece is meant to have an effect on the listener’s breathing while they experience the sound, thus the work holds a performative nature as well.
Bio: Lujáne Vaqar Pagganwala is a multidisciplinary artist with a profound affinity towards towers, structures, ladders and the like. She investigates the phenomenology of space, as an idea and as a physical entity. Pagganwala’s practice explores abstract existences on multiple spatio-temporal planes at once, and our omnipresent transience across these spaces. Taking inspiration from childhood spaces as well as urban topographies, she creates hybrid realities that are playful, layered and confrontational. The interactive nature of her practice layers these experiences into an ever-lasting loop of curiosities and becomings. A co-existence of amalgamated energies in flux – a Flash Space, as she refers to them. Pagganwala received an MA in Contemporary Art Practice from Royal College of Art, London, and continues to work mainly between the UK and Pakistan. She has exhibited both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across major institutions like Tate Modern, Copeland Gallery, Canvas Gallery, Koel and many more. Pagganwala witnesses her practice morph and mutate whilst moving between different geographical states. It is a mobile practice, forever in transience, and forever curious.
Air
이름/팀명: 플로렌스 카츠 / 릴야 마리아 아스문드스도티르 (Florence Cats / Lilja María Ásmundsdóttir, 벨기에 / 아이슬란드)
작품설명: <Air>는 플로렌스 카츠(테레민, 보컬)와 릴야 마리아 아스문드스도티르(훌다, 보컬)가 공동으로 작곡한 삼부작 air, water, fire 중 첫 번째 작품이다. 두 아티스트는 자연의 원소적 특성에서 영감을 받아 전자음과 현, 호흡과 휘파람을 혼합하며 다양한 주파수 영역을 탐구한다.
플로렌스 카츠는 2025년 11월 레이캬비크에 머무르던 중 비엔날레 초청을 받았고, 그 순간부터 야외에서 ‘공기’를 녹음하는 비전을 떠올렸다. 공기는 소리를 운반하며, 음향 진동의 매개체이자 우리가 매일 호흡하는 공간이다. 그러나 거센 바람과 열악한 장비 탓에 현장 녹음은 쉽지 않았다. 대신 카츠는 아이슬란드 사람들이 드넓은 공기를 내면화하는 방식을 발견했다. 그들의 시선, 예술, 음악 속에 공기의 광대함이 스며 있었다.
이 시기에 아스문드스도티르의 공연을 접하며 강한 공명을 느낀 카츠는 곧 협업을 제안했고, 이듬해 2월 재회하여 함께 연주하면서 민감하고 음악적이며 거의 ‘텔레파시’ 같은 연결을 경험했다. 두 사람은 아이슬란드를 형성하는 공기, 물, 불의 에너지에서 영감을 받아, 신체의 세 가지 연금술적 중심과도 대응하는 삼부작을 구상하게 되었다. 카츠는 또한 침술사로서, 인체의 특정 지점을 통해 내적 에너지의 흐름을 하늘과 땅의 흐름에 조율하는 행위와 이 작업을 나란히 두고 있다.
소개: 플로렌스 카츠의 작업은 소리, 음악, 시, 시각예술 사이를 넘나든다. 그녀의 연구는 지각과 기보법에 관련된 ‘포착하기 어려운 것’에 주목한다. 그녀는 테레민을 실험적으로 연주하며 목소리, 호흡, 물, 라디오, 손수 제작한 작은 악기들과 상호작용한다. 또한 침술사이자 아트 큐레이터로 활동한다. 2023년 벨기에 신진 사운드 아티스트로 선정되었으며, 필드 레코딩에 기반한 다수의 음반을 발표했다: shell I (Ediçoes CN, 2025), Ys (2022), We are now approaching Mo i Rana (Ftarri, 2024), Correspondances (Frissons, 2021). 또한 The Asocial Telepathic Ensemble의 일원으로 「In the air」(Corvo Records, 2021)를 발표했다.
릴야 마리아 아스문드스도티르는 아이슬란드 출신의 아티스트, 작곡가, 연주자로, 협업적 창작 과정을 탐구하는 데 중점을 둔다. 소리와 물질의 조각적 요소를 활용해 설치, 오디오-비주얼 작품, 공연을 제작하며, 재료와 개인, 환경과의 관계 속에서 아이디어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드러내는 과정을 중시한다. 그녀의 대표작으로는 대통령 학생 혁신상 후보에 오른 사운드-라이트 조각 Hulda, 무용가 이네스 지뇨 핀헤이루와 공동 개발한 살아있는 사운드 조각 Lurking Creature가 있다.
Name: Florence Cats / Lilja María Ásmundsdóttir (Belgium / Iceland)
Program note: “air” is part of the triptych air, water, fire, composed by artists Florence Cats (theremin, voice) and Lilja María Ásmundsdóttir (hulda, voice). Finding inspiration in the qualities of the natural elements, the new duo explores a wide range of frequencies, hybridizing electronic sounds and strings with breath and whistle.
“I was in Reykjavik in November when I received the invitation to take part in the biennial. I immediately had the vision of recording outside, the space, the whistling silence of the air. Air carries sound, air is the medium of sonic vibrations and, somewhere, we breathe sound every day. My first intention was to make field recordings, but it was very windy and my cheap equipment wasn't suited to the weather conditions. I was also fascinated by the way Icelanders internalize the vastness of the open air, one can feel it in their gaze, art and music. Having attended a concert by the musician and artist Lilja María Ásmundsdóttir, I felt a direct resonance and offered to collaborate with her on my next visit. When I returned in February we played together and the connection proved to be sensitive, musical and telepathic. We decided to work on a tryptic, drawing inspiration from the energies of air, water and fire that shape Iceland and correspond in us to the three alchemical foci. I'm also an acupuncturist, placing needles at precise points on the body to attune inner energy movements to celestial and terrestrial flows.”
