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unge 1
Solitary Venice
이름/팀명: 실뱅 수클라예 (Sylvain Souklaye)
작품설명: 「Solitary Venice」는 내가 베네치아에서 수행한 PUBLIC RESEARCH의 사운드적 결론이다. PUBLIC RESEARCH는 공적 공간, 특히 자본주의라는 말해지지 않은 언어를 통해 얽혀 있는 관광객과 현지인의 관계를 탐구하는 작업이었다. 「Solitary Venice」는 새벽 4시의 베네치아를 표현한다. 관광객도, 현지인도 없는 도시의 공허함, 바다의 집요한 폭력성, 고장 난 티켓 기계, 그리고 인내심 많은 갈매기들만이 남아 있는 시간이다.
소개: 실뱅 수클라예는 프랑스 카리브 출신으로 브루클린에 거주하며 활동하는 라이브 아티스트, 사운드 메이커, 그리고 작가다. 그의 작업과 사명은 정체성의 문제를 넘어, 부서진 신체의 내면, 환경적 긴급 사안, 정치적 응징 속에 잠재된 감수성과 역사에 뿌리를 둔다.
그는 예술적 여정을 DIY 사회 정의, 즉 스스로 “반달리즘”이라 부른 방식에서 시작했다. 그것은 정의와 자기 지정(self-designation)을 위한 필연적 파괴였다. 그의 고향 리옹은 카뉘(Canut) 반란의 유산을 품고 있으며, 마르티니크의 네그 마롱(Nèg Marron, 자유와 저항 운동) 기원과 결합해 하나의 완벽한 칵테일, 즉 화염병 같은 예술적 태도를 만들어냈다. 이후 그는 행동 시(poésie-action)를 쓰기 시작했고, 그것을 변화무쌍한 정치적·시각적 사건들과 엮어냈다. 때로는 극단적이고, 종종 경계를 넘나드는 그의 메시지는 프랑스, 스위스, 벨기에 전역을 돌며 ‘내장에서 내장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프랑스의 저명한 독립 라디오 방송국 RCT에서 진행한 장기 라이브 라디오 쇼 동안 그는 자신만의 독특한 서정적이면서도 뼈아픈 라이브 경험의 기반을 다져나갔다.
그의 내적 탐구는 글쓰기 — 밤의 이중성을 탐구한 『le jour du fleau』, 슬픔을 깊게 파고드는 『Solus』 — 와 소음과 그 소닉 언어학에 대한 집착으로 확장되었다. 도시의 소음, 그리고 도시 내부에서 들려오는 소음은 그의 입자 합성(granular synthesis) 접근 방식을 형성했다. 이러한 날것의 언어와 강렬한 사운드는 그의 라이브 경험과 설치작업의 조건을 만들어냈다.
수클라예의 작업의 중심은 내면성이다. 집단적 친밀감과 후생유전학적 대화(epigenetic dialogues)는 그가 탐구하고 청중을 초대하는 내적 공간이다. 그의 라이브 경험에서 모든 영혼은 그 일부이며, 관객은 능동적이거나 수동적인 구분이 없다. 오직 ‘활성화되기를 원하는 자들’만 존재한다. 그의 공연은 자기중심적이면서도 집단적인 라이브 경험으로, 그의 내면과 우리의 내면에 남아 있는 것을 드러낸다.
Name: Sylvain Souklaye
Program note: "Solitary Venice" is the sonic conclusion of the PUBLIC RESEARCH I conducted in Venice. The PUBLIC RESEARCH was and is still about public space, espec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ts and locals existing via capitalism as an untold language. "Solitary Venice" is an expression of Venice at 4 am without tourists, without locals, just the city's emptiness, the nagging brutality of the sea, a dysfunctional ticket machine, and patient seagulls.
