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unge 2

Hyperfield
이름/팀명: 한이삭
작품설명: <하이퍼필드> 는 현실의 소리와 상상의 소리가 겹쳐지는 청각적 실험이다. 작가는 2021년 여름 서울과 양평을 오가며 수집한 필드 레코딩을 기반으로, 그 안에 잠재된 리듬과 구조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스페큘러티브 사 운드 합성(speculative sound synthesis)을 수행한다. 이로써 현실의 소리는 새로운 가능성의 형태로 재구성되고, 청자는 존재하지 않는 세계의 감각을 사운드를 통해 경험하게 된다. 
듣는다는 것은 지각되지 않는 것을 향해 귀를 여는 행위 이며, <하이퍼필드>는 바로 그 지각의 경계를 탐색하는 시도다. 작품 속에서 필드 레코딩과 합성 사운드는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다. 두 층위는 서로를 반사하고 교란하며, 실재와 가상, 자연과 인공, 감각과 상상의 경계를 흐린다. 결과적으로 이 작업은 단일한 장소의 재현이 아닌, 다차 원적인 청각적 지형을 구성한다.

*스페큘러티브 사운드 합성 = “실제 소리의 물리적 원인이나 재현을 넘어서, 상상된 환경·미래·비현실적 가능성을 탐구하는 합성 접근”

-

이 작업은 내가 경험한 장소와 공간의 소리, 그리고 그 소리를 통해 떠오른 존재하지 않는 감각의 가능성에서 출발 했다. 필드 레코딩은 언제나 내가 외부 세계와 연결되는 가장 직접적인 방식이었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 았다. 기록된 소리는 언제나 무언가를 놓치고 있었고, 나는 그 비가청(inaudible)의 영역을 재구성하고 확장해 보는 방식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하이퍼필드>는 그런 맥락에서, 실제 환경에서 포착된 사운드를 기반으로 하되, 그것을 스페큘러티브 사운드 합 성의 방식으로 재구성한 작업이다. 이 과정에서 나는 현실의 소리를 재현하기보다는, 그 내부에 숨겨진 패턴과 시 간성, 구조적 리듬을 분석하고 상상했다. 그로부터 만들어진 합성 사운드는 실제와 허구의 경계에 놓이며, 하나의 복합적인 청각 지형을 구성한다. 
나는 ‘듣다는 것’이 단순한 감각이 아니라 지각되지 않은 세계를 열어내는 행위라고 생각한다. 이 작업을 통해 청 각이 공간을 재구성하는 방식에 대해 실험하고 싶었다. 우리가 듣는 것, 듣지 못하는 것, 듣기를 통해 상상하게 되 는 것들 사이의 긴장을 사운드로 탐색한다. 
<하이퍼필드>는 어떠한 장소를 다루지만, 그것은 더 이상 고정된 현실이 아니다. 이곳은 필드 레코딩과 합성 사운 드가 겹쳐지고 교차하며, 감각적 경계와 인식의 조건이 유동적으로 흔들리는 공간이다. 나는 이 사운드의 지형 속 에서, 청자가 스스로 새로운 청취자의 위치를 찾아가길 바란다.

소개: 한이삭은 베를린과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사운드 아티스트이자 실험적인 음악가이며, 디지털 악기 발명가로 서 사운드 실험의 한계를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가고 있다. 그는 예측 불가능한 결과를 만들어내는 알고리즘을 기 반한 작곡 시스템을 개발하며, 종교적이고 역사주의적 감성 표현을 넘어 추상적이고 개인적인 사운드의 영역을 탐 구한다. 

한이삭의 작품은 사운드를 통해 신체적 방향 감각의 상실과 강렬한 음향 현상의 증폭이라는 주제를 집중적으로 다 룬다. 이를 통해 청취자들은 자신과 주변 환경의 경계가 흐려지는 고양된 인식 상태로 초대되며, 새로운 감각 경험 을 체험하게 된다. 최근 그의 작업은 필드 레코딩과 디지털 합성을 융합하여, 현실과 허구의 경계를 허무는 다층적 청각 공간을 구축한다. 이를 통해 한이삭은 청각적 지각을 확장하고, 소리라는 매체를 통해 존재와 인식에 관한 근본적 질문을 제기한다. 

Name: Isak Han
Program note: Hyperfield is an auditory experiment where the sounds of reality overlap with those of imagination. Based on field recordings collected between Seoul and Yangpyeong in the summer of 2021, the artist analyzes the latent rhythms and structures within them and performs speculative sound synthesis. In this process, the recorded sounds are reconstructed into new forms of possibility, inviting the listener to experience a sensorial world that does not exist. 