Florence Cats
Bio: Florence Cats' work evolves between sound, music, poetry and visual art. Her research concerns the elusive, in relation to perception and notation. She plays the theremin experimentally, interacting with voice, breath, water, radio and tiny handmade instruments. She is also acupuncturist and art curator. In 2023, she was selected as a Belgian emerging sound artist. Her releases are based on field recordings, resulting from free processes, open to nature or to other artists: shell I (Ediçoes CN, 2025), Ys (2022), We are now approaching Mo i Rana (Ftarri, 2024) and Correspondances (Frissons, 2021). She was part of The Asocial Telepathic Ensemble (Corvo Records, 2021) with the piece In the air. She is also an art curator and acupuncturist. Lilja María Ásmundsdóttir is an artist, composer and performer from Iceland. Her practice is centered on explorations of collaborative creativity. Working with sculptural elements of sound and matter, she creates installations, audio-visual pieces, and performances. The works are actively designed to facilitate continuous processes that highlight how ideas surface from correspondences with materials, between individuals, and in context to one’s surroundings. Her works include the sound and light sculpture Hulda which was nominated for the President’s Student Innovation Award, and the living sound sculpture Lurking Creature which she developed in collaboration with the dancer Inês Zinho Pinheiro.
Earthsong: Indigenous Harmony from Thailand (Nature soundscape from rotation farming at Maeporkee community)
이름/팀명: Hear & Found (태국)
작품설명: <Earthsong: Indigenous Harmony from Thailand>은 태국 북부 딱(Tak) 주의 마에포르끼(Maeporkee) 공동체에서 채록된 사운드스케이프 작품으로, 카렌(Karen)족 전통 생활 방식의 중요한 축인 윤작 농법(rotational farming)을 담고 있다. 이 농법은 재생적 자연과 지속가능성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공동체가 함께 모여 논농사를 지을 땅을 선택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농사를 시작하기 전, 그들은 반드시 어머니 대지(Mother Earth)에게 허락을 구하는 의식을 치른다. 허락이 주어지면 땅을 일구고, 고추·고수·호박 등 계절성 채소를 심는다. 해가 중반에 이르면 벼농사가 시작되고, 수확은 보통 11월에 이뤄진다. 이렇게 얻은 곡식은 가족들의 일 년 양식을 책임진다. 이후 이 땅은 3~7년간 휴경기에 들어가며, 공동체는 때때로 땅에 경의를 표하기 위해 돌아올 뿐이다.
이 주기적 방식은 화학비료 없이 유기농 식량을 자연스럽게 생산해 내며, 계절에 따른 자연스러운 성장과 수확을 존중한다. 어떠한 생명도 억지로 통제하거나 해치지 않고, 생태적 균형에 대한 깊은 이해를 보여준다. 그러나 오늘날 카렌 공동체의 전통적 지식은 토지권 문제, 젊은 세대의 감소, 기후 변화, 농업 기술의 급속한 발전 등으로 인해 점차 쇠퇴 위기에 처해 있다. 이러한 조화롭고 지속 가능한 삶의 방식이 언젠가 사라질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있다.
Hear & Found 팀은 이 농법을 미래 세대에 남기려는 카렌 사람들의 헌신에 깊이 감명받아, 2024년 9월 아침 푸른 논이 무르익은 계절에 이 사운드스케이프를 녹음했다. 작품 속에서는 새들의 지저귐, 부드러운 바람, 그리고 논이 흔들리며 내는 사각거림이 펼쳐지며, 그들의 지속가능한 삶의 증언을 귀로 체험할 수 있다. 이 작품은 카렌 및 카렌 포(Karen Pwo) 공동체의 자연 환경, 음악, 노래를 엮어낸 Earthsong 시리즈 4부작 중 하나이다.
소개: Hear & Found는 태국 아티스트 시라사르 분마(Sirasar Boonma)와 판시타 사시라웃(Pansita Sasirawuth)이 2018년 태국에서 공동 설립한 사운드 콜렉티브다. 이들은 주로 태국 내 소수자와 토착 공동체의 목소리를 증폭하는 데 열정을 쏟으며, 몰입형 설치 작업과 필드 레코딩을 통해 문화적 간극을 좁히고 이해를 촉진한다.
Hear & Found의 작업은 윤리적 협업을 핵심으로 하며, 독특한 사운드스케이프와 음악적 전통을 보존한다. 지속가능성과 문화적 정체성을 중심에 두고, 예술적 혁신과 사회적 가치를 결합해 종종 간과되는 소리의 내러티브를 기록하고 공유함으로써 공감과 인식을 확산한다. 지난 6년간 Hear & Found는 7개 이상의 소수 민족 공동체와 협업하여 100명 이상을 참여시켰으며, 전 세계적으로 25만 명 이상의 청중에게 다가갔다. 그 결과, 토착민의 목소리와 풍부한 문화유산이 동시대 관객에게 생생히 전해지고 있다.
Sound Artist: Hear & Found (Thailand)
Program note: Recorded in the Maeporkee community in Tak province, Northern Thailand, this soundscape captures a significant aspect of the Karen people's traditional way of life: rotational farming, a method rooted in regenerative nature and sustainability. Rotational farming involves the Karen people collectively selecting a communal plot of land for rice cultivation. Before commencing, they perform a ritual to seek permission from Mother Earth. Once granted, they clear the vegetation and prepare the land, planting seasonal vegetables like chilli, coriander, squash, etc. Around mid-year, they cultivate rice, with the harvest typically occurring in November. These crops sustain their families for the entire year. Afterwards, the land is left fallow for three to seven years, with the community returning only to pay respects to the land. This cyclical method naturally produces organic food without chemicals, embodying principles of regenerative agriculture. The Karen people allow plants to grow seasonally and harvest what the season provides, refraining from controlling or harming any living organisms, showcasing a deep understanding of ecological balance. Unfortunately, this traditional knowledge is fading in many Karen communities due to land rights issues, a decline in younger generations continuing the practice, climate change, and the rapid advancement of agricultural technology. There is a concern that this harmonious and sustainable method of living and producing organic food may disappear someday. Deeply impressed by the Karen people’s dedication to preserving this agricultural method for themselves and future generations, the Hear & Found team recorded this soundscape on the morning of September 2024, during the lush green field season before the harvest. In this track, listeners can immerse themselves in the natural sounds of birds chirping, the gentle breeze, and the rustling of the rice field as it sways in the wind, a testament to their sustainable way of life. This soundscape is one of four soundscapes from their Earthsong series, which interweaves sounds of natural environments and music and song from the Karen and Karen Pwo groups.