Bio: Sylvain Souklaye is a French Caribbean Brooklyn-based live artist, sonic maker and author. His craft and mission go beyond and deeper than the question of identity. Following the idea of the rhizome, Souklaye digs in the sensitivity and history laying in the interiority of broken bodies, environmental urgencies and political retribution.
Souklaye started his artistic journey focusing on DIY social justice, or vandalism as he called it, and defined it as the necessary destruction for justice and self-designation. Lyon, his hometown, carries the Canut revolts heritage and merges with his Neg marron origin from Martinique (freedom and rebellion movement), to obtain a perfect cocktail, a cocktail molotov.
Souklaye then began to write action poetry and interwove it with protean political and visual happenings —sometimes extreme, often borderline, his messages traveled from guts to guts across all corners of France, Switzerland and Belgium. But it is during his durational live radio show at the renowned French independent radio station RCT that he started to craft what would become his uniquely lyrical and gut-wrenching live experiences.
This inner quest took other forms with his writings — le jour du fleau which explores the duality of the night and Solus which cuts deep into grief — and his obsession with noise and its sonic linguistics. The noise from and inside the city shaped his approach to granular synthesis. Those raw words and intense sounds created the condition for his live experiences and installations.
Interiority is at the center of Souklaye's body of work; collective intimacy and epigenetic dialogues are the inner spaces where he spends time exploring and inviting the audience (in)to. Each living soul is a part of his live experiences, and there are no active or passive members of the audience, only those who want to be activated. His shows are self-centered yet collective live experiences that reveal what is left inside him and us.
Electropoem No.12
이름/팀명: 알리 발리기 (Ali Balighi)
작품설명: 「Electropoem No.12」는 공간적 사운드와 시적 구조의 관계를 탐구하는 연작의 일부다. 이 작품은 NASA 퍼서비어런스(Perseverance) 로버가 화성에서 채집한 필터링되지 않은 현장 녹음을 사용한다. 화성 표면과의 기계적 상호작용, 여과된 대기 질감이 담겨 있으며, 이를 통해 ‘낯선 음향학’과 대기적 특성을 음악적 표현으로 확장한다. 작품은 옥타브를 7등분하는 ED2-07 음률 체계를 바탕으로 작곡되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형태의 음악적 감각을 불러일으킨다.
소개: 알리 발리기는 작곡가, 사운드 디자이너, 사운드 엔지니어다. 그는 이란 테헤란 출신으로, 2011년 테헤란 예술대학교에서 음악 연주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작곡에 대한 열정으로 텍사스 공과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마쳤으며, 현재 같은 학교에서 작곡 박사(DMA) 과정을 밟고 있다.
그의 학문적 관심사는 음악 기술,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현대 음악 분석, 음악 이론 등과 맞닿아 있다. 발리기는 사운드 엔지니어, 음악 녹음 조교, 작곡 및 음악 이론 강사, 첼로 지도자로서 다양한 교육 경험을 쌓아왔다.
발리기는 출판과 수상 실적에서도 두각을 나타냈다. 시집으로는 『My Loneliness Is A Hippo That Loves You』, 『The Forest Was on Fire And The Snail Did Not Know Which Way to Flee』가 있으며, 전자음악 오페라 Migration inside로 핀란드 사리 레지던시와 연구비를 지원받았다. 또한 2020년 제5회 레자 코루리안상(Reza Korourian Awards) 전자음악 부문에서 3위를, 2017년 라디오 자반 작곡 콩쿠르에서 하프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Daramad로 2위를 수상하였다.
그의 작품은 소닉 매터(Sonic Matter), 뉴욕시 전자음악 페스티벌, 테헤란 현대음악 페스티벌, 국제 Csound 컨퍼런스(ICSC 2022), 클라리넷페스트(ClarinetFest) 등 세계 여러 페스티벌과 학술대회에서 연주되었다. 또한 Daramad for Three Sopranos and Fixed Media, Khane Haftom for Santur, Too Loud A Solitude for Cello and Live Electronics 등의 작품이 소개되었다.