Listening is understood here as an act of opening the ears toward the inaudible. Hyperfield is an attempt to explore the very threshold of such perception. Within the work, field recordings and synthesized sounds are not clearly distinguishable; the two layers reflect and disturb one another, blurring the boundaries between the real and the virtual, the natural and the artificial, the sensory and the imaginary. Ultimately, the piece does not reproduce a single place but instead creates a multidimensional auditory topography.

* Speculative sound synthesis = “an approach to synthesis that moves beyond the physical causes or representational reproduction of sound, toward exploring imagined environments, futures, and unreal possibilities.”

-

This work began with the sounds of the places I experienced, and with the sense of unreal possibilities that emerged through those sounds. Field recording has always been my most direct way of connecting with the external world, yet it never felt sufficient. Recorded sound always seemed to miss something, and I became drawn to the idea of reconstructing and expanding the inaudible realm. 

In this sense, Hyperfield takes its starting point from sounds captured in real environments, which are then re-imagined through speculative sound synthesis. Rather than reproducing reality, I sought to analyze and imagine the patterns, temporalities, and structural rhythms embedded within it. The resulting synthesized sounds occupy the threshold between actuality and fiction, forming a composite auditory landscape. 

I regard listening not as a passive sense but as an act of opening onto an unperceived world. Through this work, I wanted to experiment with the ways in which listening can reconfigure space, and to explore the tensions between what we hear, what we cannot hear, and what we imagine through listening. 

Hyperfield addresses a certain place, but it is no longer a fixed reality. Here, field recordings and synthesized sounds overlap and intersect, shifting perceptual boundaries and conditions of awareness. Within this sonic terrain, I hope that each listener will find their own new position of listening.

Bio: Isak Han is a sound artist, experimental musician, and digital instrument inventor based between Berlin and Seoul. His practice continuously pushes the boundaries of sonic experimentation. He develops algorithmic composition systems that generate unpredictable outcomes, and explores an abstract and personal sonic realm beyond religious or historicist expressions. Han’s works often focus on themes such as the loss of bodily orientation and the amplification of intense sonic phenomena. Through this, his practice invites listeners into heightened states of perception, where the boundaries between self and environment begin to blur. More recently, his works have merged field recordings with digital synthesis, constructing multi-layered auditory spaces that dissolve the line between reality and fiction. In doing so, he expands auditory perception and poses fundamental questions of existence and awareness through the medium of sound.


Weaving
이름/팀명: 에이단 디어리 (Aidan Deery) 
작품설명: 「Weaving」은 파편, 기억, 소음, 잊혀진 전통, 잠시의 안식, 그리고 (거의) 피할 수 없는 도시의 윙윙거림을 탐색한다. 

소개: 에이단 디어리는 벨파스트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작곡가이자 사운드 아티스트다. 그는 사운드스케이프와 청취의 실천을 탐구하며, 소리 환경이 지닌 소통적 잠재력에 주목한다.
Name: Aidan Deery
Program note: Weaving navigates fragments, memories, noise, lost traditions, brief moments of respite, and the (almost) inescapable hum of the city.

Bio: Aidan Deery is a Belfast-based composer and sound artist who explores soundscapes, the practice of listening, and is motivated by the communicative potential of the sonic environment.


IT SPEAKS
이름/팀명: 헬미 유스론 (Helmi Yusron) 
작품설명: 「IT SPEAKS」는 칼리바타 풀로와 이스탄불에서의 하이드로폰 및 현장 녹음을 바탕으로 한 스테레오 오디오 작품이다. 물을 독자적 존재와 행위 주체로 다루며, 그 흐름 속에서 발생하는 맥동과 글리치를 추적한다. 인간에 의해 생성된 소리는 희미한 층위로 나타나 유기적·기계적·생명적 경계들을 흐린다.

소개: 헬미 유스론(2001년생)은 자카르타 샤리프 히다야툴라 주립 이슬람대학교에서 이슬람 역사와 문명을 전공했다. 2023년에는 포룸 렌텡(Forum Lenteng)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 중 하나인 밀리시필렘 콜렉티브(Milisifilem Collective)에서 수학했으며, 현재는 사운드 매체를 통한 예술 작업 플랫폼 시지소라(Sigisora)에 집중하고 있다.