Bio: Hear & Found, a sound collective co-founded by Thai artists Ms. Sirasar Boonma and Ms. Pansita Sasirawuth, was established in Thailand in 2018. Driven by a passion for amplifying marginalized voices, primarily within Thailand, the team creates immersive installations and field recordings to bridge cultural gaps and foster understanding. Their work centers on ethical collaboration with indigenous communities, preserving unique soundscapes and musical traditions. Focusing on sustainability and cultural identity, Hear & Found blends artistic innovation with social impact. They document and share often-overlooked sonic narratives, promoting empathy and awareness. In these six years, their projects have created accessible platforms and reached more than 250,000 people worldwide, working with more than seven ethnic groups and involving over a hundred individuals from these ethnic groups, ensuring that indigenous voices and their rich cultural heritage are heard and celebrated by contemporary audiences.
Questions of Jailani
이름/팀명: 이마드 마지드(Imaad Majeed, 스리랑카)
작품설명: <Questions of Jailani>는 스리랑카 쿠라갈라(Kuragala)의 다프테르 자일라니(Dafther Jailani)라는 논쟁적 성지를 탐구하는 사운드 기반 작업이다. 이곳은 서로 다른 신화, 군사화된 민족주의, 종교적 정통성이 충돌하며 다층적인 역사와 기억을 왜곡하는 장소로 변모했다. 과거에는 순례자들로 넘쳐나던 수피(Sufi) 신앙의 성지였지만, 오늘날에는 정체성과 기원의 투쟁의 장이 되었다.
스리랑카의 일부 신할라 불교 민족주의자들은 이 장소를 무슬림 흔적이 없는 선사시대 고고학 유적으로 재구성하려 하고, 반대로 정통 수니파 집단은 이곳의 신비적 실천을 우상 숭배라 하여 배격한다. 이와 같은 기원 논쟁 속에서 공유된 기억은 해체되고, 단일하고 순수한 서사만이 강요된다.
작품은 예술가 Abdul Halik Azeez와 함께 수집한 현장 녹음을 바탕으로 공간의 층위를 귀 기울여 듣는다. 군인들의 땅을 쓸어내는 소리와 희미하게 메아리치는 불교 경전 낭송, 자연의 소리와 함께 울려 퍼지는 길게 늘인 “아민(ameen)”의 잔향은 인간과 비인간 발화의 경계를 불안정하게 만든다. 또한, 인근 지니 말라이(Jinni Malai)의 진(jinn)과의 만남을 전한 관리인의 이야기에 영감을 받아, 인간 세계의 정치가 더-인간적 영역과 얽혀 있음을 사운드로 사유한다.
이 작품은 잃어버린 소리를 복원하려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이렇게 묻는다:
“신할라 불교 식민화의 소리는 무엇인가?”
“파키르(fakhirs)들이 더 이상 거하지 않는 지금, 침묵 속에 무엇이 남아 있는가?”
<Questions of Jailani>는 귀 기울임을 저항과 사유의 방법으로 삼으며, 시간·신앙·종(種)의 경계를 넘어 남겨진 잔향과 얽힘, 그리고 망령들을 듣도록 초대한다.
소개: Imaad Majeed는 콜롬보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다분야 예술가, 큐레이터, 작가이다. 그들은 삼개국어 공연 플랫폼 “KACHA KACHA”의 디렉터이자 큐레이터이며, 아티스트 집단 “The Packet”의 일원, 그리고 Packet Radio (SUPR FM)의 VJ/DJ로도 활동한다. 또한 스리랑카의 주변부 음악을 소개하는 플랫폼 Thattu Pattu의 프로젝트 코디네이터 및 공동 큐레이터이기도 하다.
그들의 시는 Out of Sri Lanka: Tamil, Sinhala and English Poetry from Sri Lanka and its Diasporas, CITY: A Journal of South Asian Literature 등에 실렸으며, 소규모 출판물 Lime Plain Tea, Annasi & Kadalagotu에도 발표되었다. 작품은 Colomboscope, Chobi Mela, Queer Arts Festival, Serendipity Arts Festival, BuchBasel, Spielart Theatre Festival 등 다양한 국제 무대에서 소개되었다. 현재 Majeed는 “KANNOORU”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샘플 기반 음악을 통해 스리랑카의 수피/무슬림 정체성, 공동체, 기억, 지움, 조상성, 신비주의를 탐구하고 있다.
Name: Imaad Majeed (Sri Lanka)
Program note: Questions of Jailani is a sound-based artwork that explores the contested sacred site of Dafther Jailani in Kuragala, Sri Lanka– a place where overlapping mythologies, militarized nationalism, and religious orthodoxy converge to distort plural histories. Once an overflowing Sufi shrine, Jailani has become a battleground of authenticity– Sinhala Buddhist nationalists seek to reframe it as a prehistoric archaeological site devoid of Muslim presence, while orthodox Sunni factions reject its mystical practices as idolatry. In this struggle over origins, shared memory is dismantled to make way for singular, purified narratives. This work constructed from field recordings gathered in collaboration with artist Abdul Halik Azeez, listens closely to the space. A military personnel sweeps the grounds while Buddhist chants echo faintly. We hear the sounds of nature as the invocation “ameen” is stretched into a spectral resonance, unsettling the boundary between human and non-human utterance. Inspired by a caretaker’s account of encounters with the jinn of nearby Jinni Malai, who claimed the politics of our realms are interconnected, the work considers listening as a method of resistance and speculation. In an attempt to hear the more-than-human realm and the unresolved memory it holds, it asks: what is the sound of Sinhala Buddhist colonization? What survives in the silence now that the fakhirs no longer dwell there? Questions of Jailani is not a restoration of lost sound, but an invitation to attune to what remains: echoes, hauntings, and entanglements across time, faith, and species.