발리기는 현대음악 앨범 『Whispers of Papers』, 『Noise vs. Silence vol.1』, 『Intolerance』 등을 발표했으며, 전 세계 다양한 연주자 및 앙상블과 협업해왔다. 그는 미국 Millennium Composers Initiative와 이란 음악가 협회(Iran Music House)의 회원으로 활동하며, 국제적 음악 교류와 협업에 꾸준히 참여하고 있다.
Name: Ali Balighi
Program note: Electropoem No. 12 is part of an ongoing series that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sound and poetic structure. This piece uses unfiltered field recordings captured on Mars by NASA’s Perseverance rover, featuring mechanical interactions with the Martian surface and filtered atmospheric textures. Composed using the ED2-07 tuning system (dividing the octave into seven equal steps), the piece emphasizes alien acoustics and atmospheric properties to evoke new forms of musical expression.
Bio: Ali Balighi, a composer, sound designer, and sound engineer, was born in Tehran, Iran. He graduated from The University of Art in 2011 with a Bachelor’s degree in Music Performance. A passion for composition led him to pursue a Master’s degree in Composition at Texas Tech University, where he is currently a student for a Doctor of Musical Arts (DMA) in Composition.
A number of research and teaching interests align with Balighi’s academic pursuits, which include music technology, open-source software, contemporary music analysis, and music theory. His teaching experience includes positions as a sound engineer, music recording assistant, composition and music theory teacher, and positions as a cello instructor in various Iranian music institutions.
His publications and awards have made a notable contribution to the field in addition to his academic engagements. Among his poetry collections are My Loneliness Is A Hippo That Loves You and The Forest Was on Fire And The Snail Did Not Know Which Way to Flee. He received a residency and a grant at The Saari Residence in Finland for his electroacoustic ensemble opera, Migration inside. In addition, he won third place in the 5th Reza Korourian Awards 2020 competition for electroacoustic composition. He won second place in the composition competition of Radio Javan (Islamic Republic of Iran Broadcasting) 2017 with his composition titled Daramad for Harp and Orchestra.
Balighi’s compositions have been showcased internationally at festivals and conferences, including Sonic Matter, New York City Electroacoustic Music Festival, Hot Air Music Festival, Tehran Contemporary Music Festival, NoiseFloor UK Contemporary Music, Research On Contemporary Composition Conference, ClarinetFest, Cortona Sessions For New Music, Audiovisual Frontiers Festival, ICSC 2022 6th International Csound Conference, and Tehran International Electronic Music Festival. His works, such as Daramad for Three Sopranos and Fixed Media, Khane Haftom for Santur, and Too Loud A Solitude for Cello and Live Electronics, have been featured in these platforms.
As a composer, Balighi has released contemporary music albums, including Whispers of Papers, Noise vs. Silence vol. 1, and Intolerance. His compositions have been performed by musicians and ensembles such as Sputter Box ensemble, Front Porch ensemble, Zenith Saxophone Quartet, Twenty Fingers Duo, SynthBeats, The ____ Experiment, Michael Bridge, Parker Fritz, Anoush Moazzeni, Kathryn Vetter, Hamed Shaded, Golnaz Khalili, Puneh Zare’i Sefid Dashti, Neda Asadinejad, Shaghayegh Bagheri, Behnoush Sabetghadam, Negin Goodarzi, Zeinab Hajihasani, and Ulrike Brand.
Balighi actively engages with the music community, holding memberships with the Millennium Composers Initiative in the USA and the Iran Music House. His involvement extends to conferences and collaborations, reflecting his commitment to the global exchange of musical ideas.
Soma
이름/팀명: 베라 이바노바 (Vera Ivanova)
작품설명: 「Soma」라는 제목은 고대 인도 신화에서 유래한다. 소마는 베다 의식에서 사용된 신성하고 취하게 하는 음료이자, 이 음료의 신격화이기도 하며, 이후에는 달의 신격으로 확장되었다. 또한 이는 신체를 뜻하는 영어 단어 ‘somatic’ 등의 형태론적 어근이기도 하다.
