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unge 3

CONCERTINO for the Stari Most
이름/팀명: 유코 카토리 보게 (Yuko Katori Voguet)
작품설명: 나는 보스니아의 올드 브리지(스타리 모스트)에 대해 많은 것을 알지 못했다. 그러나 2025년 초, 영국 단체인 Cities and Memories가 내가 참여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그곳에서 녹음한 현장음을 보내주었고, 다리의 역사는 곧바로 나에게 큰 호기심을 불러일으켰다. 나는 현장음과 함께 나의 합성음을 재료로 삼아 20분 길이의 작품을 완성하였다. 이 곡은 그 다리에 봉인된 복잡한 감정을 환기시키기를 바란다. 본 작품은 아쿠스마틱 32채널(멀티채널) 작품이며, 제출된 파일은 스테레오 축약본이다. 작품의 제목 <CONCERTINO>는 이미 세상을 떠난 나의 작곡 스승 스에요시 야스오의 작품에서 빌려왔다.

소개: 유코 카토리 보게는 일본 도쿄 출신으로 도호 음악학교(TOHO Gakuen School of Music, 학사)와 런던의 길드홀 음악연극학교(Guildhall School of Music and Drama, 석사)에서 작곡을 전공하였다. 그녀는 스에요시 야스오, 마미야 미치오, 다이애나 버렐, 페테르 에외트뵈시 등에게 사사하였다. 2006년부터 2009년까지 런던 로열 오페라 하우스의 OperaGenesis 프로그램에 창작팀으로 참여하여 두 편의 음악극을 개발했으며, 2009년 로열 발레단 신작 프로그램에 위촉되어 린버리 스튜디오 극장에서 작품을 선보였다. 2013년에는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오페라 작곡 마스터클래스에 참가하였다. 2014년 이후에는 장 보게(Jean Voguet)와 함께 CRANE 연구소에서 아쿠스마틱 음악 창작에 전념하고 있다.

Name: Yuko Katori Voguet
Program note: I did not know much about the Old Bridge in Bosnia. Early 2025, however, the UK organisation Cities and Memories gave me a field recording of the place due to my participation to one of their projects. The bridge was an obvious intrigue as it contains rich history of the region. I created materials from the field recording in addition to other synthetic sounds of mine, and used them fully in this 20 mins piece. Hopefully, it can evoke complexities of emotions sealed in that particular bridge. This is an acousmatic 32 (multichannel) composition, so the submission file is a stereo reduction. I have borrowed the tiltle CONCERTINO from the work of my late composition professor, Yasuo Sueyoshi, who is no longer with us.

Bio: She studied composition at TOHO Gakuen school of Music (BMus) at her native Tokyo, Japan, and at Guildhall School of Music and Drama (MMus) in London, UK. Her composition teachers include Y. Sueyoshi, M. Mamiya, Diana Burrell & Peter Eotvos. She was one of the creative teams in residence at OperaGenesis, Royal Opera House in London, UK from 2006 to 2009, where she developed two Theatre pieces. She was also commissioned for the Royal Ballet’s new works programme, held at the Linbury Studio Theatre, ROH (2009). In 2013, she was accepted to participate in a masterclass for opera composition held in Budapest. 

Since 2014, she has been concentrating on the creation of acousmatic music at CRANE lab with Jean Voguet.


Cockney
이름/팀명: 바이올렛 프란시스 카토 (Violet Frances Cato)
작품설명: 이 작품은 두 개의 소리 세계에서 출발한다. 하나는 런던 동부 도크 지역을 따라 이어지는 상상의 강 순찰이고, 다른 하나는 가사 노동의 거친 충돌음이다. <Cockney>는 산업적 기억과 친밀한 폭력을 엮어내며, 금속성의 질감과 습한 공기가 섬유가 흔들리며 터져 나오는 소리와 맞부딪힌다. 강은 귀 기울이고, 카펫은 반격한다.