Bio: Imaad Majeed is a multidisciplinary artist, curator and writer based in Colombo, Sri Lanka. They are Director and Curator of the trilingual performance platform “KACHA KACHA”. They are one part of the artist collective “The Packet” and VJ/DJ of “Packet Radio” (SUPR FM). They are Project Coordinator and Co-Curator of Thattu Pattu, a platform for music from the fringes of Sri Lanka. Their poetry has been published in “Out of Sri Lanka: Tamil, Sinhala and English poetry from Sri Lanka and its diasporas”, “CITY: A Journal of South Asian Literature”, as well as the local small-press chapbooks “Lime Plain Tea” and “Annasi & Kadalagotu”. Their artwork, in various mediums, has been featured at Tamil Studies Symposium, Queer Tamil Collective, Colomboscope, Chobi Mela, Queer Arts Festival, Serendipity Arts Festiv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ri Lanka, BuchBasel, and Spielart Theatre Festival, among others. They are presently working on “KANNOORU”, exploring Sri Lankan Sufi/Muslim identity, community, memory, erasure, ancestry and mysticism through sample-based music.
In a cloud
이름/팀명: 그라시에라 무뇨스 (Graciela Muñoz, 칠레)
작품설명: <In a cloud>는 칠레 남극권 아랫지역(Sub-Antarctic) 오모라 숲(Omora forest)에서 탄생한 작품이다. 작가는 이곳에서 곤충, 이끼, 지의류, 그리고 주변에서 발견한 오브제와의 현장 녹음과 전송 실험을 진행하였다. 신호, 피드백, 전송 과정이 서로 얽히며 비인간 존재들과의 감각적·물질적 상호 연결을 탐구한다.
《In a cloud》은 이러한 몰입적 경험의 단편으로, 청취자는 숲 속의 미시적 생명체와 매질들이 만들어내는 보이지 않는 구름 같은 사운드 레이어에 휘감기게 된다. 소리의 흐름은 곧 숲을 살아가는 존재들의 리듬과 공명하며, 청취 자체가 그 생태적 얽힘 속에 참여하는 행위가 된다.
소개: Graciela Muñoz (칠레, 1982)는 작곡가, 연주자, 연구자로서 칠레 대학교 미디어 아트 석사,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바르셀로나 Phonos Foundation에서 전자음악 작곡을 전문적으로 수학했다.
그녀의 작업은 다양한 현대 생태계에서 발견되는 매체, 스펙트럼, 물질성을 아우르며, 이를 예술적 언어로 엮어낸다. 현재는 칠레 남극 아랫지역에 위치한 오모라 파크(Parque Omora)에서 박사후 연구를 수행하며, 인간과 비인간 존재가 얽혀 있는 생태적 실천과 사운드 예술의 관계를 탐구하고 있다.
Name: Graciela Muñoz (Chile)
Program note: “In a cloud” emerged from the Omora forest, in the sub-Antarctic region of Chile, in 2025. At that time, we experimented with field recordings and transmissions: signals, feedback, and transfers in interconnections with insects, mosses, lichens, and objects found there. “In a cloud” is a fragment of that immersive experience.
Bio: Graciela Muñoz (Chile, 1982) is a composer, performer, and researcher, Master in Media Arts and PhD in Philosophy from the University of Chile. She obtained a specialization in electroacoustic composition at the Phonos Foundation in Barcelona. Her work brings together multiple media, spectra, and materialities found in diverse contemporary ecologies. She is currently working on her postdoctoral research project at Parque Omora, located in the sub- Antarctic region of Chile.
听潮 [the sound of impermanence]: Finding Putuo
이름/팀명: 슈퍼레이티브 퓨처스 (Superlative Futures, 싱가포르)
작품설명: <听潮 [the sound of impermanence]: Finding Putuo>는 2025년 2월 15일, 싱가포르에서 낮은 조위(+0.30m)의 바닷가에서 시작되었다. 작가들은 도시를 떠나 푸투오(Putuo)를 찾는 여정에 나섰다. 그러나 여기서의 푸투오는 지리적 의미의 섬이자 산이 아닌, 은유적 푸투오였다. 간조 때 한 달에 한두 번 드러나는 조간대의 변화무쌍한 경계 속에서 그들은 이를 발견하였다.
밀물과 썰물이 반복되는 리드미컬한 소리는 푸투오 산 자락의 동굴에서 들렸다는 조수의 소리를 떠올리게 한다. 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그곳에서 보살 관음(觀音, Avalokiteshvara Guanyin, ‘소리를 관찰하는 자’)이 밀려오고 물러가는 물결의 소리를 들으며 깨달음을 얻었다고 한다.
<Finding Putuo (2025)>는 15분 길이의 사운드워크로, 도심에서 해안으로, 다시 도심으로 돌아오는 몸의 이동 경험을 순환적으로 재구성한다. 조수의 소리가 들려올 때, 도시의 단단한 콘크리트적 기반은 발밑에서 무너져 내리며 진흙 같은 무상(無常)의 물질성으로 변한다. 본 작품은 일상 속에서 잠시 멈추어 조수의 소리를 관찰하는 행위를 제안한다. 매번 밀려오고 물러가는 순간마다, 우리는 각자의 작은 푸투오를 발견할 수 있다.
소개: Superlative Futures는 싱가포르 기반의 초학제적 디자인·리서치 그룹으로, Wong Zi Hao와 Liu Dian Cong이 공동 설립하였다. 그들의 연구 실천은 풍경을 바라보는 새로운 방식과 도시가 비인간적 세계와 더 나은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상상적·미래적 실천을 탐구하는 데 초점을 둔다. 작업 결과물은 곧 돌봄의 실천으로 이해되며, 이는 미술관, 학술 연구, 교육, 건축 등 다양한 영역에 걸쳐 확장된다.