이 작품의 주요 특징은 인지 가능한 소리와 그 변형이다. 사용된 소리는 악기 소리(활로 문 심벌즈, 베이스 드럼, 오케스트라 현악 글리산도, 피아노 반복음, 활로 문 비브라폰, 풍경), 환경 소리(비행기, 잡음, 군중, 비명), 그리고 몇 개의 음성 단어(“this is me”) 등이다. 작품은 이러한 소리를 특정 맥락에서 반복하고, Sound Hack과 Logic Audio Gold의 플러그인/필터를 사용하여 변형하는 과정을 통해 발전한다. 악기 소리에 대해서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일종의 ‘확장주법’으로 활용하여 점진적인 전개와 여전히 인지 가능한 소리의 변형 효과를 의도하였다. 군중의 소음은 음악적 질감으로 다루어지며, 단어들이 분해되어 특정 음소와 모음을 강조하면서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음향 덩어리를 형성한다.
이 작품의 핵심 개념은 처음의 인지 가능한 소리에서 출발하여 그것의 변형 과정을 거쳐 외부와 내부 세계의 다양한 층위와 그 공존으로 나아가는 여정을 구현하는 데 있다.
소개: 베라 이바노바는 모스크바 음악원, 런던의 길드홀 음악연극학교, 이스트먼 음악학교를 졸업하였다. 그녀의 작품은 러시아, 유럽, 미국 등에서 연주되었다.
그녀는 시러큐스 대학교 세트너 음악학교에서 이론 및 작곡 조교수로 재직한 뒤, 2007년 채프먼 대학교 공연예술대학 음악과 조교수로 임명되었으며, 현재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또한 콜번 음악원에서도 교수진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바노바는 이스트먼 음악원의 스프로울 펠로십, 길드홀 음악연극학교의 그윈 엘리스 장학금을 비롯하여, 제28회 부르주 전자음악 콩쿠르에서의 우수상, 제8회 모차르트 국제콩쿠르 3위, 메타모르포제 국제 아쿠스마틱 작곡 콩쿠르(A 부문) 1위(2004, 벨기에), ASCAP 모턴 굴드 청년 작곡가상, 제8회 오를레앙 국제 피아노 콩쿠르 앙드레 셰빌리옹-이본 보노 작곡상, 2013년 도널드 에어드 작곡 콩쿠르 수상 등 다수의 국제적 상을 받았다. 그녀의 음악은 Universal Edition을 통해 출판되었으며, Navona Records, Ablaze Records, Quartz Music Ltd., Centaur Records, Musiques & Recherches 등의 음반사에서 CD로 발매되었다. 자세한 정보는 그녀의 웹사이트(www.veraivanova.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Name: Vera Ivanova
Program note: The title of the piece is taken from ancient Indian mythology, where soma is a sacred, intoxicating drink used in Vedic rituals, as well as the divinity of this drink and later on of the Moon. In addition, this is a morphological root of the word somatic, etc.
The main feature of the piece is the use of recognisable sounds and their transformation. These sounds consist of instrumental sounds (bowed cymbal, bass drum, orchestra string glissando, piano repetitions, bowed vibraphone, and wind chimes), sounds of environment (aeroplane, noise, crowd, scream), and a few spoken words (‘this is me’).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the piece, these sounds are repeated in certain contexts and transformed (using computer programs Sound Hack and plug-ins/filters of Logic Audio Gold). With instrumental sounds, my aim was to use the computer software as a sort of ‘extended techniques’ to achieve an effect of gradual unfolding and transformation of still recognisable sound. The noise of a crowd is treated as musical texture as the words are ‘smashed’ to emphasise certain phonemes and vowels in a continuous moving sound mass.