2022년부터 단편영화를 제작했으며, 고등학교와 대학 친구들과 함께 드라마 영화 「Ketoprak Jepang」(2003), 다큐멘터리 「KUDA」(2023)를 만들었다. 2023년 밀리시필렘에서 오디오비주얼 작업의 이론과 실기를 심화 연구했고, 같은 해 단편영화 「Kulihat Kau Lihat Dia」(I Watch You Watch Them)를 발표하여 자카르타 국제 다큐멘터리 및 실험영화제(Arkipel Noli Me Tangere)에서 초연된 후 반둥 RWD 페스티벌(2024)에서도 상영되었다. 2024년에는 시기소라(Sigisora) 소속으로 롬복 북부의 방살 멩가웨 페스티벌(Festival Bangsal Menggawe)과 술라웨시 중부 팔루에서 열린 신타스 로카 페스티벌(Festival Sintas Loka)에 레지던시 작가로 참여했다. 

현재는 브리티시 아카데미가 지원하는 프로젝트 「미래의 청취: 두 도시의 물 지식(Futures of Listening: Water Knowledge from Two Cities, 자카르타와 이스탄불)」의 공동 연구자이자 아티스트로 활동 중이다. 2025년에는 신작 단편영화 「A Saucerful of Secrets」를 발표하여 팔루시에서 열린 텡가 페스티벌 영화제에서 상영했다.

Name: Helmi Yusron
Program note: A stereo audio composition based on hydrophone and field recordings in Kalibata Pulo and Istanbul. Addressing water as an entity with its own existence and agency, the work traces the pulses and glitches that emerge from its flow. Anthroponic sounds appear as faint layers, blurring the boundaries between the organic, mechanical and living.

Bio: Helmi Yusron (born 2001) is a graduated student of Islamic History and Civilization at Syarif Hidayatullah State Islamic University Jakarta. In 2023 he studied at Milisifilem Collective, one of the programs run by Forum Lenteng, and is currently focusing on the Sigisora platform, a platform about artwork through sound medium initiated by Forum Lenteng. 

Since 2022, Helmi Yusron has made short films with his high school and college friends, the drama film “Ketoprak Jepang” (2003) and the documentary film “KUDA” (2023). In 2023 he studied in depth at Milisifilem about audio-visual work in theory and practice. In October 2023 he released a short film with Milisifilem entitled “Kulihat Kau Lihat Dia”(I Watch You Watch Them), premiered at the Arkipel Noli Me Tangere - Jakarta International Documentary & Experimental Film Festival in Jakarta, Indonesia (2023), then screened in RWD Festival Bandung (2024). In 2024, he also did an artist Residency as Sigisora in Festival Bangsal Menggawe, North Lombok, and residency as Sigisora in Festival Sintas Loka, Palu, Central Sulawesi. Now, he is a co-researcher and artist in Futures of Listening: Water Knowledge from Two Cities (Jakarta and Istanbul), project funded by British Academy. Now, just released a new short film titled “A Saucerful of Secrets” (2025) premiered at Festival Film Tengah, Palu city, Central Sulawesi.


Paestum Revolution
이름/팀명: 사운아이 (sounI) 
작품설명: 「Paestum Revolution」은 이탈리아 캄파니아 지방의 도시 파에스툼에서 녹음된 현장음을 담은 작품이다. 일부는 작곡가의 타스캄(Tascam) 녹음기로 녹음된 그대로의 소리를 사용하였으며, 일부는 전자음악적 기법을 활용하여 보다 환기적인 효과를 불러일으키도록 변형하였다. 작품은 인트로를 포함하여 총 다섯 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며, 해변, 바닷속, 마을 축제, 폭풍우의 소리를 차례로 담아낸다.

소개: 사운아이(28)는 나폴리 출신의 작곡가이자 음악가로, 현재 나폴리 음악원에서 전자음악 작곡을 전공하고 있다. 그는 기타리스트와 베이시스트로서 나폴리와 라치오 지방의 여러 공연장에서 활동해 왔다. 또한 아쿠스마틱 음악을 중심으로 작품을 발표하고 있으며, 향후 출판될 작업들도 준비 중이다.
Name: sounI
Program note: The work contains file recordings recorded in Paestum, a city in the Campania region of Italy. Part of the work has audio tracks as they were recorded by my Tascam, while parts have been manipulated with electroacoustic music techniques to make the piece more evocative. The piece is composed of four parts plus an intro: the beach, the seabed, the village festival, and the storm.

Bio: sounI(28) is a composer and musician from Naples, currently studying electronic music composition at the Conservatory of Naples. He has performed at various venues across the provinces of Naples and Lazio, and is active both as a guitarist and bassist. His work includes acousmatic music releases, with further publications forthcoming.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