이들은 NUS Museum에서 전시를 열었으며, 2024–2025년 싱가포르 아트 뮤지엄의 첫 번째 Design Research Fellowship 지원을 받았다. Wong은 2023년 싱가포르국립대학교(NUS)에서 건축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조간대 돌봄 실천에 관한 디자인 기반 연구를 수행했다. 현재 그는 NUS 건축학과와 난양예술대학(NAFA) 디자인 실천 프로그램에서 강의하고 있다. Liu는 2024년 NUS에서 건축학 석사를 마친 뒤 건축 디자이너로 활동 중이며, 퇴적과 ‘땅’에 대한 대안적 개념을 연구·실천하고 있다.
Name: Superlative Futures (Singapore)
Program note:
15 February 2025, Singapore.
7.30pm, low tides at +0.30m.
We left the city in the hope of finding Putuo—but not the geographical place of the mountain (that is also an island) as the name refers to. Instead, it was a metaphorical Putuo that we found in the shifting edges of an intertidal landscape that comes visible in the low tide once or twice a month. The rhythmic sound of the tides receding and then returning up-shore recall the cave at the foot of Putuo where the changing tides could be heard. It was there, as a story tells, that the Bodhisattva Avalokiteshvara Guanyin (whose name translates as the “Observer of Sounds”) gained enlightenment by listening to the coming and going of the tides.
Finding Putuo (2025) is a 15-minute soundwork looping in a cyclic recounting of the artists’ bodily translocations from city centre to coastal periphery, and back again. When the tides become audible, the grounded-ness of the concrete-city dissolves underfoot to muddy material impermanence. The artwork is a call to pause and observe the sounds of the tides amidst daily life. Each coming and going is an opportunity to find our little Putuos.
Bio: Superlative Futures is a transdisciplinary design and research agency in Singapore and is co- founded by Wong Zi Hao and Liu Dian Cong. The research practice centers on creative modes of representation to advocate new ways of seeing landscapes and speculate alternative social imaginaries and futuring practices for cities to relate better with more-than-human worlds. They see their design output as a practice of care. They have exhibited at NUS Museum and were supported by Singapore Art Museum’s inaugural Design Research Fellowship, 2024-2025. Wong received his PhD in Architecture at the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in 2023, having completed a design-led research on intertidal practices of care. Alongside his research practice, Wong teaches at NUS’ Department of Architecture, and the University of Arts (NAFA)’s Design Practices program. Liu currently practices as an architectural designer, after completing his Master of Architecture at NUS in 2024, exploring sedimentation and alternative conceptions of “ground”.
Vientos colectivos
이름/팀명: 니콜 르위리에 (Nicole L’Huillier, 칠레/독일)
작품설명: <Vientos colectivos (2025)>는 La Orejona라는 독특한 청취 장치를 통해 이루어진 작업이다. La Orejona는 공기 중의 음파, 바람의 쓰다듬음, 땅의 진동, 인간과 비인간 존재가 만들어내는 접촉의 진동에 반응한다. 일반적인 현대 마이크가 개별 신호를 선별해 포착하는 데 목적을 둔다면, La Orejona는 독립된 신호들을 집합적이고 분리할 수 없는 소음으로 엮어내는 장치다. 그것은 탁하고 뒤엉킨 두터운 소리 덩어리이며, 불가해성의 시학을 중심으로 한 고무 같은 청취 기구다. 정밀한 측정 장치가 아니라, 오히려 신호를 혼란스럽게 하고, 퍼지게 하고, 섞어 흐릿하게 만드는 장치다. 이를 통해 La Orejona는 세계를 진동적 논리로 탐구하고, 우리의 상상력을 경직되게 구획하는 고정된 패러다임과 선들을 흐트러뜨린다. 그것은 우리를 다른 코드에 귀 기울이도록 초대하며, 관계 맺는 방식과 우리를 정의하는 내러티브를 새롭게 구성하게 하고, 진동적 현실에 접속하게 한다.
La Orejona는 야외와 이동형 녹음 스튜디오로 기능하며, 사회-자연적 배열과 집단 즉흥 연주 세션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다양한 퍼레이드와 공동 세션을 통해 관객과의 상호작용, 통과하는 공간의 공명, 현지의 소리, 그곳의 바람, 목소리, 관악기, 신시사이저, 나무와 식물의 접촉, 물의 파동, 그리고 주변의 또 다른 존재와 진동적 힘들을 불러들인다. 본 작품은 La Orejona(특히 XS 버전)를 활용한 집단 즉흥 퍼레이드 녹음을 바탕으로 구성되었다. 이 세션은 2023년 11월, 베를린 Morphine Raum에서 열린 Radical Sounds Latin America Festival의 일환으로, 바람이 불고 비가 내리던 밤에 실내외를 오가며 진행되었다. 작가는 “함께 공명하고 함께 움직이는 시끄러운 공동체를 활성화해준 모두에게 무한한 감사를 전한다”고 밝힌다.
소개: Nicole L’Huillier는 칠레 산티아고 출신의 초학제적 예술가이자 연구자이다. 그녀의 작업은 소리와 진동을 구성적 재료로 삼아, 주체성, 정체성, 집합성, 진동적 상상력의 활성화라는 질문을 탐구한다. 그녀의 작업은 설치, 소닉/진동 조각, 맞춤형 청취·발성 장치, 공연, 실험적 작곡, 막(膜)적 시, 글쓰기를 통해 구현된다.
그녀는 MIT에서 미디어 예술 및 과학 박사학위(2022)를 취득했으며, 작업은 다음과 같은 국제적 무대에서 발표되었다: 제60회 베네치아 비엔날레 국제 미술전(2024), 쿤스트할레 베른(2024), 상하이 McaM(2023), 슈투트가르트 ifa-갤러리(2023), 산티아고 미디어 아트 비엔날레(2017, 2019, 2021, 2023), 바덴바덴 주립 쿤스트할레(2022), Transmediale 베를린(2022),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린츠(2018, 2019, 2022), 산티아고 현대미술관 MAC(2022), 제6회 우랄 산업 비엔날레(예카테린부르크, 2021), 제16회 베네치아 비엔날레 국제 건축전(2018) 등.