The main idea of the composition was to make a journey from initial recognisable sounds through their transformations to different levels of external and internal worlds and their co-existence.
Bio: Vera Ivanova graduated from the Moscow Conservatory, Guildhall School of Music and Drama in London, and Eastman School of Music. Her works have been performed in Russia, Europe and the U.S.A.
After teaching as Assistant Professor of Theory and Composition at the Setnor School of Music of Syracuse University, she was appointed as Assistant Professor of Music in the College of Performing Arts at Chapman University in 2007 where she currently serves at the rank of Associate Professor of Music. Ms. Ivanova is also on the faculty of the Colburn School. Ms. Ivanova is a recipient of the Sproull Fellowship at Eastman, the Gwyn Ellis Bequest Scholarship at Guildhall School, Honourable mention at the 28 th Bourges Electro-Acoustic Competition, 3 rd Prize at the 8 th International Mozart Competition, 1 st Prize in Category “A” at International Contest of Acousmatic Compositions Métamorphoses 2004 (Belgium), the ASCAP Morton Gould Young Composers Award, the André Chevillion-Yvonne Bonnaud Composition Prize at the 8 th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at Orleans (France) and the winner of 2013 Donald Aird Composition Competition.
Her music is available in print from Universal Edition, on CDs from Navona Records, Ablaze Records, Quartz Music Ltd., Centaur Records, Musiques & Recherches, and on her web-site: www.veraivanova.com.
Through the Pipes, Submerged
이름/팀명: 아난타 위자야라나 (Ananta Wijayarana)
작품설명: 몇 달 동안 남자카르타의 주거 지역인 칼리바타 풀로(Kalibata Pulo)를 경험하면서 내가 목격한 새로운 장면 중 하나는 하수도였다. 강 근처에 위치한 이 지역의 생활 폐기물 배출은 매우 개방적이어서 온갖 종류의 폐기물이 강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하수가 강으로 직접 배출되는 과정은 지역 공동체에 의해 완전히 통제되지 않았다. 이러한 구조적 문제는 어쩔 수 없는 것으로 여겨지며, 강은 결국 쓰레기 저장소처럼 사용되는 상황에 놓여 있다. 인도네시아 역사학자 JJ 리잘이 어느 공개 토론에서 말했듯, 자카르타의 강은 이제 거대한 쓰레기통이 되었다. 이는 지역 사회가 이미 익숙하게 받아들인 현실이다.
이러한 관찰에서 출발해, 나는 파이프에서 흘러나오는 물소리를 녹음하기 시작했다. 약 6개월간 이 소리를 기록하면서, 파이프 뒤에서 어떤 활동이 일어나고 있을까라는 질문이 떠올랐다. 그것이 작품의 출발점이 되었다. 일상적인 가사 활동에서 폐기물이 생산되고, 그것이 파이프를 통해 강으로 흘러가 최종적으로 폐기되는 과정을 추적했다. 나는 폐기물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기록하여 나의 일상적인 설거지 소리와 결합했다. 또한 도시적 맥락을 강조하기 위해 교통 소음을 녹음했고, 하이드로폰을 사용해 강 속의 소리도 담았다. 이는 강이 폐기물의 최종 집합지라는 생각을 드러내기 위한 중요한 요소였다.
이러한 사운드 소스로 구성된 작품은 물 폐기물의 삶의 순환을 하나의 서사로 담는다. 설거지로부터 시작해, 파이프를 통해 배출되고, 강에 도달해 바닥으로 가라앉은 후, 다시 파이프를 거쳐 결국 또다시 설거지로 돌아오는 순환이다. 나는 관객들에게 폐기물이 생성되고 순환하는 과정을 청각적으로 체험하게 하고 싶었다. 그리고 클라이맥스에서는, 우리가 스스로 만들어낸 폐기물에 잠기는 감각이 어떤 것인지 질문하고자 했다.