작품은 추상적이고 금속성의 변화무쌍한 템즈강의 소리로 시작하여 직물에서 먼지를 털어내는 박동으로 이어진다. 이어지는 부분에서는 녹음된 소리들이 늘어나고, 부서지고, 겹쳐지면서 몸짓과 지리의 경계가 흐려진다.

여기에는 목소리도, 말도 없지만, 동부 런던의 동네 특유의 억양은 리듬, 질감, 음압 속에 살아 숨쉰다. <Cockney>는 언어가 아닌 힘과 잔여물을 통해 장소를 소환하며, 질감과 소음 속에 각인된 문화를 드러낸다. 기억과 발명 사이를 오가며, 언제나 움직인다.

소개: 바이올렛 프란시스 카토는 런던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아티스트로, 드로잉, 모노프린트, 비디오, 사운드를 통해 취약성, 기억, 그리고 신체를 탐구한다.

Name: Violet Frances Cato
Program note: Composed from two sonic worlds—an imagined river patrol along the East London docks and the raw thud of domestic labour—Cockney brings together industrial memory and intimate violence. Metallic textures and wet air meet the crack and rasp of shaken fibres. A river listens; a carpet fights back.

The piece begins with the sounds of the Thames—abstracted, metallic, shifting—and moves into the beat of dust shaken from woven fabric. What follows is a collision and a merging: recordings stretched, fractured, and layered until the lines between gesture and geography blur. 

There is no voice here—no spoken accent—but the East End resonates in the rhythm, the grain, the pressure of sound. Cockney conjures place not through language, but through force and residue, a culture embedded in texture and noise. 

Part memory, part invention. Always moving.
Bio: Violet Frances Cato is a London-based artist exploring vulnerability, memory, and the body through drawing, monoprint, video and sound.


Ahuexote
이름/팀명: 호르헤 마르티네스 발데라마 
작품설명: <Ahuexote>는 Cities and Memory – remixing the world, one sound at a time 프로젝트의 위촉으로 제작된 아쿠스마틱 작품이다. 이 작품은 멕시코 소치밀코(Xochimilco)의 수로에서 들려오는 소리를 탐구한다. 트라히네라(trajinera)의 노 젓는 소리, 나무의 숨결, 생태계의 심장박동이 겹쳐지며, 그 고요한 수면 위에는 소치밀코의 고대적 맥박이 울린다. 이곳의 운하는 땅의 동맥처럼 흐르며, 아홀로틀(axolotl)의 속삭임과 꽃들의 침묵의 기억을 간직한다.

사운드스케이프는 각각의 음색적, 시간적 궤적을 지닌 개별 음향 요소들로 분해된다. 나우아(Nahua)족의 신성한 나무이자 물가의 거주자인 아우에호테(Ahuexote)처럼, 작품은 그 영적 해부학과 영토적 울림을 환기시키는 음향적 차원으로 펼쳐진다.

— 물을 듣고 변형하는 나무, — 노처럼 팔을 저으며 걷는 나무, — 바람을 따라 숨 쉬는 나무, — 바람 위로 수놓아지는 새들의 소리.

이 작품은 스펙트럴 프로세스를 통해 제작되었으며, 사운드스케이프를 음색, 음조, 잡음의 요소로 분해하여 시간, 피치, 공간적 역동성 속에서 변형시켰다. 이는 재합성되고 변형된 소리들과 공존하며, 자연의 풍경을 예상치 못한 새로운 풍경으로 바꾸어낸다.

청취는 육체적 경험으로 전환되고, 육체성은 수중의 파종으로 확장된다. <Ahuexote>는 풍경의 진동하는 기억을 구현하며, 우리로 하여금 그것을 거주하도록 초대한다. 그것은 양서적이고, 식물적이며, 살아 있는 진동이다.

소개: 호르헤 마르티네스 발데라마는 사운드 아카이브와 현장 녹음을 활용하여 몰입적 행위와 방법론, 집단적 참여, 협력적 창작을 통해 작업한다. 그의 예술적 관심은 다양한 맥락과 생태계에서의 소리의 함의를 탐구하고, 집단 창작과 사운드-환경적 실천을 반영하는 데 있다.