Name: Nicole L’Huillier (Chile/Germany)
Program note: La Orejona interacts with phenomena such as sound waves in the air, caresses from the wind, tremors from the ground, and oscillations induced by touch from both human and non-human entities. In contrast to regular modern microphones that are made to target individual signals, La Orejona operates with the purpose of weaving independent signals into a collective and inseparable noise, a thick mass of convoluted muddy sound. La Orejona is a microphone of noise, a rubbery listening apparatus that centers on the poetics of unintelligibility. It is not intended to be a precise measurement device, on the contrary, it is a device for confusing signals, fuzzing, mixing up, and obscuring. By doing so, La Orejona aims to explore the world through a vibrational logic in order to fuzz the rigid paradigms and lines that delineate our imaginations. This is an invitation to pay attention to other codes so we can rearticulate our relational ways and the narratives that define us; so we can tune into our vibrational realities.
La Orejona, enabled a mobile and outdoor recording studio for socio-natural arrangements and collective improvisation sessions through different processions and collective sessions that invite for vibrations and interaction with the audience, resonances from the spaces it transits in, sounds from the place, the wind of the place, voices, wind instruments, synthesizers, touch from trees and plants, the waves from the water, and other entities and vibrational forces around her. This piece was composed using as a source the recording from a collective improvisation procession with La Orejona (XS) – who served as a mobile recording membranal studio. This session took place indoors and outdoors on a rainy and windy night in November 2023 at Morphine Raum in Berlin as part of the Radical Sounds Latin America Festival. Infinitas gracias a todxs por resonar con nosotras y activar en conjunto una ruidosa comunidad en movimiento.
Bio: Nicole L’Huillier is a transdisciplinary artist and researcher from Santiago, Chile. Her practice centers on exploring sounds and vibrations as construction materials to delve into questions of agency, identity, collectivity, and the activation of a vibrational imagination. Her work materializes through installations, sonic/vibrational sculptures, custom-made (listening and/or sounding) apparatuses, performances, experimental compositions, membranal poems, and writing. She holds a Ph.D. in Media Arts & Sciences from MIT (2022). Her work has been shown at the 60th International Art Exhibition – La Biennale di Venezia (2024), Kunsthalle Bern (2024), Ming Contemporary Art Museum (McaM), Shanghai (2023), ifa-Gallery Stuttgart (2023), Bienal de Artes Mediales Santiago (2023, 2021, 2019, 2017), Staatliche Kunsthalle Baden-Baden (2022), Transmediale, Berlin (2022), Ars Electronica, Linz (2022, 2019, 2018), Museo de Arte Contemporáneo (MAC), Santiago de Chile (2022), 6th Ural Industrial Biennale, Ekaterinburg (2021), and 16th International Architecture Exhibition – La Biennale di Venezia (2018), among others.
Feed on Wasted Energy
이름/팀명: 야라 메카웨이 (Yara Mekawei, 이집트)
작품설명:
한 접시: 쌀, 토마토, 브로콜리, 포도—
석류 몰라세스에 스며드는 베이컨 기름.
루콜라는 침묵의 무게에 시들어간다.
세 소녀. 마흔 해의 사내.
그의 뒤에서 노란 빛이 고요히 번져
희미한 왕관처럼 감싼다.
그는 음식을 해체한다—느리고, 의식적으로—
손대지 않은 접시에도,
딸들 사이에 몰래 엮이는 눈빛에도 흔들림 없이.
세월은 지각판처럼 갈린다:
우연은 없고, 오직 신념의 부서지기 쉬운 기하학만.
모든 것은 맞물리고.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문이 살짝 열리기 전까지.
낯선 이가 도착한다, 불청객처럼.
“셰프”—그들이 속삭인다—
그의 수염은 카리스마의 조각품,
웃음은 목구멍에 감겨 있다.
방은 굳어버린다. 분은 밀랍처럼 떨어진다.
그때, 그의 요구: 한 잔의 우유.
그는 남자의 손에서 그것을 빼앗고, 비웃는다:
“나는 이곳에서 담배를 피웠지. 우유를 마셨다.
법은 없었다. 나만의 법뿐.”
야생의 법이 펼쳐진다—
응시의 시차. 이제 모든 프레임이 흔들린다:
각 신체는 속도를 유지한 채
자신만의 은하가 된다.
길은 구속되었으나, 모두 상대적이다.
닻도 없고, 절대적 축도 없다.
오직 충돌의 대수만 남는다:
우유가 쏟아지고, 연기는 머물며,
접시는 말해지지 않은 것들의 중력에 궤도 돈다.
소개: Yara Mekawei는 사운드 아티스트이자 연구자로, 사운드·건축·도시 풍경의 교차 지점을 탐구한다. 그녀의 작업은 도시의 리듬을 몰입형 청각적 경험으로 변환하며, 소리의 내러티브가 시각적 형식과 결합된다. Mekawei는 심층적인 연구를 기반으로, 수피 철학과 『사자의 서』에서 영감을 받아 기억, 정체성, 문화유산과 공명하는 작품을 만들어낸다. 그녀의 예술적 실천은 과거와 현재, 그리고 소리로 그려낸 미래의 경계를 허문다.
Name: Yara Mekawei (Egypt)
Program note:
A plate: rice, tomato, broccoli, grapes—
bacon’s grease bleeding into pomegranate molasses.
Arugula wilts under the weight of silence.
Three girls. A man of forty winters.
Yellow light pools behind him, a dim coronet,
as he dissects his meal—slow, methodical—
unmoved by untouched plates, by glances
stitched in secret between daughters.
Years grind like tectonic plates here:
no accidents, only faith’s brittle geometry.
Everything interlocks. Nothing happens—
until the door cracks open.
A stranger arrives, unannounced.