소개: 아난타 위자야라나(1997)는 예술가이자 작가다. 2024년, 그의 글 두 편이 세계 영화사를 다룬 에세이 모음집 『S ... Untuk Sinema』에 수록되었다. 라흐마니아 너르바와 함께 협업 영화 Alur-Alir을 제작해 ARKIPEL: 자카르타 국제 다큐멘터리 및 실험 영화제(2024)에서 초연했다. 이듬해 그는 도시와 정치 문제를 소리 연구를 통해 다루는 이니셔티브 SIGISORA에 합류했다. 이 활동을 통해 그는 특정 환경의 사회적 특성을 이해하고 식별하기 위해 현장음을 기록하는 여러 사운드 저널을 제작했다. 2025년 3월에는 SIGISORA의 청취 세션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장 클로드 리세(Jean-Claude Risset) 청취 세션을 기획했다. 현재 그는 포룸 렌텡(Forum Lenteng)에서 데이터베이스 코디네이터로도 활동하고 있다.
Name: Ananta Wijayarana
Program note: After several months of experiencing Kalibata Pulo (a residential area in South Jakarta), one of the new experiences I witnessed was the sewerage in this area. Located near the river, the domestic waste disposal was very open, and I could see all kinds of waste being discharged into the river. The sewage that is discharged directly into the river is not fully controlled by the local community. The unavoidable structural problems regarding the disposal system seem to be the nature of the river to be used as a waste reservoir. In the words of JJ Rizal, an Indonesian historian at a public discussion, the river in Jakarta is now a big garbage can. This is something that has become familiar to the local community. From this initial observation, I began recording the sounds of water coming out of the pipes. Over the course of about 6 months of recording the sounds of these pipes, a thought came to my mind: what activities are being carried out behind these pipes? This became the starting point of my work. Starting from domestic activities, the production of waste, its journey, until it ends up in the river as the final disposal site of the waste. The sounds from the wastes that I recorded, I arranged and integrated with the sounds of my daily dishwashing activities. I recorded the sound of traffic to emphasise the urban location. I also used a hydrophone to capture the sounds in the river. This is important for my work to bring out the idea of the river as the final place where these wastes gather.
From these sound sources that I composed, the narrative of the composition is a full circle of the life of water waste: From the waste production washing the dish, dump the water through the pipes, arrive at the river, submerged to the bottom, back to the pipe, and end up again at the dish washing activity. I wanted to give the audience a sound experience of how the flow of waste is produced and circulates. Until the climax, what does it feel like when we are submerged by our own waste?
Bio: Ananta Wijayarana (1997) is an artist and writer. In 2024, two of his writings were published in S ... Untuk Sinema, a collection of essays that discuss history of world cinema. Along with Rahmania Nerva, he released a collaboration film called Alur-Alir and premiered at ARKIPEL: Jakarta International Documentary and Experimental Film Festival (2024). In the following year he joined SIGISORA, an initiative that frames urban and political issues through studying sound. Through this initiative, he created several sound journals, recording sounds in an environment to understand and identify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that environment. In March 2025, he curated the Jean-claude Risset listening session. The event was part of the listening sessions organised by SIGISORA that featured works by important composers of the world. He is now also active as a database coordinator at Forum Lenteng.
Mono No Aware
이름/팀명: 후안 카를로스 바스케스 (Juan Carlos Vasquez)
작품설명: “모노노아와레(Mono No Aware)”는 존재의 덧없음을 인식하며 느끼는 감상의 정서를 담은 깊은 일본의 개념이다. 이 아쿠스마틱 작품은 일본 기차 여행자의 기억 속을 거니는 정신적 여정을 그리며, 회상이 서로 뒤섞이고 비틀리며 매혹적인 사운드스케이프의 직조를 만들어낸다. 작품은 아쿠스마틱 음악의 영역 안에서 음색 탐구의 경계를 밀어붙이는 동시에, 시간에 대한 비선형적인 인식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소리의 여정은 작곡가가 도쿄, 오사카, 교토에서 직접 채집한 현장 녹음을 통해 세밀하게 담겼다.