그는 아쿠스마틱 및 전자음악 작품, 집단적 즉흥 연주, 사운드 개입을 개발했으며, 페루, 포르투갈, 영국박물관, 오스트리아 등지에서 아티스트 레지던시를 진행했다. 그의 작품은 Ecos Urbanos Festival, 영국 런던 UK Mexican Art Gallery, 린츠의 Ars Electronica, 일본 Audio Rocket, 콜롬비아 Transversal Sonora, 미주리 MOXSonic, 투손의 Turn Up, 볼리비아 Sur Aural, 맨체스터 Mantis, 마드리드 In Sonora 등 주요 국제 페스티벌과 갤러리, 포럼에서 발표되었다. 음악가로서의 훈련을 바탕으로 무용, 영화, 연극, 멀티미디어, 설치, 트랜스미디어 프로젝트를 위한 작곡가, 음악 감독, 사운드 디자이너로도 활동해왔다.
Name: Jorge Martínez Valderrama
Program note: Ahuexote is an acousmatic work, commissioned by the “Cities and Memory - remixing the world, one sound at a time” project. The piece explores the sounds of the waterways of Xochimilco (Mexico), the oar of the trajinera, the breathing of the tree, and the heartbeat of the ecosystem. In the still mirror of its waters, an ancestral pulse beats in Xochimilco: its canals are the arteries of this land, where axolotls murmur and the liquid, silent memory of flowers is preserved. 

The soundscape is disassembled into distinct acoustic components, each projecting its own timbral and temporal trajectory. Like the ahuexote, a sacred tree of the Nahua people and a natural inhabitant of water bodies, the work unfolds sonic dimensions that evoke its spiritual anatomy and, also, its territorial resonance: 

— The tree that hears and mutates water, — the one that walks with its arm like an oar, — the one that breathes downwind, — and the filigree of birds upwind. 

The work was created through various spectral processes, dismantling the soundscape into timbral, tonal, and noise components. Each of these elements has been altered in time, pitch, and dynamic spatiality, coexisting with re-synthesized and transfigured sounds, gradually transforming a natural landscape into an unexpected new one. 

Listening is transmuted into corporeal experience, and corporality into aquatic sowing. Ahuexote embodies the vibratory memory of the landscape and invites us to inhabit it: an amphibious, vegetal, and living vibration.

Bio: His work focuses on the use of sound archives and field recordings obtained through immersive actions and methodologies, collective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ve creation. His artistic interest focuses on listening and reflecting on the implications of sound in different contexts and ecosystems, collective creation and sound-environmental activism. 

He has developed acousmatic, electroacoustic works, collective improvisations, and sound interventions through artist residencies in Peru, Portugal, the British Museum, and Austria, as well as in socio-environmental projects. His compositions have been presented at major international festivals, galleries, and forums, including the Ecos Urbanos Festival, the UK Mexican Art Gallery (London), Ars Electronica (Linz), Audio Rocket (Japan), Transversal Sonora (Colombia), MOXSonic (Missouri), Turn Up (Tucson), Sur Aural (Bolivia), Mantis (Manchester), and In Sonora (Madrid), among others. Trained as a musician, he has also worked as a composer, music supervisor, and sound designer for dance, film, theater, multimedia, installation, and transmedia projects.


Where the Bees Buzz
이름/팀명: 숀 핀치벡 (Shawn Pinchbeck)
작품설명: <Where the Bees Buzz>는 사운드스케이프와 전자음향 음악 시리즈의 두 번째 작품으로, 2020년 캐나다 앨버타주 북서부 피스 지역(Peace Region)에서 채집한 앰비소닉 현장 녹음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작곡가는 그랑프레리(Grande Prairie) 시를 중심으로 동서남북 150km에 걸쳐 이동하며 흥미로운 장소에서 녹음을 진행하였다. 본 작품은 앨버타주 굿페어(Goodfare)에서 수집한 특정 현장 녹음들을 중심으로, 그 소리들에서 영감을 받은 전자음악적 요소와 함께 구성된다. 제목은 피스 지역이 캐나다에서 주요 꿀 생산지 중 하나라는 사실에서 비롯되었다.