Chef—they murmur—his beard a sculpture
of charisma, laughter coiled in his throat.
The room stiffens. Minutes drip like wax.
Then, his demand: A cup of milk.
He plucks it from the man’s grip, smirks:
I smoked here once. Drank milk. No law
but my own.
Wild law unfolds—
a parallax of gazes. Now, all frames shift:
each body a galaxy in motion, velocity constant,
paths straitjacketed yet relative. No anchor.
No axis absolute. Only the algebra of collision:
milk spilled, smoke lingering, plates orbiting
the gravity of what goes unsaid.
Bio: Yara Mekawei is a sonic artist and scholar exploring the intersection of sound, architecture, and urban landscapes. Her work transforms the rhythm of cities into immersive auditory experiences, where sonic narratives merge with visual form. Rooted in deep research, Mekawei bridges antiquity and modernity, drawing from Sufi philosophy and The Book of the Dead to craft compositions that resonate with memory, identity, and cultural heritage. Her practice dissolves boundaries between past, present, and sonic visions.
Creación de la tierra
이름/팀명: 하클린 노바 (Jacqueline Nova, 벨기에/콜롬비아)
작품설명: <Creación de la tierra>는 “테이프 음악” 혹은 “고정 매체를 위한 전자음악”으로 분류될 수 있으나, 작곡가는 이를 일관되게 “전자적으로 변형된 목소리를 위한 작품”으로 설명했다. 이 곡은 아카이브 자료를 활용하여 제작되었으며, 콜롬비아 보야카 지역 우와(U’wa) 원주민의 목소리로 전해지는 대지 창조의 노래 단편을 담고 있다. 이 작품은 듣기를 통해 단어가 끊임없이 변형되어 목소리에서 몸, 기억, 땅으로 변이하는 하나의 의식과 같다. 19분간의 의식에서 목소리는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촉지할 수 있는 것과 알 수 없는 것, 낯익은 것과 조상의 세계를 오가며 다양한 존재와의 만남으로 인도한다. 청자는 인간과 비인간, 지상적·유령적·과도기적 세계의 틈새를 경험하며 숲, 바람, 곤충, 타악, 합창, 강, 밤이 되는 체험으로 초대된다. 작곡가가 속하지 않은 공동체의 목소리와 그녀의 것이 아닌 언어의 단어들은 이국적으로 소비되지 않고, 역사적으로 소외된 맥락 속에서 증폭되어 깊은 상징적 가치를 획득한다. 이 작품을 통해 노바는 평등한 공존의 권리와 배제 없는 존재의 필요성을 강하게 환기한다.
(아나 마리아 로마노의 글. Creación de la tierra, 1972, 콜롬비아 국립도서관 음악문헌센터 소장.)
소개: Jacqueline Nova(1935, 벨기에 겐트 – 1975, 콜롬비아 보고타)는 부카라망가(아버지의 고향)에서 성장한 후 1958년 보고타로 이주하여 국립음악원에서 피아노를 전공했다. 그러나 1963년부터 작곡에 전념하였고, 음악원 최초의 여성 졸업 작곡가가 되었다. 1967년에는 아르헨티나 토르쿠아토 디 텔라 연구소의 CLAEM(라틴아메리카 고등음악연구소) 장학금을 받아 수학했다. 그녀의 작품 전반에는 인간의 목소리에 대한 깊은 매혹, 전자매체, 그리고 전자음향과 어쿠스틱 악기가 교차하는 혼합적 악기 편성이 두드러진다. 노바에게 전자음향은 신비한 것이 아니라 동시대 창작의 음향 세계 속에서 어쿠스틱 악기와 유기적으로 대화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음악적 재료였다. Creación de la tierra는 1972년 부에노스아이레스대학교 건축학부 포놀로지 스튜디오에서 탄생했다. 그녀는 1975년 뼈암으로 보고타에서 세상을 떠났으며, 이 비극적으로 짧은 생애는 그녀의 창작적 잠재력이 가장 무르익을 시점에서 끊어졌을 뿐만 아니라 콜롬비아 전자음악의 발전에도 직접적인 공백을 남겼다.
Sound Artist: Jacqueline Nova (Belgium/Colombia)
Program note: Creación de la tierra is a piece that can be classified as “tape music” or “electroacoustic music for fixed media”; however, the composer consistently emphasized describing it as a work “for electronically transformed voice”. It was composed using archival material, featuring a fragment of one of the chants of the creation of the earth, in the voice of an Indigenous person from the U’wa ethnic group (Boyacá, Colombia).
It is a ritual in which, through listening, words undergo constant metamorphoses; they overflow from the voice to transmute into bodies, memories, territories. In every step of the 19-minute ceremony, the voice takes us to encounters with other forms of existence—visible, invisible, tangible, unknown, familiar, ancestral. This voice guides us initiatically through worlds, both human and non-human, through earthly, spectral, or transitional interstices. This creator chant invites us to embody forest, wind, insects, percussion, choir, river, night. The voice of a community to which Nova does not belong and the words of a language that is not her own are interwoven without exoticism and gain profound symbolic value by being amplified in a context that has historically marginalized them. Nova strongly reaffirms the right to coexist as equals and the necessity to exist without exclusions.
Text by Ana María Romano. Creación de la tierra, 1972 courtesy of the Centro de Documentación Musical de la Biblioteca Nacional de Colombia.
Bio: Jacqueline Nova (Ghent, Belgium, 1935 - Bogota, Colombia, 1975) Jacqueline Nova arrived in Bogotá in 1958 after living in Bucaramanga, her father’s hometown. She settled in the capital to study to become a pianist at the National Conservatory of Music. However, in 1963, she focused on composition. She was the first female composer to earn a diploma from the Conservatory. In 1967, she won a scholarship to study at the CLAEM (Latin American Center for Advanced Musical Studies) of the Torcuato Di Tella Institute in Argentina. Throughout Nova’s artistic creation, it is evident her great fascination with the human voice, electronic media, and mixed instrumental combinations—those in which acoustic instruments are intertwined with electronic media. For her, electroacoustic resources had to be integrated into the sonic universe of contemporary creation without mystery, as another musical material that could dialogue organically with acoustic instruments. Creación de la tierra emerged at the Phonology Studio of the Faculty of Architecture, University of Buenos Aires in 1972. She died in Bogota of bone cancer. Her tragic and early death not only cut short a career at the height of her creative potential, but also directly affected the development of electroacoustic music in Colombia.