작곡가 소개: 후안 카를로스 바스케스는 수상 경력이 있는 작곡가이자 비디오게임 연구자, 학자다. 그의 음악은 아메리카, 유럽, 아시아, 오세아니아 등 30개국 이상에서 초연되었다.
Sound Artist: Juan Carlos Vasquez
Program note: "Mono No Aware" is a profound Japanese concept that delves into the sentiment of nostalgia, grasping the ephemeral nature of existence. In this acousmatic composition, we embark on a mental odyssey through the memories of a train traveler in Japan, where recollections blend and twist, forming a captivating tapestry of soundscapes. The piece endeavors to push the boundaries of timbral exploration within the realm of acousmatic music, all while presenting a non-linear perception of time. These sonic journeys were meticulously captured through field recordings in Tokyo, Osaka, and Kyoto by the composer.
Bio: Juan Carlos Vasquez is an award-winning composer, video game researcher, and academic. His music has premiered in over 30 countries spanning the Americas, Europe, Asia, and Australia.
Rikers’ Requiem
이름/팀명: 한스 쿠즈미치 (Hans Kuzmich)
작품설명: 「Rikers’ Requiem」은 뉴욕 리커스 아일랜드 교정 단지 주변에서 녹음한 현장 사운드와 교도관들의 무선 교신을 결합하여, 폐쇄가 예정된 감옥의 미래를 상상한다. 작품은 섬이 주변의 물로 정화되고 탈주한 비인간적 생명들이 다시금 터전을 차지하는 소리를 재구성한다.
소개: 한스 쿠즈미치는 벨라루스 출신으로 로스앤젤레스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예술가다. 그의 작업은 젠더를 주체와 국가 사이의 인터페이스로 탐구하며, 제도적 규범을 뒤흔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송 예술, 미디어 설치, 퍼포먼스를 활용하며, 장소 특정적 청취와 사운드 픽션 방법론을 기반으로 실천한다. 현재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크루즈 캠퍼스에서 영화 및 디지털 미디어 분야의 하이브리드 박사 논문을 마무리 중이다. 그의 최근 전시와 레지던시는 리투아니아 빌니우스 예술아카데미 니다 아트 콜로니, 뉴욕 애크라의 웨이브 팜, 버몬트 스튜디오 센터, 매사추세츠 노스애덤스의 MASS MoCA, 뉴욕의 The 8th Floor, 멕시코시티의 소마 등이 있다. 그는 UCLA에서 MFA를, 쿠퍼 유니언에서 BFA를 취득했으며, 휘트니 인디펜던트 스터디 프로그램에도 참여했다.
Name: Hans Kuzmich
Program note: Combining field recordings around New York City’s Rikers Island jail complex with intercepted radio communication of the jail staff, Rikers’ Requiem anticipates the jail’s scheduled closing. It sonically reimagines a future where the island is cleansed by the surrounding waters and overtaken by fugitive, more-than-human life.
Bio: Hans Kuzmich is a Belarus-born artist based in Los Angeles whose work examines gender as an interface between subjects and the state, seeking to unsettle their regulatory logics. Using transmission arts, media installation, and performance, his practice is grounded in site-specific listening and sonic fiction methodologies. Kuzmich is currently completing a hybrid doctoral dissertation in Film and Digital Media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Cruz. His recent exhibitions and residencies include Nida Art Colony of Vilnius Academy of Arts, Lithuania; Wave Farm, Acra, NY; Vermont Studio Center, Johnson, VT; The Studios at MASS MoCA, North Adams, MA; The 8th Floor, New York, NY; and SOMA, Mexico City. He holds an MFA from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a BFA from the Cooper Union, and was a participant in the Whitney Independent Study Program.