소개: 숀 핀치벡은 캐나다 앨버타주 에드먼턴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전자음향 음악 작곡가, 미디어 아티스트, 오디오 엔지니어, 퍼포머, 기획자, 교육자다. 다수의 국제적인 상을 수상한 그는 사운드스케이프와 전자음악을 넘나드는 작품 활동을 이어오고 있으며, 창작과 연구, 교육을 통해 전자음악 분야에서 폭넓은 활동을 하고 있다.

Sound Artist: Shawn Pinchbeck
Program note: Where the Bees Buzz is the second part of a series of soundscape and electroacoustic music works based on ambisonic field recordings I collected at many locations in the Peace Region of northwestern Alberta, Canada in 2020. I travelled up to 150 km the four directions away from the city of Grande Prairie, stopping at interesting locations along the way. Where the Bees Buzz features select field recordings from Goodfare, Alberta with electroacoustic music accompaniments inspired by those recordings. The title refers to the fact that the Peace Region is a primary honey production region in Canada.

Bio: Shawn Pinchbeck is an award winning Edmonton, Alberta, Canada based electroacoustic music composer, media artist, audio engineer, performer, curator and educator.


Water-drought patterns
이름/팀명: 엘레니-이라 파누르기아 
작품설명: <Water-drought patterns>는 가뭄으로 고통받는 수생 환경의 이야기를 다루는 작품이다. 실제 장소와 그 미래의 조건 사이의 전환이 유기체와 물질의 소리를 통해 허구적 차원으로 탐구된다. 처리된 공기 중, 수중, 그리고 표면 진동은 힘, 흐름, 경쟁하는 요소들을 드러내며, 공간 속에서 다층적인 청취 관점을 가능하게 한다. 미세한 사건과 질감들은 식물과 동물이 가뭄에 반응하는 방식—적응, 투쟁, 달라진 행동—을 전달한다. 청취자는 여러 시간적·공간적 규모와 시나리오를 가로지르며 이 과정을 경험한다.

소개: 엘레니-이라 파누르기아는 사운드 및 시각 예술가이자 연구자다. 그녀의 작업은 사운드, 오브제, 공간, 환경을 결합하여 새로운 표현 방식과 창의적 방법론을 개발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러한 복합적 형태가 예술, 디자인, 사회, 생태학적 과정 속에서 지니는 잠재성을 탐구한다. 그녀의 작업은 전 세계의 박물관, 갤러리, 페스티벌, 전시, 라디오 프로그램, 학술 저널, 학술서적, 컨퍼런스 등에서 소개되었다. 파누르기아는 오나시스 재단 장학생으로 영국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학술지 「Airea: Arts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의 공동 창립자이자 편집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프랑스 구스타브 에펠 대학교에서 강의 및 연구 펠로우로 재직 중이다.
Name: Eleni-Ira Panourgia
Program note: Water-drought patterns tells the story of an aquatic environment suffering drought. Transitions between real places and their future condition are explored through the fictional dimensions of sounds of organisms and matter. Processed airborne, underwater and surface vibrations express forces, flows and competing elements and reveal multiple listening perspectives in space. Micro events and textures transmit plant and animal reactions to drought; adapting, struggling, behaving differently. Listeners navigate across multiple temporal and spatial scales and scenarios.

Bio: Eleni-Ira Panourgia is a sound and visual artist, and researcher. Her work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new forms of expression and creative methods that combine sound, objects, spaces and environments. She explores the potential of such complex morphologies within artistic, design, social and ecological processes. Eleni-Ira’s work has been presented internationally in museums, galleries, festivals, exhibitions, radio shows, academic journals, edited volumes and conferences. Eleni-Ira completed a PhD in Art at the University of Edinburgh as a Scholar of the Onassis Foundation. She is co-founder and managing editor of the journal Airea: Arts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Eleni-Ira is currently a Teaching and Research Fellow at Gustave Eiffel University.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