To listen with the hands. A practice for decolonizing the senses
이름/팀명: 아만다 피냐 (Amanda Piña, 칠레/멕시코/오스트리아)
작품설명: 이 작업은 하나의 실천이자, 안내된 여행이며, 감각의 탈식민화를 위한 실험이다. 소리를 통해 만짐과 주의가 어떻게 우리가 느끼고, 사고하고, 존재하는 방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지를 탐구한다. 감각이 다른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을 때, 그것이 지각에 어떤 변화를 일으키는지도 묻는다. 나는 작업 속에서 종종 신체를 이해하고 느끼는 방식을 전환하기 위한 안내적 실천들을 진행해왔다. 오늘날 우리가 직면한 현실은, 지구라는 집을 파괴로 이끈 도구들로는 결코 회복할 수 없음을 깨닫게 한다. 그래서 나는 몸에서부터 시작할 것을 제안한다. 우리의 신체 경험을 변형시키는 것이다.
지금 이 시대는 우리에게 ‘포털’이 되라고 요구한다. 덜 폭력적이고, 덜 착취적이며, 덜 두려움에 사로잡힌 방식으로 존재하고 세계와 관계 맺는 다른 길들을 허용해야 한다. 이 작업은 몸을 느끼고 생각하는 방식을 바꾸고, 낡은 근대/식민 패러다임을 벗어던지기 위한 실천이다. 그러한 패러다임은 오늘날 사회·환경적 위기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 작품은 단지 하나의 실천에 불과하다. 공간과 함께, 타인과 함께 감각을 탐구하며, 식민적 시간성을 해체하고, 지금 여기에 존재하며, 손으로 듣는 실천이다. 나는 이 경험이 즐겁기를, 당신이 과감히 탐험해보기를 바란다. 우리가 함께 포털이 되기를 바란다.
크레딧: 사운드는 스위스 아티스트 Christian Mueller가 내 작업을 위한 ‘워밍업’으로 제작한 것이다. 내 목소리와 소리는 칠레 아티스트 Marcelo Daza가 믹싱했으며, 지난 10여 년간 수많은 학생들과 워크숍 참여자들과의 교육적 상황 속에서 다듬어졌다.
소개: Amanda Piña는 비엔나와 멕시코시티를 오가며 활동하는 칠레-멕시코-오스트리아 기반 아티스트다. 그녀의 안무 작업은 코스모폴리틱스를 중심으로 하며, 공연, 음악, 영상, 조형작업 등을 포함해 극장과 미술관을 넘어 다양한 맥락에서 존재한다. 안무·퍼포먼스·무용 리서치를 넘나드는 다면적 활동을 통해 창작, 큐레이션, 대학 및 예술 교육 현장에서의 교수 활동, 그리고 그녀가 ‘위기에 처한 인간 움직임 실천(Endangered Human Movement Practices)’이라 명명한 주제를 다룬 저술과 출판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그녀의 작업은 토착적 지식과 세계 구성/유지의 실천에 기반하며, 빈 탄츠콰르티어, 빈 쿤스트할레, MUMOK 현대미술관, 앤트워프 드싱헬, 파리 까르띠에 현대미술재단, 멕시코 초포 대학 미술관, 산티아고 GAM 등 전 세계 주요 극장, 갤러리, 미술관, 문화 기관에서 발표되었다. 2024년에는 베를린 자유대학교에서 발레스카 게르트 안무 석좌를 수상했다.
Name: Amanda Piña (Chile/México/Austria)
Program note: This is a practice, a guided trip, an experiment in the decolonization of the senses. It works through sound on how touch and attention can transform the way we feel, think and be. On how the senses can be used otherwise and what this does to our perception. In my work I often do guided practices that aim at transforming the way we think, understand and feel our bodies. There is so much to transform today, as we realize that we won’t be able to repair our house, the earth, with the same tools that brought about its destruction. I propose to start with the body, to transform our bodily experience. These times invite us to be portals, to allow other ways of being to arise, other ways of relating with the world to manifest, less violent, less extractive, less fearful. This is practice to transform the way we think-feel our bodies, to unlearn outdated modern/colonial paradigms that are causing this socioenvironmental crisis. This piece is just a practice, to do with the space and with others, to explore the senses, to undo colonial temporalities, to listen, to be present, to listen with the hands. I hope you have a good time; I hope you go for it and dare exploring I hope we can become portals together.
Credits: The sound is called “warm up”, and was created by Swiss artist Christian Mueller as a warm up for my work. My voice and the sound were mixed by Chilean artist Marcelo Daza, and perfected through many different teaching situations with many students and workshop participants in the last ten years.
Bio: Amanda Piña is a Chilean-Mexican-Austrian based artist living between Vienna and Mexico City. Her choreographic work is concerned with cosmopolitics, including performance, music, video and sculptural works that exist in the context of the theater, the museum and beyond. Piña is a multifaceted artist working through choreographic, performance and dance research, creating, curating and teaching within university and artistic educational frameworks, writing and editing publications around what she refers to as “endangered human movement practices”. Her work is grounded in indigenous forms of knowledge and world making/maintaining practices. Her work has been presented, in theatres, galleries, museums and cultural centers around the world, such as Tanz Quartier Wien, Kunsthalle Wien, MUMOK Museum of Modern Art Vienna, deSingel Arts Campus Antwerp, Fondation Cartier pour l’Art Contemporain Paris, Museo Universitario del Chopo, México and GAM, Santiago de Chile among others. In 2024 she was awarded the Valesca Gert Chair of Choreography at the Free University Berl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